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500만명 마실 물 필요’…국가첨단·특화산단 22곳, 공업용수 부족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 용인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등 국가첨단산단 15곳과 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 7곳이 모두 조성되면 매일 500만명이 사용할 수 있을 만큼의 물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
2일 환경부에 따르면 현재 추진되는 국가첨단산단 15곳과 특화산단 7곳이 조성되면 하루 153만8000t의 공업용수가 필요하다.
환경부 국가수도기본계획 변경 보고서를 보면 하루 최대 공업용수 수요량은 2030년 712만1000t, 2035년 749만5000t, 2040년 771만5000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체 공업용수 수요 2040년 771만5000t 달해
정부, 댐 신설·리모델링 추진…‘10개+α’ 전망
[헤럴드경제=김진 기자] 경기 용인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등 국가첨단산단 15곳과 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 7곳이 모두 조성되면 매일 500만명이 사용할 수 있을 만큼의 물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
2일 환경부에 따르면 현재 추진되는 국가첨단산단 15곳과 특화산단 7곳이 조성되면 하루 153만8000t의 공업용수가 필요하다. 국내 1인당 일평균 물 사용량은 306ℓ(2022년 기준)로, 502만6000여명 몫의 물이 더 필요한 셈이다.
이는 앞으로 더 필요한 공업용수 최소치에 가깝다. 아직 기획 단계에 머무는 산단이 많은 상황에서 나온 추산치이기 때문이다. 국가산단이 아닌 일반산단 물 수요량도 고려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SK하이닉스 공장이 들어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에도 하루 57만3000t의 물 공급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 국가수도기본계획 변경 보고서를 보면 하루 최대 공업용수 수요량은 2030년 712만1000t, 2035년 749만5000t, 2040년 771만5000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재작년 추산된 전망치와 비교하면 2만9000~46만9000t 증가한 것이다. 용인 반도체 산단,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단, 세종 스마트 국가산단, 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단 등의 수요를 반영한 영향이다.
정부는 급증할 공업용수 수요에 ‘댐 신설과 리모델링’을 대응책으로 내놨다. 작년 7월 댐 신설 방침을 공식화한 환경부는 이르면 오는 7월 후보지를 공개하고 의견을 들을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재까지 16개 지자체에서 20곳에 댐 신설을 요청했다.
환경부는 신청지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지난해 국정감사 때 울산 울주, 경남 김해·거제·의령·함양, 경북 포항·김천·예천, 전남 순천·장흥·강진·고흥, 경기 연천, 경북 경주 등에서 댐 신설을 요청한 사실이 공개된 바 있다.
정부가 ‘2017 댐건설장기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댐 희망지 신청제’를 운영했을 당시에는 22곳에서 신설이 신청됐다. 이 가운데 저수지 재개발 지역과 기술 검토에서 필요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곳을 제외한 9곳이 ‘댐 사전 검토 협의회’에서 논의됐다. 여기에는 재작년 태풍 힌남노로 수해가 발생하며 건설이 확정된 포항 항사댐도 포함됐다.
환경부는 댐 신설 방침을 밝힌 후 지자체의 요청 없이도, 국가 주도로 댐 신설을 추진할 수 있다고 강조해왔다. 2018년 9월 ‘국가 주도 대규모 댐 건설 중단’을 선언한 지 6년 만에 입장이 달라진 것이다. 정부가 마지막으로 추진 의지를 밝힌 댐은 2012년 당시 국토해양부가 주도해 수립한 처음이자 마지막 ‘댐 건설 장기계획’에 반영한 곳들이다.
이번에 신설과 리모델링이 추진될 댐은 지자체가 요청한 댐과 국가가 주도하는 댐을 더해 ‘10개+α’가 될 전망이다. 환경부는 올해 예산에 10개 댐 신설과 리모델링 기본구상과 타당성 조사 예산을 반영했다. 다만 ‘10개’는 예산을 편성하고자 설정된 숫자이지, 목표치나 상한선은 아니라고 한 바 있다.
댐 신설 후보지는 7월 발표될 예정으로, 발표 이후 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댐 신설을 지지하는 쪽은 대량의 용수를 공급하면서, 기후변화에 따라 빈번해지고 규모가 커지는 가뭄과 홍수에 모두 대응할 수단으로 댐만 한 것이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영구적인 대규모 환경파괴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댐 신설에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기후변화로 인해 댐보다 습지나 범람원, 숲 등 자연을 활용한 자연 기반 해법으로 홍수나 가뭄을 경감·예방하는 것이 효율적이란 주장도 있다.
soho0902@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TS 진’이 돌아온다…12일 전역→13일 팬 1000명 포옹 행사
- ‘편스토랑’ 류수영 일품 두부조림, 또 레전드 레시피 탄생
- “OO는 절대 안 먹어” 영국 왕실에서 금지한 음식은? [식탐]
-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실형 가능성 높아…처음 사고때 내렸어야”
- 타이어 두개 빠진 채 ‘굴렁쇠 질주’…잡고 보니 만취 운전자였다
- 90년대생 급식 메뉴 아녔어?…독립 투사도 감옥가기 전 먹었던 음식 [퇴근 후 부엌-카레]
- “대박인 줄 알았는데” 쏟아지는 ‘뭇매’…뒤집힌 넷플릭스
- 고민되던 두부 포장 속 물, 알고보니… [식탐]
- “계약금 320억 허공으로 날렸다” 귀한 서울 대형 병원 첫삽도 못떴다 [부동산360]
- "상한 반찬 자꾸 보내주시는 친구 어머니…어떻게 거절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