바이오USA 가는 K제약바이오, 기술력으로 글로벌 압도

강중모 2024. 6. 2. 18: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최대 바이오산업 행사인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에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대거 참여, K-제약바이오의 기술력을 알린다.

미국 바이오협회 주관으로 열리는 올해 행사에는 88개국에서 9000개가 넘는 기업이 참여하고 행사 기간 동안 2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몰릴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바이오USA에서도 K-제약바이오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기술 수준을 알리고 다양한 파트너링 행사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바, 올해도 단독부스 시선 집중
셀트리온·SK·롯데·차바이오 등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팔 걷어
올해 바이오USA 행사장에 마련되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부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세계 최대 바이오산업 행사인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에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대거 참여, K-제약바이오의 기술력을 알린다.

2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올해 바이오USA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3~6일(현지시간) 나흘 간 열린다. 미국 바이오협회 주관으로 열리는 올해 행사에는 88개국에서 9000개가 넘는 기업이 참여하고 행사 기간 동안 2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몰릴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제약바이오산업의 후발 주자지만 연구개발(R&D) 경쟁력을 끌어올리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올해 바이오USA에서도 K-제약바이오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기술 수준을 알리고 다양한 파트너링 행사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특히 최근 미중갈등이 격화되면서 미국에서 중국 바이오기업을 제재하는 '생물보안법' 제정이 논의되는 등 국내 기업들의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국내 바이오 투톱인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도 경쟁력을 적극적으로 소개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2년 연속 바이오USA에 참여하며 올해에도 단독 부스를 마련해 글로벌 1위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개발(CDMO) 역량을 부각시킬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60만4000리터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글로벌 빅파마를 중심으로 대형 수주를 잇달아 따내는 등 CDMO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 제2바이오캠퍼스에 18만리터 규모의 5공장을 건축하고 있고 연이어 6~8공장을 지어 생산능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번 바이오USA 행사에서는 CDMO 경쟁력 외에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공을 들이고 있는 위탁개발(CDO) 플랫폼 서비스, 항체약물접합체(ADC) 생산 경쟁력 등도 소개된다.

미국 시장에 신약 '짐펜트라(램시마SC)'를 출시한 셀트리온도 단독 부스를 설치하고 적극적인 홍보전을 펼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짐펜트라의 향후 매출 목표를 4조5000억원으로 잡을 정도로 짐펜트라가 향후 매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셀트리온은 미국 시장에 출시한 자가면역질환치료제인 유플라이마, 최근 유럽에서 품목허가를 받은 천식·두드러기 치료제 '옴리클로' 등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을 소개하고 글로벌 네트워킹을 확장하면서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스는 공동 부스를 운영한다. SK바이오팜은 미국에서 판매 중인 뇌전증 신약 '엑스코프리(세노바메이트 미국제품명)'와 회사의 글로벌 임상 전략 및 표적 단백질분해 기술(TPD) 등에 대해 발표하고,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독감, 대상포진, 장티푸스 백신 등 주요 제품과 현재 개발 중인 백신에 대해 소개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내년 가동을 목표로 증설 중인 미국 시러큐스 바이오캠퍼스 내 ADC 생산시설과 지난 3월에 착공한 인천 송도 바이오 캠퍼스 CDMO 시설을 홍보한다.

이외에도 차바이오그룹은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CDMO 사업을 하는 미국 자회사 마티카바이오와 차바이오그룹 부스를 운영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T'가 적용된 면역항암 파이프라인 임상 데이터를 공개한다. 메드팩토는 현재 개발 중인 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해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한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는 코트라와 이번 행사에 역대 최대 규모로 한국관을 운영한다. K-제약바이오의 높아진 위상을 감안, 올해 26개 기업을 지원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등과 함께 공동으로 홍보관을 운영하고 '한국의 밤' 리셉션을 열어 현지에서 글로벌 교류 기회를 제공한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