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경청] 현대중공업의 아들 "위기의 조선업? 정규직 공채 역발상 필요"

안지혜 기자 2024. 5. 31. 10:0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22대 국회가 문을 열었습니다. 국회의원 당선인 300명 가운데 초선 의원은 132명입니다. 10명 중 4명 가량(44%)이 처음 '금배지'를 달게 됐습니다. SBS Biz는 이 가운데 '경제'를 대표하는 당선인들을 만나 물었습니다. 초선 의원에게 경제를 듣다, '초경청' 지금 시작합니다. [편집자주]
 

"조선업 1등을 이어가기 위해선 더 많은 생산직 공채가 필요합니다. 지역 소멸을 막는 길이기도 하고요."

22대 총선 울산 동구에서 당선된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 지역에서 민주당에 뿌리를 둔 정당에서 뽑힌 첫 의원입니다. 45.88%의 득표율로 전국 최저 격차(568표)로 당선인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울산 동구는 현대중공업의 도시이자 '노동의 메카'로 꼽힙니다. 김 의원이 "동구의 문제를 중앙정치로 가져가겠다"며 희망 상임위원회로 환경노동위원회를 적어낸 이유입니다.

본인의 강점으로는 실행력을 꼽았습니다. 민주당 중앙당 부대변인과 문재인 정부 청와대 행정관, 울산시 정무수석 등을 역임하며 중앙정치와 지방행정을 두루 경험한 데서 오는 자신감입니다. 초선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민주당 원내부대표,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 등 주요 당직자로 임명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배 짓는 곳에서 '노란봉투법' 통과 피케팅을 하다가 직접 국회로 뱃머리를 돌린 김태선號의 이유, 최근 SBS Biz가 만나 들어봤습니다.

아래는 당선인과의 일문일답.

Q. 지역 경제에서 조선업은 어떤 의미인가.

A. 대표적으로 현대중공업과 미포조선, 조선사 두 곳의 정규직만 합쳐서 2만 명이다. 비정규직은 그것보다 훨씬 많다. 하청은 정확한 통계는 아직 나온 건 없는데 대략 1.5배에서 2배 정도 사이다.

Q. 조선업 인기가 옛날 같지 않은데.

A. 조선업 경기가 휘청거리면서 임금이 3분의 1토막이 깎여져 나갔다. 노동자들도 3분의 1 정도 명예퇴직 당하고 정리해고를 당했다. 조선업이 땡볕에서 일하고 굉장히 위험하다. 또 사망 사고 등 중대재해도 많이 발생하는데 그런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임금도 적으니 일할 사람이 없다. 그 옛날 자랑스러웠던 현대중공업이 지금은 아니다.

Q. 그럼 어떻게 해야 되나.

A. 과거보다는 조선업 경기가 나아졌으니 임금도 어느 정도 올리고 정규직도 늘려야 한다. 지난해 현대자동차가 400명의 생산직 공채를 했는데 전국에 있는 25만 명의 청년들이 현대자동차에 몰렸다. 마찬가지로 당장은 비용이 좀 들더라도 현대중공업 역시 생산직 공채를 해야 한다. '내 회사, 우리 회사'라는 자부심 안에서 숙련공이 클 수 있다. 조선업 초격차의 핵심은 숙련공이다.  

Q. 일손 문제라면 이주 노동자 확대도 대안 아닌가?

A. 당장의 일거리 때문에, 지금 사람이 없으니까, 비정규직이고 고위험의 작업 환경이기 때문에, 내국인들이 없기 때문에, 외국인 노동자를 받아야 한다? 이건 좀 아니라고 본다. 뜨내기 노동자로는 회사의 발전에 큰 도움이 안 된다. 

그리고 한국으로 오는 이주 노동자들은 보통 혼자 온다. 지역에서 소비하지 않고 월급 한톨까지 차곡차곡 모아서 다 고향에 있는 가족에게 보낸다. 조선업 경기가 좋아져도 지역 경기는 그대로인 이유다. 어쩔 수 없이 외국인 인력이 필요하다고 하면 이민법을 개정해서라도 가족까지 같이 오게끔 유도해야 한다고 본다. 

Q. '노란봉투법' 폐기는 어떻게 생각하나.

A. 참담하다. 울산 동구에서는 노조법 2조·3조 개정안, 일명 '노란봉투법'이 굉장히 큰 이슈이고 가장 큰 현안이다. 조선업은 하청에 하청이 많기 때문이다. 지난해 1월부터 거의 1년 내내 울산 중구 현대중공업에 있는 6개 출입문을 돌며 노란봉투법 통과를 촉구하는 피케팅을 했다. 겨울에 손시렵지 말라고 피케팅 하는 옆에 캔커피 하나, 베지밀 두유 하나 놓아두고 가시는 노동자 분들이 많았다. 그런 지지와 응원 덕분에 당선되지 않았나 생각도 든다. 노란봉투법이 21대 국회에서 끝내 폐기됐다. 반드시 재추진할 계획이다. 

Q. 많은 중소도시들이 소멸 위기에 있다.

A. 울산 동구는 농어촌이 아니라 대도심인데도 불구하고 전국 소멸 위기 지역 59곳 중 한 곳으로 포함됐다. 급속한 인구 유출 때문이다. 지금 이미 인구 소멸 방지법이란 법이 있다. 지방이 소멸되고 있는 원인과 이에 대한 해결책이 나와 있다. 하지만 이 법은 서울을 제외하고, 예를 들면 지금 수도권 집중이 문제인데, 수도권까지 혜택을 받게끔 돼 있다. 또 내용이 천편일률적이다. 이건 아니라고 본다. 교육과 주거, 일자리를 포함해 동구 '맞춤형' 지방 소멸 방지 특별법을 1호 법안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지금 같은 속도로 수도권에 인구가 집중되면 20~30년 뒤에는 수도권에 대한민국 5천만 인구가 다 살아야 된다. 대도시 사람들도 지방 소멸 이슈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다.

Q. 끝으로 민생을 회복시킬 해법은?

A. 분배 정책 관련해서 소득주도성장이 필요하다고 본다. 대기업 지원해서는 낙수효과가 없다는 게 이미 증명됐다. 가계 소득을 높이고, 월급을 더 높여주는, 그렇게 가처분 소득이 많아져야 소비가 일어나고 소비가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경기가 살아나는, 소득주도성장이 어쩌면 지금에 더 맞는 정책 아닌가 싶다. 민주당이 추진하는 전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도 그런 차원에서 꼭 필요하다. 정치 본연의 역할은 먹고사는 문제 해결이라고 본다.

에필로그)
Q. 본인이 현대중공업의 아들이라고, 왜?

A. 아버지가 현대중공업 노동자로 32년을 근무하셨다. 그 노동이 주는 월급으로 제가 용돈도 받고 여기까지 성장했다. 나는 어찌보면 현대중공업이 키운, 현대중공업의 아들이다.

Q. 현대의 아들로 사는 삶은 어땠나?

A. 어렸을 때 보면 아버지가 현장에서 입는 작업복과 별개로 집에도 새옷 같은 작업복을 한 벌 두고 경조사 때도 입고 다니셨다. 내가 삼촌이라고 불렀던 아버지의 후배들 같은 경우는 선보러 갈 때도 작업복을 입고 갔다(웃음). '내가 현대에 다닌다' 이게 프라이드였기 때문에. 지금은 그런게 없어졌다. 프라이드를 회복하려면 현대가 투자를 해야한다.

Q. 아들이라면서 너무 세게 때리는 거 아닌가?

A. 아니다(웃음). 당장은 돈이 조금 더 들고 효율성 측면에서 떨어질지 모르겠지만 더 큰 발전을 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본다. 장기적으로 더 튼튼해지는 계기가 될 거라 믿는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