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은 ‘40분 도시’…출퇴근·쇼핑·병원 등 하루 7000만 건 생활이동 분석
수도권 주민들이 출퇴근하거나 물건을 사고, 병원을 가는 등 일상적 이동에 평균 40분 안팎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인천에서 서울로 향하는 출근 시간은 평균 71분으로, 서울 시내 출근(35.3분)의 2배가 걸렸다.
서울시는 서울·경기·인천 거주자의 모든 움직임을 20분 단위로 집계해 이 같이 분석할 수 있는 ‘수도권 생활 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3개 지자체와 연구원, 통계청과 (주)KT의 공공·통신 빅데이터를 융합한 정보다. 통신은 통화·문자 등 유형 데이터가 아니라 기지국과 단말기 주고받는 신호 등 사용자가 완전히 비식별화된 통계 자료다.
이를 통해 서울과 수도권 시민들의 출퇴근·등하교, 쇼핑·의료·관광·종교시설 방문 등 모든 종류의 이동을 포함해 특정한다. 대중교통 이용 정보와 인구조사, 휴대전화 신호 데이터를 가로·세로 250m 단위로 수집한 것으로 수도권 면적을 4만1000개로 나눠 추계하는 방식이다.
30분 이상 체류한 지점들을 선으로 이어 동선을 만들고, 출발·목적지와 반복성 등을 감안해 이동 목적을 추적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과 경기, 인천을 포괄한 데이터를 개발해 상시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세계 유례없는 시도”라며 “수도권 내 모든 이동을 언제(시간대), 어디에서(출발지) 어디로(도착지) 어떻게(수단) 왜(목적) 이동했는지 내·외국인별로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분석 결과 수도권에서는 하루 평균 7135만 건의 이동이 발생했다. 경기도(51%)에서 절반 이상 이뤄졌고, 서울(38%)·인천(10%) 순이다.
출근 시간은 수도권에서 서울로 향하는 경우 평균 71분이 걸렸다. 인천→서울(76.5분)이 경기→서울(65.4분)보다 길었다.
서울 시민의 출근 시간대(오전 7~9시) 이동은 89%(290만명)가 서울 내에서 이뤄졌다. 경기도 시민은 81%(358만명)가 경기도 내에서, 17%(76만명)는 서울로 향했다. 인천 시민은 77%(70만명)가 지역 내에서, 경기·서울로 출근한 경우는 각 12%·11%로 추정됐다.
수도권 각 지역 안에서 출근하는 시간은 서울(35.3분)이 가장 길고, 경기(27.6분), 인천(25.9분)은 30분 이내다.
이번 빅데이터를 조합하면 수도권은 ‘40분 도시’로 나타났다. 출근·등교, 귀가뿐 아니라 쇼핑·병원 등 생활에 필수적인 목적을 위한 이동 시간과 거리를 분석한 것이다.
서울은 평균 37분 내 일상과 밀접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경기는 40분, 인천은 41분이 걸렸다. 거리로 보면 서울 시민은 평균 6㎞ 반경 내 생활권이 형성돼 있고, 경기·인천은 9㎞였다.
수도권 이동에 가장 큰 편차를 보인 것은 병원에 대한 접근성이다. 서울은 어디서든 40분 내 병원에 도착했으나 경기는 63분, 인천은 64분이 소요됐다.
서울시는 이동 데이터를 향후 도시 개발과 교통 인프라·버스 노선 최적화, 행정·생활시설 재배치, 상권 활성화 등 정책에 활용할 방침이다. 생활권별로 병원·학교·쇼핑몰 등 기능을 재배치하고 거점별 행정시설을 집중·분산해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지역 균형을 맞춘다는 취지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존 교통카드 데이터는 지하철·버스 등을 타기 전후 이동 방식을 파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며 “이번 빅데이터는 대중교통 승하차 단계 앞뒤로 걷거나 자전거·택시를 이용한 이동까지 분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데이터를 통해 특정 지역 출근 인구가 버스 1대에 달하는 규모로 존재한다는 점이 확인되면 경유 없는 직행 통근버스 노선을 신설할 수도 있다. 거리는 가까워도 통근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환승센터나 정류장 등을 조정해 환경을 개선한다.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 홈페이지(행정동·1시간 단위)에 하루 단위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또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오프라인)를 통해서는 세분화된 실시간 데이터(250m격자·20분 단위)를 집계해 공개한다.
최준기 KT AI사업본부장은 “과거 인구조사는 1% 샘플로 이뤄졌다”며 “이번 생활인구 데이터는 전체 통신 이용자의 30%(KT 점유율)로 모수가 크다”고 말했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데이터는 원칙적으로 모두 개방하고 예외적으로 비공개하는 네거티브 규제방식으로 정착시킬 것”이라며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공공분야 빅데이터로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된 연구·창업·경제활동 등이 활발히 진행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빗속에 모인 시민들···‘윤석열 퇴진·김건희 특검’ 촉구 대규모 집회
- 트럼프에 올라탄 머스크의 ‘우주 질주’…인류에게 약일까 독일까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
- “나도 있다”…‘이재명 대 한동훈’ 구도 흔드는 경쟁자들
- 제주 제2공항 수천 필지 들여다보니…짙게 드리워진 투기의 그림자
- 말로는 탈북자 위한다며…‘북 가족 송금’은 수사해놓고 왜 나 몰라라
- 경기 안산 6층 상가 건물서 화재…모텔 투숙객 등 52명 구조
- [산업이지] 한국에서 이런 게임이? 지스타에서 읽은 트렌드
- [주간경향이 만난 초선] (10)“이재명 방탄? 민주당은 항상 민생이 최우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