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형 아이템 조작 못봐줘”...리니지 이어 배그·스타시드에 칼 빼든 공정위

이가람 매경닷컴 기자(r2ver@mk.co.kr) 2024. 5. 30. 08: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 크래프톤]
게임회사들이 줄줄이 확률형 아이템 조작·허위 기재 의혹으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 대상이 되고 있다.

29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최근 크래프톤과 컴투스 사옥으로 현장 조사 인력을 보냈다. 크래프톤의 ‘배틀그라운드’와 컴투스의 ‘스타시드:아스니아 트리거’가 확률형 아이템 정보를 거짓으로 고지해 소비자 피해를 유발했다는 혐의다.

다수의 게임사가 확률형 아이템 정보를 거짓으로 공시해 소비자들을 기만하는 일이 발생하고 집단 민원이 접수되자 공정위의 현장 조사가 전방위로 확산하는 분위기다.

공정위는 이미 엔씨소프트의 ‘리니지M’과 그라비티의 ‘라그나로크’, 위메이드의 ‘나이트크로우’, 웹젠의 ‘뮤아크엔젤’ 등을 상대로도 관리자 계정 활용 및 아이템 뽑기 확률 조정 의혹과 관련해 위법 사항이 없는지 살펴본 바 있다.

라그나로크에서는 기존 공시와 확률이 다른 아이템이 100개가 넘었고, 뮤아크엔젤에서는 0.25% 확률로 나타난다고 공지한 아이템이 150회부터 획득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나이트크로우도 전설등급 원소 획득 확률을 0.198%에서 0.01%로, 영웅 등급 원소 획득 확률(1%→0.32%)과 희귀 등급 원소 획득 확률(7%→3.97%)도 반 토막 수준으로 정정했다.

공정위는 넥슨코리아에게도 올해 초 116억4200만원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전자상거래법상 역대 최대 금액이다. 공정위는 넥슨이 초장수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를 통해 판매하는 확률형 아이템의 인기 옵션에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효율이 높은 중복 옵션 조합이 아예 출현하지 않게끔 설정했으면서도 이용자들에게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 3월 22일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을 시행했다. 이번 개정안에 따르면 무상으로 제공되는 아이템을 제외한 모든 확률형 아이템의 정보 공개 의무화가 골자다. 게임 내 아이템 구매·조회·사용 화면과 홈페이지, 광고·선전물 등 잘 보이는 곳에 아이템이 등장할 확률 정보를 표기해야 한다. 확률 변경의 경우에도 고지가 필요하다.

크래프톤과 컴투스 관계자는 “특정 게임에 대한 조사가 아니라 전반적인 점검 차례가 된 것으로 봐 달라”며 “(공정위에) 성실하게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사진 = 엔씨소프트]
이용자들은 냉소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예상보다 등장 확률이 낮은 아이템에 현금을 쏟아부은 만큼,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사기를 당한 것이라는 분노 여론이 번졌다.

게임사들이 확률형 아이템의 오류를 인정하고 공식적으로 사과문을 올린 뒤 보상 절차를 진행했지만, 아이템 확률 고지 오류가 반복되고 있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게임사 스스로 확률형 아이템을 줄이고 아이템 밸런스를 맞추는 등 자정작용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게임사들은 정보 수기 기입 과정에서의 실수라고 해명했다. 투명한 서비스 운영을 약속하면서 동일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고, 확률 공시 전 점검 프로세스를 거치도록 보완했다.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확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도 구축했다. 일부 게임사는 과금 정액제를 고민 중이다.

복수의 게임업계 관계자는 “시뮬레이션으로 검증 절차를 진행하기 때문에 미흡한 점이 있었다는 점을 인정한다”며 “소수점 처리나 정보 공개 창구 일체화 등 가이드라인이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배신감을 안겨 드리게 돼 마음이 아프다”며 “유저 피해 유발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말했다.

온라인 게임 서비스 업체의 기만행위 등으로 실제 피해를 입은 이용자를 구제하고자 집단분쟁조정절차도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6000명 이상이 집단분쟁조정을 신청했다. 관련 문의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게임물관리위원회는 이용자 권익을 도모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한다. 확률형 아이템을 사이에 둔 이용자와 게임사 간 갈등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