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새로운 게 아니라 더 큰 모델서 분석한 통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지능(AI)은 새로운 것이 아니라, 더 큰 모델에서 분석한 통계일 뿐입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토머스 사전트 미국 뉴욕대 경제학과 교수(81)는 29일 오후 서울 성북구 고려대 백주년기념삼성관에서 열린 'AI의 기원' 강연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AI 역시 경제학이나 물리학 등과 마찬가지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규칙을 발견하는 것이란 게 그의 분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토머스 사전트 미국 뉴욕대 경제학과 교수(81)는 29일 오후 서울 성북구 고려대 백주년기념삼성관에서 열린 ‘AI의 기원’ 강연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AI가 생물학과 통계학, 경제학, 물리학 등 기존 학문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AI 역시 경제학이나 물리학 등과 마찬가지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규칙을 발견하는 것이란 게 그의 분석이다.
사전트 교수는 과거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찰스 다윈, 아이작 뉴턴 등의 연구 방식이 머신러닝과 같은 AI 기술과 유사하다고 봤다. 그는 “(과거 물리학 등과 비교해) 방대한 자료와 빠른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것이 차이점”이라며 “우리의 제한된 인지 능력의 한계가 역설적으로 AI 발전에 기여했다”고 강조했다. 인류가 오랜 기간 지식을 축적했지만 여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대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AI의 발전을 도모하게 됐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그는 AI가 인간의 정책 결정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도 했다. 예컨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양한 경제 변수를 고려해 결정하는 기준금리 등을 정할 때 AI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수많은 중앙은행들은 이미 경제모델을 활용해 엄청난 양의 통계를 분석해왔다”고 설명했다.
사전트 교수는 2011년 거시경제의 인과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로 크리스토퍼 심스 프린스턴대 경제학과 교수와 함께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저명한 경제학자다. 그는 가계와 기업 등 경제주체가 사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이용해 미래를 합리적으로 예측한다는 ‘합리적 기대 가설’을 바탕으로 정부나 중앙은행의 거시정책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 등으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상환 기자 payback@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쳤어?” 아내 만류에도 이천수 “원희룡 도운 이유는…”
- 강남 한복판서 머리를 ‘퍽’…까마귀 공격에 시민들 ‘식겁’
- 김호중 모교, 결국 ‘트바로티 집’ 현판 뗐다
- “수영장 물에 평균 75ℓ 소변”…심장·폐 건강 위협?
- 지리산 등산로에 반달곰이 ‘쓰윽’…“곰도 우리도 놀랐다”(영상)
- 서울서 경상-전라까지…北 ‘오물 풍선’ 200개 발견
- “전국 하수도에 필로폰 흐른다”…최다 검출 지역은 ‘이곳’
- 쓰레기봉투 열었더니 1000만원이…환경미화원이 발견해 주인 돌려줘
- “처음 산 복권 5억 당첨”…동생에 이어 형도 1등 당첨됐다
- “엄마 아프대 빨리 타”…아산서 초등생 납치 의심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