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신용자 금융사다리 `저축은행 삐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축은행은 제1금융권인 은행과 제2금융권인 상호금융·대부업의 중간 사다리 역할을 하기 위해 출범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일반은행은 저금리를 제공하고 있고, 상호금융권이나 넓게는 대부업에서도 중저신용자들에게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다보니 저축은행의 입지가 샌드위치처럼 애매해진 것"이라면서 "저축은행 영업이 위 아래로 위축된 상황에서 PF 대출을 일으켜 사업성을 유지했던 활로도 모색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신 101.3조… 2.3년만 최저
금융당국 대출 사업 제동걸려
퇴짜 서민, 대부업·카드론으로
저축은행은 제1금융권인 은행과 제2금융권인 상호금융·대부업의 중간 사다리 역할을 하기 위해 출범했다. 그래서 흔히 '1.5금융'으로 불린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여수신 수익성 악화로 사업을 펼칠 수 없어서다. 조달금리 상승,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대내외 압박이 심해지면서 중저신용자들의 금융사다리 역할을 했던 저축은행의 대출 문턱은 높아지고 있다. 피해 받는 건 중저신용자다. 이들은 저축은행을 이용하지 못해 고금리 대출 창구로 내몰리고 있다.
2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여신 잔액은 지난 3월 말 기준 101조3777억원이다. 2년3개월 만에 최저치다.
연체율이 오르고 수익성은 급격히 악화하면서, 저축은행 자체적으로 보수적인 대출 심사가 이뤄지는 탓이다. 이날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분기 당기손익은 1543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527억원 순손실을 기록한 전년 동기 대비 손실폭이 1016억원 확대됐다.
이자수익은 2조4860억원으로 1년 새 2336억원 감소했다. 대신 같은 기간 이자비용을 2511억원 줄이면서 내실은 챙길 수 있었다. 비용을 줄이면서 이익 지표는 유사했지만, 영업은 확실히 위축된 것이다.
동시에 저축은행의 1분기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조2292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조966억원) 대비 1326억원 더 쌓았다. 올해 초 감독당국이 저축은행의 토지담보대출 대손충당금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준할 정도로 쌓도록 요구한 후속 조치로 보인다.
이처럼 수익성이 악화된 것은 연체율이 사업 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1분기 연체율은 8.8%로 작년 말(6.55%)보다 2.25%포인트(p) 뛰었다.
구체적으로 기업대출 연체율은 11.00%, 가계대출은 연체율은 5.25%로 작년 말보다 각각 3.52%p, 0.24%p 상승했다. 10%를 넘어선 기업대출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새출발기금 협약 등 제3자 매각이 제한된 개인사업자 대출이 연체율을 끌어올렸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0.32%로, 석 달 새 2.59%포인트(p) 올랐다.
종합적으로 놓고 보면, 연체율 산정 시 모수가 되는 총 여신이 감소하면서 건전성이 악화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당국의 압박은 대출사업에 제동이 걸린 이유로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저축은행에서 퇴짜 맞은 고객들이 대부업, 카드론 등으로 내몰리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 등 9개 카드사의 지난달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39조9644억원. 역대 최다였던 3월(39조4821억원) 대비 4823억원 증가했다.
문제는 이런 대출이 고금리라 연체율이 빠르게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올해 3월 말 은행 신용카드 연체율은 분기 말 부실채권 상·매각 등 영향으로 전월 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금융권에서는 대출을 최대로 당겨쓴 다중 채무자들이 마지막으로 카드 대출을 받았다가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저신용자 대출의 허리역할을 했던 창구가 힘을 잃어 뚜렷한 해법도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일반은행은 저금리를 제공하고 있고, 상호금융권이나 넓게는 대부업에서도 중저신용자들에게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다보니 저축은행의 입지가 샌드위치처럼 애매해진 것"이라면서 "저축은행 영업이 위 아래로 위축된 상황에서 PF 대출을 일으켜 사업성을 유지했던 활로도 모색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김경렬기자 iam10@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태국 왕궁서 딸아이 소변 보게 한 중국인 부모…태국인들 분노
- 성인방송 강요받다 숨진 30대 아내…남편 재판서 영상 비공개 증거조사
- 김호중 "대신 자수해줘"…매니저 전화, 녹음파일 켜져 있었다
- "알몸으로 뛰어다녔다"…난동 피운 남성 때문에 1시간 만에 비행기 회항
- 김호중 협조하겠다더니…아이폰 3대 중 일부 비번만 제공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
- 거세지는 ‘얼죽신’ 돌풍… 서울 신축 품귀현상 심화
- 흘러내리는 은행 예·적금 금리… `리딩뱅크`도 가세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