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 대신 `개` 키워요…반려견 사료, 아기 분유보다 더 팔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출산과 반려동물 증가 등의 현상이 맞물려 반려견 사료 판매량이 아기 분유·이유식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신세계그룹 계열 전자상거래 플랫폼 G마켓에 따르면 올해 1∼5월 반려견 사료와 아기 분유·이유식 판매량 비중을 비교해보면 각각 69%, 31%로 두 배 이상 차이가 났다.
분유·이유식을 구매하는 고객의 1인당 지출액은 반려견 사료보다 약 3배 높고, 금액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아용품프리미엄화 현상은 강해져…'골드키즈' 트렌드 반영
저출산과 반려동물 증가 등의 현상이 맞물려 반려견 사료 판매량이 아기 분유·이유식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 먹거리의 고급화 추세도 뚜렷해지고 있다.
2일 신세계그룹 계열 전자상거래 플랫폼 G마켓에 따르면 올해 1∼5월 반려견 사료와 아기 분유·이유식 판매량 비중을 비교해보면 각각 69%, 31%로 두 배 이상 차이가 났다.
코로나19 원년인 2020년까지는 분유·이유식 판매 비중이 높았으나, 2021년부터 수치가 역전됐다.
연도별 분유·이유식 대비 반려견 사료 판매 비중을 보면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41%, 48%로 50%에 못미쳤다.
이 비중은 2021년 61%로 크게 높아진 데 이어 2022년 54%, 작년 55% 등으로 줄곧 10%포인트 이상 격차를 보였다.
간식 품목 역시 최근 5년 새 반려견용 판매 비중이 계속 우위를 점하고 있다.
유아용과 비교한 반려견 간식 판매 비중은 2019년 53%, 2020년 54%, 2021년 53%, 2022년 57%, 작년 61% 등으로 높아졌다.
그러다가 올해 1∼5월 반려견 간식 판매 비중은 63%로 근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업계에선 이같은 수치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출산율을 반영하는 소비 추세 변화로 분석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2019년 0.92명에서 2020년 0.84명, 2021년 0.81명, 2022년 0.78명, 작년 0.72명(잠정치)으로 계속 낮아지고 있다.
올해 1분기에도 0.76명으로 1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전망을 보면 올해 합계출산율은 0.68명(중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사상 첫 0.6명대 진입이 예상된다.
반면 반려견 양육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집계한 전국 등록 반려견 수는 2019년 209만2000마리에서 2022년 302만6000마리로 44.6% 급증했다.
지난 3월 기준 서울에 사는 반려견 수만 61만2000마리로 집계됐다. 10가구 가운데 1가구 이상이 반려견을 양육한다는 서울시 통계도 있다.
저출산 심화 속에 분유·이유식의 고급화 현상도 두드러진다. 올해 1∼5월 분유·이유식 1인당 평균 구매 단가는 2019년보다 54% 높아져 반려견 사료 단가 상승률(42%)을 앞섰다.
분유·이유식을 구매하는 고객의 1인당 지출액은 반려견 사료보다 약 3배 높고, 금액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아이를 적게 낳지만, 한 아이에게 아낌 없이 지갑을 여는 풍조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G마켓 측은 "분유·이유식 등의 유아용품의 경우 '골드키즈(귀하게 자라는 외동아이)' 트렌드로 시간이 갈수록 프리미엄 수요가 강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저수지 속으로 빠져드는 30대…경찰·소방관이 극적으로 구했다
- 뉴진스님 싱가포르 공연 결국 취소…"불교요소 제외 합의 못해"
- "함께 자고 일어났는데 죽어 있었다"…전 남친이 신고
- 술집 공용화장실에 보디캠 몰래 설치…불법 동영상 촬영한 30대
- "쓰레기통서 아기 울음소리 들려요"…신생아 버린 30대 친모
- 공사비 현실화 등 정부 건설산업 활력 제고 방안 발표
- 野 향한 반도체 업계의 읍소…"52시간 예외 빼면 반쪽 지원법"
- "GPU뿐 아니라 데이터도 부족"…AI 진화 `경고등`
- 우대 내리고 1000억 이하 못 올리고…소비자 혜택 축소 전가하나
- 격차 좁힌 한투, 뒷걸음질 KB…내년 ETF `3위 다툼`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