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사료 판매량, 아기 분유 추월"

김가현 2024. 6. 2. 15: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출산과 반려동물 인구 증가 등이 맞물리면서 반려견 사료 판매량이 아기 분유·이유식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일) 신세계그룹 계열 전자상거래 플랫폼 G마켓에 따르면, 올해 1∼5월 기준 반려견 사료와 아기 분유·이유식 판매량 비중을 비교해보면 각각 69%, 31%로 두 배 이상 격차가 벌어졌습니다.

G마켓은 분유·이유식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1인당 지출액은 반려견 사료보다 약 3배 높고, 금액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 판매량 역전
"'골드키즈' 트렌드로 프리미엄 수요 강해져"
반려동물 사료./ 사진=연합뉴스

저출산과 반려동물 인구 증가 등이 맞물리면서 반려견 사료 판매량이 아기 분유·이유식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일) 신세계그룹 계열 전자상거래 플랫폼 G마켓에 따르면, 올해 1∼5월 기준 반려견 사료와 아기 분유·이유식 판매량 비중을 비교해보면 각각 69%, 31%로 두 배 이상 격차가 벌어졌습니다.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까지는 분유·이유식 판매 비중이 높았으나 2021년부터 수치가 역전됐습니다.

연도별 분유·이유식 대비 반려견 사료 판매 비중을 보면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41%, 48%로 50%를 밑돌았습니다.

그러나 2021년 61%로 크게 높아졌고 2022년 54%, 작년 55% 등으로 줄곧 10%포인트 이상 차이를 보였습니다.

업계는 급격하게 떨어지는 출산율을 반영하는 소비 추세 변화라고 분석했습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합계출산율은 2019년 0.92명에서 2020년 0.84명, 2021년 0.81명, 2022년 0.78명, 작년 0.72명(잠정치)으로 낮아지고 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올해 1분기에도 0.76명으로 1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에서 전망한 올해 합계출산율은 0.68명(중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사상 첫 0.6명대 진입이 예상됩니다.

반대로 반려견을 키우는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집계한 전국 등록 반려견 수는 2019년 209만2천마리에서 2022년에는 302만6천마리로 44.6% 급증했습니다.

저출산이 심화할수록 아이 먹거리의 고급화 추세는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올해 1∼5월 분유·이유식 1인당 평균 구매 단가는 2019년보다 54% 높아져 반려견 사료 단가 상승률(42%)을 앞질렀습니다.

G마켓은 분유·이유식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1인당 지출액은 반려견 사료보다 약 3배 높고, 금액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이를 적게 낳는 대신 한 아이에게 아낌 없이 지갑을 여는 풍조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G마켓 측은 "분유·이유식을 포함한 유아용품의 경우 '골드키즈'(귀하게 자라는 외동아이) 트렌드로 시간이 갈수록 프리미엄 수요가 강해지고 있다"고 했습니다.

[김가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gghh700@naver.com]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