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특허청, 전기차 전담팀 신설… 심사 속도 빨라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특허청이 전기차 전장(電裝)에 대한 심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 개편에 나선다.
31일 자동차 업계와 특허청 등에 따르면 특허청은 '전기차전장 특허팀'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특허청은 전력회로팀을 폐지하고 전기차전장 특허팀을 신설하기로 했다.
신설되는 전기차전장 특허팀은 ▲고출력 구동모터 ▲전력변환장치 등 모터 제어 ▲전력구동 시스템 ▲충전 인프라 등 전기차 핵심 기술에 대한 특허 심사를 맡게 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허청이 전기차 전장(電裝)에 대한 심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 개편에 나선다. 전장은 자동차에 들어가는 전기·전자 장치와 설비 등을 말한다. 특허청은 현재 엔진과 변속기 등 내연기관 자동차를 중심으로 조직을 운영하는데, 조직을 개편해 전장 심사 전문성과 처리 속도 등을 높일 계획이다. 최근엔 현대모비스, 한온시스템, LG전자 등을 만나 의견을 들었다.
31일 자동차 업계와 특허청 등에 따르면 특허청은 ‘전기차전장 특허팀’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하고 직제 시행규칙 등을 개정해 연내 전담팀을 가동하겠다는 목표다.
현재 전기심사과는 ▲전력변환 ▲전동기 ▲발전기 ▲전력전송 ▲전력회로 등 5개의 특허팀으로 구성됐다. 전기차 전장은 5개 팀에서 제품군에 따라 나눠서 심사한다. 특허청은 전력회로팀을 폐지하고 전기차전장 특허팀을 신설하기로 했다. 분산돼있던 전기차 전장부품 심사를 전기차전장 특허팀에서 전담할 수 있도록 업무를 이관·일원화하는 것이다.
신설되는 전기차전장 특허팀은 ▲고출력 구동모터 ▲전력변환장치 등 모터 제어 ▲전력구동 시스템 ▲충전 인프라 등 전기차 핵심 기술에 대한 특허 심사를 맡게 된다. 특허청은 전기차 무선충전,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모터·충전 제어 등 전기차 핵심 부품 영역에서의 특허 출원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 산업은 자동차 산업에서 수출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자동차 산업 수출 939억달러(약 130조원) 중 약 25%가 자동차 부품이었다. 올해 1분기에는 이 비중이 33%까지 늘어 역대 1분기 중 가장 많았다.
특허청에 전담팀이 신설되면 특허 출원 심사가 빨라질 전망이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국내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 건수는 총 2만7282건이었다. 같은 기간 중국의 특허 출원은 12만6888건으로 5배 가까이 많고 미국(6만2270건), 일본(2만9984건), 유럽연합(2만6115건)이 그 뒤를 이었다.
특허청 관계자는 “글로벌 완성차 시장에서 전동화 전환추세가 빨라지고 이에 따른 특허 출원 수요가 늘면서 전문성을 갖춘 전담팀이 필요하게 됐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똑똑한 증여] 아파트 물려줄 때 증여냐 상속이냐… 취득세·종부세·양도세 따져보니
- 고평가 논란 뛰어넘으려면 M&A뿐... 유망 식음료 업체 찾아나선 백종원
- 수주잔고 넉넉한 韓 조선, 해외 건조 늘린다
- 미분양 쌓이는 인천… 3기 신도시 1만7000가구 공급도 부담
- ‘동거남과 시비’ 14번 신고 끝 사망… 대법 “가정폭력 조치 안 한 경찰, 징계 정당”
- 수수료 0.001%P 차인데… 대체거래소 등장에 한국거래소 수입 ‘수백억’ 날아갈 수도
- 홍보 늘려도, 쓸 곳 없어 애물단지 된 ‘세금포인트’
- BYD 전기차에 딥시크 적용… 동선·주행 정보 유출 불안감
- 840억 세금 들어간 ‘전통시장 고객센터’… 손님엔 문 닫고 상인회가 차지해
- 지난해 총매출 1% 증가 그친 냉동만두 시장... 2위 경쟁은 치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