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시선] 개방·포용의 한·중관계를 기대하며
대화협의체 정상적 운영위해 정치화 차단해야
한·일·중 3국 정상회의는 한국과 중국 관계의 변화 가능성을 사뭇 기대하게 하는 분위기 속에 27일 막을 내렸다. 이런 기대감은 전략대화 채널의 신설과 재개에 양국이 합의한 사실에 근거한다. 2016년 중국이 사드 보복 조치를 취한 이후 대부분의 전략대화가 중단되었다. 최근에서야 경제 장관급 회담(2022, 2024)이 열렸다. 통상 분야에서 장관 회담을 화상(2022)과 약식(2023) 형식으로 가진 바 있다. 외교·국방전략대화(2+2)는 2015년 이후 없었다. 2단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은 이미 8년 전에 중단됐다. 이번 한·중 정상 간의 약식회담에서 합의한 대화채널의 신설과 재개가 가장 큰 성과로 평가받는 이유다.
한·중 간에 접점을 찾기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은 지속되었다. 윤 대통령이 중국 측 인사와 가진 공식 회담 이외에도 중국과 계속 이어진 물밑 접촉도 이의 방증이다. 2023년 한 해 동안 한·중 정상 간의 서한 교환은 10차례 이상, 총리는 5차례 이상, 외교장관은 5차례 이상 있었다. 이밖에 다자회의에서의 대화와 약식회담도 적지 않게 했다. 이런 소통의 결과로 한·중·일 3국 정상회의가 얼마 전 빛을 보게 된 것이다.
한·중 양국의 국익 접점은 이번에 신설 또는 재개하기로 한 협의체로 드러났다. 2단계 FTA 협상을 위한 수석대표회의의 6월 개최가 대표적이다. 또한 리창 중국 총리가 삼성전자와 별도의 만남을 요청한 데서 드러나듯, 중국은 우리의 투자를 원한다. 한중투자협력위원회를 13년 만에 개최하기로 합의한 것도 맥을 같이한다. 공급망 영역에서도 협력·조정협의체, 핫라인, 수출통제 대화체 등의 출범을 이끌어 낸 것은 우리 국익에 부합한 고무적인 사건이다.
안보 영역에서도 고위급 수준의 외교안보대화와 외교차관 전략대화뿐 아니라 1.5트랙 대화의 개최에도 합의했다. 한반도 안보 문제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려는 양측의 의사가 반영된 것이다. 더 이상 사드 제재와 같은 비상식적이고 일방적인 조치로 한국과 대화와 관계를 단절하는 것이 중국에 이롭지 않다는 중국 내 분위기가 전해진 결과라 할 수 있다.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중관계의 전환이 가능한 계기가 이제 포착되었다. 이의 결실은 우리 국익을 위한 협의체의 정상적 운영에 있겠다. 우리의 입장은 명백하다. 개방적이고 포용하는 자세로 이에 임하는 것이다. 협의체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중국의 자제가 필요하다. 더 이상 이를 정치화, 안보화하면 안 될 것이다. 일본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한국의 사드 배치 등과 같은 정치적인 이유로 중국은 3국 정상회의를 4차례 취소한 바 있다. 더 이상의 협의체를 정치화해서는 안 된다. 정례화, 제도화된 협의체가 정치와 무관하게 운영되어야 하는 규범 수용이 필요하다.
주재우 경희대 교수·국제정치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경태 “김건희, 계엄 선포 1시간 전 성형외과서 나와”
- 축의금은 10만원이지만…부의금은 “5만원이 적당”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빠짐없이 교회 나가던 아내, 교회男과 불륜
- 황정음, 이혼 고통에 수면제 복용 "연예계 생활 20년만 처음, 미치겠더라"
- 은지원, 뼈만 남은 고지용 근황에 충격 "병 걸린 거냐…말라서 걱정"
- '명문대 마약동아리' 대학생과 마약 투약한 의사, 징역형 집행유예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