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총 3조弗 눈앞 ‘갓비디아’... 애플 자리도 넘본다는데
챗GPT 등장이후 주문 쏟아져
3년간 600% 올라 1200弗 넘봐
PER 40배 과열 우려에도
“실적 탄탄해 추가상승 여력”
“MS·애플 비해 시장규모 작아
시총2위 쉽지 않아” 비관론도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의 등장이 전세계 판도를 바꾸고 있기 때문이다. 빅테크들이 생성형 AI 시장에서 승기를 잡기 위한 인프라 투자를 멈추지 않는 한, 시장의 80%를 독점하고 있는 엔비디아 질주도 계속될 것이라는 논리다. 한 애널리스트는 “챗GPT 발표 전까지만 해도 2023년 글로벌 경제가 침체될 것이라는 전망이 주를 이뤘지만, 챗GPT가 전세계 성장률을 그야말로 ‘멱살잡고’ 끌어올리지 않았나”라면서 “앞으로도 예상을 뛰어넘는 성장세를 보여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2017년 구글 직원 8명이 만든 ‘트랜스포머’ 모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생성형 AI’는 모델의 크기와 데이터의 양이 커질수록 성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생성형 AI가 한계에 도달한 ‘무어의 법칙’을 깨고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발전 속도가 놀랍다.
생성형AI의 대표주자인 오픈AI 챗GPT는 2022년 11월 첫 등장할 때만해도 사람처럼 텍스트로 대화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약 1년반이 지난 지금은 사람과 음성으로 실시간 대화하고, 짧은 문장만으로 1분 길이의 고품질 동영상을 만들어낼 정도로 ‘AI 혁명’을 이끌고 있다.
이처럼 진화한 AI 모델을 만들고 서비스하려면, 엄청난 양의 엔비디아 AI반도체(GPU)가 필요하다. 전세계 테크공룡들이 자체적으로 AI반도체를 만들고 싶어하지만, 폭증하는 수요를 따라잡기란 현재로선 불가능하다.
엔비디아 GPU의 ‘락인효과’도 만만치 않다. 엔비디아는 AI 연구자와 개발자들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고객들이 경쟁사로 빠져나가고 싶어도, 나가기가 워낙 힘든 구조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들어서만 130%, 3년간 600%가 올랐을 정도로 ‘과열 상태’다. 향후 1년간 실적전망 기준 PER(주가수익비율)이 40배를 넘었다.
그럼에도 엔비디아에 계속 투자자들이 몰려드는 이유는 지금이 AI혁명에 따른 인프라 대전환의 시작일 수도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세계 최대 사모펀드 중 하나인 KKR은 올 2월 보고서에서 2030년이면 빅4 테크기업(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메타)의 데이터센터에서 처리하는 데이터의 50%가 AI 관련 작업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현재는 30%대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양의 AI 반도체가 필요하다.
톰 리 펀드스트랫 설립자는 1990년대 시스코와 AI 시대 엔비디아를 비교하면서 엔비디아 주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봤다. 인터넷이 부상하면서 시스코 주가가 크게 뛰었듯이, AI 시대에 엔비디아가 강세를 보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당시 시스코의 PER이 100배까지 뛴 것에 비하면 엔비디아는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주장이다.
멜리우서리서치의 벤 라이치스 애널리스트는 “엔비디아의 세금 및 이자 차감 전 순익 마진 69%는 놀라움 그 자체”라며 “앞으로 2년 동안 엔비디아의 마진을 도전할 기업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애널리스트들은 AI 수요가 탄탄하다는 의견도 내고 있다. 맥쿼리의 애널리스트인 프레데릭 해브마이어는 “AI 투자 사이클이 아직 초기 단계라고 생각한다”며 “AI 활용이 보편화되면 현재 전세계 모든 데이터센터 규모와 비슷한 수준의 새로운 추론 인프라가 구축될 것”이라고 밝혔다.
물론 거품론도 있다. 아스와스 다모다란 뉴욕대학교(NYU)교수는 “전체 AI시장에 비해 AI반도체 시장 규모는 작다”면서 “엔비디아의 지금 가치를 합리화하려면 반도체 시장말고 다른 시장을 엔비디아가 정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클라우드와 오피스, 윈도우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MS나 소비자 기기 시장을 지배하는 애플에 비하면 엔비디아의 시장 규모는 훨씬 작다는 것이다.
지금의 AI 붐이 버블이라는 의견도 있다. 버블이 꺼지면 결국 GPU에 대한 투자는 과잉투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테크 분석 전문가로 유명한 스콧 갤로웨이 NYU교수는 “알파벳(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를 합산한 시장 가치는 AI 붐이 일면서 3조 달러나 급증했지만, AI로 이 회사들의 매출은 200억달러 밖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구설수 오를까봐 우려”…사고 당일 김호중 처음 만났다는 길이 한 말 - 매일경제
- ‘벤츠 반값’ 독일차, 어쩐지 싸더라…그돈이면 한국차? 타보고 3번 놀랐다 [최기성의 허브車] -
- ‘무더기 당첨’ 로또 1등으론 서울 아파트도 못 사…“당청금 상향 검토” - 매일경제
- 경찰들 부글부글…여경 성희롱한 주폭 뺨 때렸다고 경찰 해임 - 매일경제
- “두 눈을 의심했다”…국내 도로서 욱일기 차량 질주, 운전자 누구길래 - 매일경제
- “완전군장 가볍다, 책 더 넣어”...얼차려 사망 훈련병, 근육까지 파열 - 매일경제
- “벗고 싶지 않았다”…여학생 상반신 알몸 논란, 日초등학교에 무슨일이 - 매일경제
- “2026년 한국 소득 4만달러” 전망…G7 되려면 ‘이것’ 해야 한다는데 - 매일경제
- “울 할머니한테 알려드려야겠네”…알츠하이머 막는 방법 찾았다는데 - 매일경제
- KT에 방출 요청 박병호 삼성 오재일, 전격 1대1 트레이드! 590홈런 동갑내기 거포 맞교환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