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조선 왕릉 첫 '파묘'는 이방원의 복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태종 이방원은 조선의 첫 세자로 아들 이방석을 책봉한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에게 큰 반감을 품고 있었다.
태종은 왕위에 오른 뒤 현재의 덕수궁 근처에 조성돼 있던 신덕왕후의 묘 정릉을 경기 양주(현 서울 성북구 정릉동)로 옮기도록 지시했다.
저자는 '자서전'이라는 제목을 붙인 이유에 대해 "서울이 조선의 수도가 된 이후 지금까지 역사의 현장을 중심으로 자신의 이력을 계속 써가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병주 지음 / 글항아리
360쪽|2만2000원
태종 이방원은 조선의 첫 세자로 아들 이방석을 책봉한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에게 큰 반감을 품고 있었다. 태종은 왕위에 오른 뒤 현재의 덕수궁 근처에 조성돼 있던 신덕왕후의 묘 정릉을 경기 양주(현 서울 성북구 정릉동)로 옮기도록 지시했다. ‘파묘’가 이뤄진 조선의 첫 왕릉이었다.
여기에 흙으로 만든 광통교가 소실되자 정릉에 있던 돌을 가져와 다리를 건설하게 했다. 현재 청계천 광통교 자리에선 오래된 석축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600여 년 전 태종과 신덕왕후의 악연을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서울에는 조선시대의 역사적 의미가 담긴 공간이 곳곳에 남아 있다. 역사학자 신영주 건국대 사학과 교수는 이 가운데 51가지 테마를 정해 관련 문화재에 관한 이야기를 <서울의 자서전>에 담았다. 저자는 ‘자서전’이라는 제목을 붙인 이유에 대해 “서울이 조선의 수도가 된 이후 지금까지 역사의 현장을 중심으로 자신의 이력을 계속 써가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책은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연려실기술> 등의 사료를 바탕으로 내용을 펼쳐나간다. 조선을 상징하는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등 궁궐의 이야기에서 시작한다. 조선 건국 후 한양으로의 천도, 궁궐 이름을 짓는 과정, 그 속에서 벌어지는 난(亂)과 암투 등 당시 사건과 사고가 발생한 장소와 인물을 샅샅이 훑는다. 조선 왕조에서 벌어진 전투뿐 아니라 일제강점기 슬픔과 애환이 담긴 공간을 조명한다.
서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강, 서촌은 물론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청권사, 침류대, 감고당 등에 숨은 이야기도 소개하며 함께 탐험하는 듯한 경험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금아 기자 shinebijou@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에어컨보다 싼데 선풍기보다 시원"…이른 더위에 불티났다
- 치킨값 올린다더니…"이런 건 처음" BBQ 가맹점주들 '당혹'
- '설마 했는데' 개미들 큰일났다…중대 결단 내린 국민연금
- "굶는 것보다 '이것' 더 싫었다"…'북한 MZ들' 탈북하는 이유
- "월세 6개월째인데…새 집주인이 갑자기 나가래요" [아하! 부동산법률]
- 차두리 "보고 싶어♥"…피소女가 공개한 반전 카톡
- 배우 김수미, 대학병원 입원…활동 중단
- "몰라볼 뻔"…민희진, 확 달라진 이유 알고보니 [이슈+]
- 윤아만 당한게 아니네…인종차별 논란에 칸영화제 '피소'
- 노소영 변호인단, 1조4000억 성공보수 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