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수술로 되찾은 눈과 귀… 첫 감각은 축복이었을까

사지원 기자 2024. 6. 1. 01: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흘만 세상을 볼 수 있다면 첫째 날은 사랑하는 이의 얼굴을 보겠다. 둘째 날은 밤이 아침으로 변하는 기적을 보리라. 셋째 날은 사람들이 오가는 평범한 거리를 보고 싶다.'

미국 마운트홀리요크 칼리지 생명과학과 명예교수인 저자는 외과적 수술을 통해 뒤늦게 감각을 되찾은 한 소년과 소녀의 이야기를 다룬다.

책에는 그가 훗날 바람에 금속 방충망이 흔들리는 소리와 두툼한 빗자루로 바닥을 쓰는 소리를 좋아한다고 말하게 되기까지의 수많은 여정이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술 통해 장애 치료한 소년-소녀… 시각-청각 정보 구성 못해 ‘혼돈’
좌충우돌 적응기 담담히 그려내… 듣고 보는 행위의 신비로움 조명
◇내게 없던 감각/수전 배리 지음·김명주 옮김/344쪽·1만8800원·김영사
어릴 적 백색증으로 인한 시각장애를 앓은 뒤 인공 수정체 삽입술을 받아 시력을 회복한 리엄 매코이. 그는 시력 회복 후 사물을 볼 수만 있을 뿐 전체 맥락을 해석할 수 없어 큰 혼란을 겪었다. 김영사 제공
‘사흘만 세상을 볼 수 있다면 첫째 날은 사랑하는 이의 얼굴을 보겠다. 둘째 날은 밤이 아침으로 변하는 기적을 보리라. 셋째 날은 사람들이 오가는 평범한 거리를 보고 싶다.’

장애를 극복한 사회복지사업가 헬렌 켈러(1880∼1968)의 저서 ‘사흘만 세상을 볼 수 있다면’의 일부다. 그는 “단언컨대 본다는 것은 큰 축복이다”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볼 때 선천적 시각장애인이 시력을 회복한 뒤 곧바로 이런 기쁨을 느낄 가능성은 크지 않다. 유아 때 자연스러운 발달을 겪지 못한 탓에 3차원 풍경을 선과 색깔들이 뒤죽박죽 섞인 정체불명의 무언가로밖에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같은 원리로 선천적 청각장애인이 청력을 회복하면 오히려 세상을 교란하는 소음에 시달린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매코이가 그린 추상화. 저자는 그림 중간의 삼각형과 옆에 붙은 직선(붉은색 원 안)을 깃대에 꽂힌 깃발로 인식했지만, 매코이에겐 별도의 직선과 삼각형으로만 보였다. 김영사 제공
미국 마운트홀리요크 칼리지 생명과학과 명예교수인 저자는 외과적 수술을 통해 뒤늦게 감각을 되찾은 한 소년과 소녀의 이야기를 다룬다. 시력이 거의 없는 소년 리엄 매코이와 청각장애를 안고 태어난 소녀 조흐라 담지가 저자에게 10년에 걸쳐 풀어낸 이야기를 정리한 것이다. 저자도 어릴 적부터 사시로 인해 사물을 입체적으로 보지 못하는 ‘입체맹’이었다. 그러나 40대 중반에 치료받아 입체시를 회복하게 된다. 저자의 경우 입체시 회복 전에도 사물을 볼 수는 있었기 때문에 수술 후 적응이 크게 어렵지 않았다. 그러나 난생처음 경험하는 감각 앞에 내던져진 매코이와 담지는 지독한 시행착오를 겪는다.

매코이는 생후 17개월 때 1만7000명 중 1명꼴로 걸린다는 희귀질환 ‘백색증’을 진단받는다. 매코이가 또렷하게 볼 수 있는 범위는 고작 코에서 약 7.5cm. 결국 그는 열다섯 살 때 인공 수정체를 이식하는 수술을 받아 시력을 회복한다. 매코이는 시력 회복 직후의 삶을 “날카로운 선과 모서리로 이뤄진 세상에 내던져졌다”고 표현했다. 선과 색을 선명하게 인식할 뿐 하나의 장면을 제대로 구성하지 못해 오히려 혼란에 빠진 것이다. 매코이는 보도에 선이 보이면 그것이 보도블록 사이의 경계인지, 시멘트에 금이 간 것인지, 가로등이나 전봇대의 그림자인지를 구별하기 위해 한참을 보내야 했다.

담지는 태어날 때부터 항공기 엔진이 울리는 소리에 해당하는 90dB(데시벨) 이하의 소리는 아예 듣지 못했다. 열두 살 때 인공와우를 이식받아 청력을 회복한 뒤 그는 “모든 소리가 무서웠다”고 회고한다. 우리는 목소리, 자동차 소리, 빗소리 등을 뚜렷이 구별할 수 있지만 담지에겐 그저 모든 음파가 뒤섞인 괴성일 뿐이었다. 책에는 그가 훗날 바람에 금속 방충망이 흔들리는 소리와 두툼한 빗자루로 바닥을 쓰는 소리를 좋아한다고 말하게 되기까지의 수많은 여정이 있다.

신간은 두 소년 소녀가 새로운 감각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을 담담한 필치로 그려낸다. 발달을 의식적으로 배워 나가는 과정을 꼼꼼히 묘사해 그동안 당연하게만 여겨졌던 듣고 보는 행위의 신비로움을 잘 나타낸다. 두 사람의 인간적 이야기와 함께 과학적 설명이 적절히 균형 잡혀 있는 것도 인상적이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