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로켓 엔진 바꾸더니 실패…러시아 지원이 오히려 '악수'였을까 [스프]
안정식 북한전문기자 2024. 5. 31. 09:03
[안정식의 N코리아 정식] 이미 성공한 로켓 있는데 새로운 로켓 사용한 북한
단서는 연료에 있습니다. 북한은 이번에 '액체산소+석유' 조합을 사용했다고 밝혔습니다. 연료로는 등유(케로신), 산화제로 액체산소를 사용했다는 의미인데, 북한이 지난해 사용한 위성발사 로켓 '천리마-1형'은 연료로는 하이드라진(UDMH), 산화제로 적연질산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액체산소는 영하 183도에서 보관해야 하는 물질로 연료가 바뀌면 엔진의 구성품이 다 변경돼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엔진이 필요하게 된 것입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북한이 지난 27일 발사한 정찰위성이 실패했습니다. 밤 10시 44분쯤 발사한 정찰위성이 2분 뒤인 10시 46분쯤 폭발한 것입니다. 단 분리도 하기 전에 1단 추진체에서 폭발이 일어나는 기술적 불안정이 드러났습니다.
북한도 빠르게 실패를 인정했습니다. 발사 1시간 반쯤 뒤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실패를 인정하고,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석유 발동기(로켓)의 동작믿음성에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초보적인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좀 이상합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정찰위성 발사에 성공한 적이 있는데, 6개월 만에 다시 실행한 발사에서 다른 로켓을 사용했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이미 성공한 로켓이 있는데도 다른 로켓을 사용했고 그 결과 초기 단계에서 실패를 했다니, 북한이 왜 그런 것인지 상식적으로 잘 납득이 안 가는 일이 벌어진 것입니다.
이미 성공한 로켓 있는데 다른 로켓 사용?
단서는 연료에 있습니다. 북한은 이번에 '액체산소+석유' 조합을 사용했다고 밝혔습니다. 연료로는 등유(케로신), 산화제로 액체산소를 사용했다는 의미인데, 북한이 지난해 사용한 위성발사 로켓 '천리마-1형'은 연료로는 하이드라진(UDMH), 산화제로 적연질산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액체산소는 영하 183도에서 보관해야 하는 물질로 연료가 바뀌면 엔진의 구성품이 다 변경돼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엔진이 필요하게 된 것입니다.
'등유(케로신)-액체산소' 조합은 '하이드라진-적연질산' 조합에 비해 독성이 낮고 단위 연료당 추진력이 높다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발사체인 '누리호'나 미국 '스페이스X'사의 '팰컨' 발사체에서도 '케로신+액체산소' 조합을 사용합니다.
'케로신+액체산소' 조합의 선진국은 러시아입니다. 그래서, 북한이 갑자기 로켓 엔진과 연료를 '케로신+액체산소' 조합으로 바꾼 이유가 러시아의 기술 지원 때문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지난해 9월 김정은과 푸틴의 북러 정상회담 이후 러시아가 위성 발사 관련 기술 지원을 해주고 있는 만큼, 북한이 갑자기 로켓 엔진을 바꾸는 데에 러시아의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은 충분한 타당성이 있어 보입니다.
러시아 기술지원 때문인 듯
문제는 러시아의 기술 지원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이번 발사가 실패했다는 것입니다. 물론 로켓 기술은 실패를 교훈 삼아 성장하는 만큼 추가적인 발사를 통해 기술을 보완해 가면 됩니다. 러시아가 기술 지원을 해주고 있다면 이번 실패의 원인을 북러가 공동으로 분석하고 러시아의 추가적인 지원을 받으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북한 내부의 사정은 조금 복잡한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북한이 처음부터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성장해 가는 상황이 아니라, 북한 자체의 로켓으로는 성공한 적이 있는데 러시아의 지원을 받으면서 오히려 실패하는 상황이 초래됐기 때문입니다.
'자체 로켓 있는데 왜 러시아 기술 의존' 불만 나올 수도
북한은 지난해 세 차례 정찰위성을 발사하면서 두 번은 실패하고 한 번만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세 번의 발사 어디서도 1단 추진체에서부터 사고가 난 적은 없었습니다.
북한 발표를 보면, 지난해 5월 첫 번째 발사 때는 1단 추진체가 분리된 이후 2단 추진체의 시동이 제대로 걸리지 않아 로켓이 서해에 추락했습니다. 지난해 8월 두 번째 발사 때는 1단 추진체와 2단 추진체 모두 정상 비행했으나 3단 추진체 비행 중 비상폭발체계에 오류가 발생해 실패했다는 것이 북한 주장입니다. 지난해 11월 정찰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킨 세 번째 발사를 포함해 어디서도 북한이 개발한 '천리마-1형' 로켓에서는 1단 추진체 수준에서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북한 내부적으로는 자체 개발한 로켓으로 위성 진입 능력이 확보가 됐는데 러시아 기술 지원을 받으면서 오히려 실패했다는 불만이 나올 수 있습니다. 러시아의 기술 지원을 계속 받으면 성공의 길로 가기는 하겠지만, 이미 확보한 자체 기술 대신 안정화에 시간이 필요한 러시아 기술에 계속 의존해야 하느냐는 반론이 제기될 수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김정은이 창립 60주년을 맞은 국방과학원을 방문해 한 연설 가운데 일부를 주목해 볼 만합니다. 김정은은 정찰위성 발사가 실패한 다음날인 지난 28일 국방과학원을 방문해 정찰위성 실패에 위축되지 말고 더 크게 분발하라고 지시했는데, 연설 도중 다음과 같은 말을 했습니다.
김정은 "모방, 수입병은 반혁명"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안정식 북한전문기자 cs7922@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SBS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최태원, 노소영에 1조 3,808억 줘야"…노태우 기여 인정
- 50m 치솟고 3km 뒤덮은 용암…6개월째 아이슬란드 불안
- "20년 만기 땐 원금 2배로"…개인투자 '국채 적금' 열린다
- 연예인 손길에 "우리 대박났어"…거짓말로 후원금 노렸나
- "밀어내기 그만" 민희진 일침처럼…팬덤에 기댄 K팝 민낯
- [단독] '딜레마존' 신호 조절…올해 말 시범 운영
- "오물 풍선에 화생방 물질없어"…'낙하 뒤 수거' 최선인가
- '벌써 50도' 푹푹 찌는 인도…오래가고 강해진 폭염에 비상
- 내년도 의대 정원 종지부…지역인재전형 1,913명 뽑는다
- 'VIP 격노설' 들은 3번째 인물 특정…실체 규명 주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