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cation holds the key to survival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통은 어느새 사치가 됐다.
어찌 보면 대한민국은 불통을 넘어 소통이 없는 무통(無通), 혹은 소통을 거부하는 부통(否通) 사회로 진화 중인 게 아닐까.
그는 누가 옳을지를 두고 싸우는 토론이 아닌, 무엇이 옳은지를 두고 소통하는 게 숙론이라고 했다.
소통도 안 되는데 숙론이 가능할까.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HUN SU-JIN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Today-People News team at the JoongAng Ilbo. Communication has become a luxury in Korea as the country has turned into a “no communication hell.” From placards full of swear words in Gwanghwamun Square in central Seoul to funeral wreaths in front of media companies in Sangam-dong, the decibels of crying “I’m right and you’re wrong” make me feel gloomy.
Daily lives also lack communication. I wear earphones even on the street. The country may be evolving from a lack of communication to an absence of communication, or rejecting communication.
In the heaven of no communication, all kinds of conflicts imaginable, ranging from age to gender and occupation, poke at each other sharply. Being different is defined as being wrong and antagonized. The 21st century could be a time of “enemyfying.” Ecologist Choe Jae-chun, a chair professor at Ewha Womans University, recently brought up the topic of deliberation. He said it is not about discussing who is right but what is right.
When communication is not happening, is deliberation possible? In a recent news conference, Professor Choe said, “It is not impossible just because it seems impossible.” Then, he mentioned Adam Kahane, a “facilitator of processes,” and the Mont Fleur scenario exercise he led in South Africa. The term “enemyfying” is coined by Kahane.
The scenario exercise ended the conflict in South Africa and reached a national consensus. In 1994, when Nelson Mandela was elected, South Africa was just as torn apart as Korea in 2024. The government convened the Mont Fleur conference and invited Kahane to lead the deliberation. Choe claimed that there is no reason Korea cannot do what South Africa did 30 years ago.
Prof. Choe pointed out that the low birthrate is the issue that requires deliberation the most. The core of the low birthrate is not money. Women went on a strike over giving birth not because of a lack of financial support for having a baby. The generation of the childbirth strike turned off the communication switch. For those who lost the will to communicate, continuing society is meaningless. They find it insulting when told to have children and be paid 100 million won ($73,233).
What if someone like Adam Kahane presides over a “Seoul conference” now? Instead of punching the childbirth subsidy calculator, wouldn’t he turn on the communication switch for the women and give them a chance to speak? If Korea is to exist 100 years from now, the wall of no communication should come down, and people must open their ears, not mouth, and learn how to deliberate.
불통 넘어 무통·부통〈無通·否通〉, 몽플뢰르가 답이다전수진 투데이ㆍ피플팀장
소통은 어느새 사치가 됐다. 대한민국은 불통 지옥이다. 욕설로 가득한 서울 광화문의 플래카드부터 상암동 언론사 앞 근조 화환까지, 나는 옳고 너는 그르다는 울부짖음의 데시벨은 마음마저 울적하게 한다. 일상도 그러하다. 거리에서도 이어폰을 꽂는다. 전화 너머 또는 모니터 위의 존재엔 미소 지으면서도 내 앞에 서 있는 사람은 투명인간 취급하는 게 당연해졌다. 어찌 보면 대한민국은 불통을 넘어 소통이 없는 무통(無通), 혹은 소통을 거부하는 부통(否通) 사회로 진화 중인 게 아닐까.
불통 천국에선 나이부터 성별, 직업 등등 상상 가능한 모든 종류의 갈등이 뾰족하게 서로를 찌른다. 다른 건 틀린 것으로 정의하고, 적화(敵化)하는 사회. 적화(赤化) 통일만 있는 줄 알았더니, 21세기는 적화(敵化) 사회다. 생태학자 최재천 교수가 최근 들고나온 화두, '숙론(熟論)' 덕에 알게 된 말이다. 그는 누가 옳을지를 두고 싸우는 토론이 아닌, 무엇이 옳은지를 두고 소통하는 게 숙론이라고 했다.
소통도 안 되는데 숙론이 가능할까. 최 교수는 지난 7일 기자 간담회에서 "불가능할 것 같다고 해서 불가능한 건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진행 중재자'라는 생소한 생업을 가진 애덤 카헤인, 그리고 그가 이끈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몽플뢰르 회의 얘기를 꺼냈다. 적화(enemyfying)라는 말도 카헤인의 신조어다.
몽플뢰르 회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갈등을 봉합하며 국민 합의를 끌어냈다. 1994년, 넬슨 만델라 당선 당시 남아공은 2024년 한국만큼이나 갈기갈기 찢겨 있었다. 당시 정부가 몽플뢰르 회의를 소집했고, 카헤인을 초청해 숙론을 이끌었다. 최 교수는 "남아공도 30년 전에 한 일을 한국이 지금 못 하리라는 법은 없다"고 주장했다.
최 교수는 숙론이 가장 필요한 이슈로 저출생을 꼽았다. 저출생의 핵심은 돈이 아니다. "옜다, 1억원" 식의 정책이 없어서 출산 파업이 생긴 게 아니다. 출산 파업 세대는 이미 소통의 스위치를 껐다. 인간 사회를 인간적이게 하는 기본인 '소통 의지'를 상실한 이들에게 사회 존속은 의미가 없다. 아이를 낳고 싶은 사회, 또 다른 자신을 남기고 싶은 사회가 아니기 때문이다. 1억원 줄 테니 아이 낳으라는 말은 이들에게 모욕이다.
지금, 애덤 카헤인 같은 이가 '서울 회의'를 주재한다면 어떨까. 출산 지원금 계산기를 두드리는 대신, 이들에게 소통의 스위치를 다시 켜주고 마이크를 쥐여주지 않을까. 100년 후 대한민국이 여전히 존재하려면 지금, 서로의 불통의 벽을 허물고 입 대신 귀를 열고 숙론을 배워가야 할 때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North Korea flies 260 feces-filled balloons across border to the South
- U.S. teacher arrested for suspected molestation of 7-year-old at Busan kindergarten
- 'Insignificant 29-year-old' RM opens up about BTS, new album in emotional video
- Korea, UAE sign 19 agreements, including $1.5B LNG carrier deals
- Seoul to provide around 4,400 public housing for newlyweds
- Nerve agent powder discovered in passenger's bag at Incheon Airport
- Lim Yoon-a fans call out 'racist' security guard at Cannes Film Festival
- 'Lovely Runner' star Byeon Woo-seok to tour Asia
- From Vegas to Singapore: Business events industry introduces cities to windfalls
- Explainer: How Korea notched the second-biggest GDP upgrade after the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