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없는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2030년 45% 탄소 감축”

이준희 2024. 5. 28. 18: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광역시가 '제1차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발생량을 2018년 대비 45% 감축해 '기후위기 없는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부산 에코델타시티(EDC) 조감도. 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부산광역시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발생량을 2018년 대비 45% 감축해 '기후위기 없는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해양분야 산업·기술, 대학 인재육성, 폐기물 집적단지 등 부산의 강점을 극대화 탄소중립 정책으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40%를 뛰어넘는 성과를 달성한다.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을 제정해 '탄소중립'을 목표로 녹색기술·산업이 접목된 물류·금융, 디지털·첨단산업 분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저탄소 생태계를 선점하고 '2050 탄소중립'을 조기 실현한다는 목표다.

최근 부산시는 작년 4월 마련된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 지난 1년 동안 수립한 '제1차 부산광역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기후위기 없는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라는 비전을 실현하고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가속화하기 위해 △15분 공간 탄소중립 도시 △글로벌 수소경제 그린도시 △자원 재활용 메카도시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해양도시 등 4대 정책을 추진한다.

부산혁신 1호 공약으로는 '15분 도시 부산' 비전을 선포했다. 도보와 자전거 등으로 생활, 일, 상업, 의료, 교육, 여가 등 6가지 필수기능을 15분안에 수행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지속가능한 도시를 조성하자는 취지다. 보행중심 생활환경을 조성해 탄소배출을 낮추고, 생활권에 녹지공간을 조성하고 자원재활용 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해양분야에 특화된 미래 수소경제 성장 전략으로 수소산업 등 친환경 에너지·탄소중립 산업을 육성한다. 혁신 기술 개발과 인재양성, 수소시범도시 조성 등 다양한 융합 전략으로 수소산업 거점도시로 성장한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순환경제로 전환은 필수다. 부산시는 세계 최고 수준 대도시내 폐기물 집적화·폐자원 순환 기반을 구축해 재제조업 등 재활용 산업을 선점할 계획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태풍 등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글로벌 해양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탄소중립 정책과 적응대책을 선제적으로 이행할 방침이다.

부산의 중심산업도 탄소중립형으로 탈바꿈으로 한다. 탄소중립형 항만 인프라와 연관 산업을 육성해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해상도시를 건설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한다.

부산광역시가 제로에너지 건축, 로봇 등이 적용된 스마트 건축물을 조성하고 스마트한 기술로 편리한 주거단지 모델을 제시한다. 출처 부산시

특히, 부산시는 '1차 기본계획'에 지자체에 관리권한이 있는 부문별 감축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부산 권역내에서 2018년 1662만8000톤에 달했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914만6000톤으로 45% 감축할 계획이다. 이는 '2030 NDC'보다 5%포인트(P) 높은 도전적 수치다. 다만 전환, 산업 등 국가에 권한이 있는 부문은 제외했다.

부문별로는 건축 부문의 경우 56.9% 감축한다. 신축건물의 제로에너지화, 기축건물의 그린리모델링 등 에너지 효율을 향상한다. 녹색건축기준 강화 등 제도를 개선한다. 태양광, 바이오가스 활용 전력·열생산 등 신재생에너지를 보급 건물 에너지 자립도를 향상시킨다. 시민참여형 인센티브도 확대한다.

도로수송에서는 21.5% 감축한다.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를 보급하고 내연차 조기폐차를 지원한다. 첨단 모빌리티 기반 대중교통 체계를 구축해 이용편의성을 제고한다. 차량 이용감소,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도 확대한다.

농축수산 부문에선 80.4% 감축한다. 정보통신기술(ICT) 등 신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팜, 스마트 양식과 같은 스마트 생산기반을 구축한다. 에너지저감 장치 보급지원 등으로 에너지효율도 높인다.

폐기물 분야에선 22.8% 감축한다. 감량(Reduce)·재사용(Reuse)·재활용(Recycle) '3R 정책'을 추진한다. 2030년 직매립 제로화에 대비해 배출·수거단계부터 원천감량한다. 일회용품 사용저감 등 소비문화를 개선하고 폐기물 재자원화 및 에너지화 기반을 구축해 순환경제를 활성화한다.

그외에도 수소 산업을 육성한다. 해양과 내륙을 연계한 수소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수소 모빌리티 등 수소 활용 인프라를 확대 조성하고, 기술개발·인력양성 등 수소산업 생태계 기반을 강화한다.

흡수원(산림, 해양), 이산화탄소포집·활용·저장(CCUS) 등을 통해 배출을 상쇄하고, 국제감축 보충수단을 활용하는 정책도 추진한다.

생활권 도시숲 조성, 블루카본 등 신규흡수원을 확대하고, 산림자원 보전 및 재해최소화로 흡수원을 강화한다. 동해가스전 활용 저장기술, 매립장 탄소포집 원료 생산·활용기술 등 지역특화형 CCUS 기술개발과 실증 강화에 나선다. 지역 산업의 강점을 활용해 개발도상국가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과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제1차 부산광역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지역별 주요 프로젝트. 출처 : 부산시

계획 추진을 위해선 올해부터 2030년까지 총 16조9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다. 올해 탄소중립 녹색성장 예산은 부산시 전체 재정규모 15조7000억원의 3.47%에 달하며 매년 투자예산이 증가할 전망이다.

이병석 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은 “앞으로 7년간 부문별 감축대책에 총 11조3400억원, 연평균 1조6000억원이 소요될 것”이라면서 “국비가 6조5400억원으로 57.7%, 시비는 4조1200억원으로 36.3%, 민자가 6000억원으로 5.3%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그 외에도 적응대책 1조1000억원, 공유재산 대응 7000억원, 청정에너지 전환 촉진 3조1000억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산광역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비전 및 체계도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