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료에 박테리아 섞어 쓰면 온실가스 줄일 수 있어[과학계는 지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르웨이생명과학대, 오스트리아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 폴란드 지엘로나 구라대 공동 연구팀은 아산화질소(N2O)를 소비하는 박테리아가 포함된 비료를 사용하면 농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질소 비료의 과다 사용은 온실가스인 아산화질소 배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호흡할 때 산소 대신 아산화질소를 사용하며 생존력이 강한 박테리아 '클로아시박테리움 CB-01'에 주목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르웨이생명과학대, 오스트리아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 폴란드 지엘로나 구라대 공동 연구팀은 아산화질소(N2O)를 소비하는 박테리아가 포함된 비료를 사용하면 농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네이처’ 5월 30일자에 실렸다.
농작물의 생장에는 질소가 필수적이어서 합성 비료 형태로 많이 사용된다. 문제는 질소 비료의 과다 사용은 온실가스인 아산화질소 배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호흡할 때 아산화질소를 사용하는 박테리아를 비료에 섞어 쓸 수 있다면 대기 중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호흡할 때 산소 대신 아산화질소를 사용하며 생존력이 강한 박테리아 ‘클로아시박테리움 CB-01’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CB-01의 성장 속도가 빨라지도록 변형한 뒤 CB-01이 아산화질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박테리아 용량을 각각 다르게 해서 세 곳의 밭에 시비했다. 그 결과 CB-01을 시비하면 이전보다 밭에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량이 눈에 띄게 줄었고 효과도 100일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토양 유형과 CB-01의 양에 따라 아산화질소 배출량이 적게는 50%에서 최대 95%까지 감소한 것이 관찰됐다. 라센 바켄 노르웨이생명과학대 교수는 “이번 기술을 활용하면 유럽연합(EU) 내에서 발생하는 전체 아산화질소의 2.7%까지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버닝썬 공갈젖꼭지 용도 충격”…홍콩 스타도 피해
- ‘성관계 거부’ 아내…해외서 ‘전청조 사건’ 터졌다
- ‘대리모 출산’ 패리스힐튼, 아들 구명조끼도 거꾸로…
- “생애 운 다썼다” 동생 복권 1등, 몇 년 후 형도 5억 당첨 화제
- “문 많이 부쉈다”…팬과 결혼한 이종혁, ‘이혼’ 위기 고백
- “충주맨도 속았다” 金사과 미국에선 1개 1700원…충주시 해명은
- “만나면 일단 뽀뽀”…류시원, 19세 연하와 재혼 근황
- 김동현, 반포 80평대 70억 아파트 산다 “자가 아냐…반전세”
- ‘트바로티 집’ 현판 결국 뗐다…김호중 모교 김천예술고등학교
- “가만히 누워 있어요”…中 청년 전용 요양원 인기,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