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뇌 크면 똑똑할까…"뇌 큰 동물이 먹이 잘 찾는 건 아니다"

이주영 2024. 5. 29. 09: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뇌가 크면 더 똑똑할까? 독일·미국 연구진이 파나마 열대 우림에 사는 영장류와 포유류 4종이 먹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찾아내는지를 관찰하는 연구를 통해 뇌가 크다고 더 똑똑하게 먹이를 찾는 건 아니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독일 막스 플랑크 동물 행동 연구소(MPI-AB)와 미국 스미스소니언 열대연구소(STRI) 연구팀은 29일 영국 왕립학회 회보 생물과학 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에서 파나마 열대우림에서 같은 과일을 먹는 영장류 거미원숭이와 흰턱 꼬리 감기 원숭이, 너구리 친척인 긴코너구리와 킨카주가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경로를 분석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獨·美 연구팀 "열대우림 동물 관찰 결과 뇌 크기-먹이찾기 효율성 관계없어"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뇌가 크면 더 똑똑할까? 독일·미국 연구진이 파나마 열대 우림에 사는 영장류와 포유류 4종이 먹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찾아내는지를 관찰하는 연구를 통해 뇌가 크다고 더 똑똑하게 먹이를 찾는 건 아니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파나마 열대우림에 사는 긴코너구리 [Christian Ziegler / Max Planck Institute of Animal Behavior 제공. 내판매 및 DB 금지]

독일 막스 플랑크 동물 행동 연구소(MPI-AB)와 미국 스미스소니언 열대연구소(STRI) 연구팀은 29일 영국 왕립학회 회보 생물과학 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에서 파나마 열대우림에서 같은 과일을 먹는 영장류 거미원숭이와 흰턱 꼬리 감기 원숭이, 너구리 친척인 긴코너구리와 킨카주가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경로를 분석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인간 등 영장류가 다른 대부분 포유류보다 뇌가 더 커진 이유는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과일 등 먹이와 두뇌가 상호작용해 발달을 촉진했다는 '과일 식단 가설'이 유력하게 제기돼 왔다. 두뇌가 큰 동물은 지능을 이용해 과일을 더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었고, 그 결과 큰 두뇌에 더 많은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뇌 크기와 과일 섭취량 사이에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이 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동물이 더 많은 과일을 먹으려면 과일나무를 찾아내고 과일이 익는 시기를 기억하는 등 인지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논문 제1 저자인 STRI의 벤 허시 연구원은 그러나 "과일 식단 가설은 실험적으로 뒷받침된 적이 없다"며 이 가설에 의문을 제기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파나마 바로 콜로라도 섬 열대우림에 사는 거미원숭이와 흰턱 꼬리 감기 원숭이, 긴코너구리, 킨카주가 매년 3개월간은 '딥테릭스 올레페라'(Dipteryx oleifera) 나무의 열매만 먹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 GPS 장치로 이들의 이동 경로를 추적해 두뇌 크기와 이동 효율성 간 관계를 분석했다.

먼저 딥테릭스 나무의 분홍색 꽃이 피는 여름에 드론을 띄워 딥테릭스 나무 위치 지도를 만들고, 이들 동물에 부착한 GPS로 나무를 찾아 이동하는 경로와 나무에서 먹이활동을 한 시간 등을 분석, 각 동물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먹이를 찾아내는지 조사했다.

드론을 이용해 제작한 파나마 바로 콜로라도섬 딥테릭스 나무 지도 [Hirsch et al. Proc B 2024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거미원숭이와 흰턱 꼬리 감기 원숭이의 효율성이 긴코너구리나 킨카주보다 더 높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두뇌 크기와 이동경로 효율성 사이에서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논문 교신저자인 MPI-AB 메그 크로풋 교수는 "이 연구에서 뇌가 큰 동물이 먹이를 찾을 때 더 현명한 결정을 내린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며 "열대우림에 사는 이들 동물의 경우에는 큰 두뇌가 과일나무를 더 효율적으로 찾는 데 사용되지는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허시 연구원은 큰 두뇌가 먹이 찾기 효율을 높이는 데 작용하지 않고 "일화기억(episodic memory)을 촉진, 과일나무 방문 시간을 잘 조절함으로써 섭취하는 과일의 양을 최대로 늘릴 수 있게 해줄 가능성은 있다"고 덧붙였다.

◆ 출처 :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Meg Crofoot et al., 'Smarter foragers do not forage smarter: A test of the diet hypothesis for brain expansion', http://dx.doi.org/10.1098/rspb.2024.0138

scitec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