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들 쓰는 건데 암 유발"…알·테·쉬 '충격의 발암물질', 기준치 428배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지난달부터 중국의 대표 쇼핑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이하 알리)·테무·쉬인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제품에 대해 안전성과 품질 검사를 실시한 결과 10개 중 4개 이상의 제품이 '부적합' 판정이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와 내구성 등에 대한 5월 다섯째주 검사 결과를 보면 가방·신발·벨트 등 쉬인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가죽제품 8개 가운데 7개 제품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알리·테무 등은 시가 판매 중지를 요청한 유해 성분 검출제품을 더 이상 판매하고 있지 않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지난달부터 중국의 대표 쇼핑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이하 알리)·테무·쉬인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제품에 대해 안전성과 품질 검사를 실시한 결과 10개 중 4개 이상의 제품이 '부적합' 판정이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28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제로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와 내구성 등에 대한 5월 다섯째주 검사 결과를 보면 가방·신발·벨트 등 쉬인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가죽제품 8개 가운데 7개 제품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어린이용 가죽가방은 4종 모두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1개 제품에선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를 1.2배 초과했고, 나머지 3개 제품에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최대 153배 나왔다. 두 물질 모두 암을 유발할 수 있다. 아울러 2개 제품은 중금속 함유량도 기준치를 넘었다.
어린이용 신발과 가죽 벨트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폼알데하이드가 초과 검출됐다. 신발 1개 깔창에선 폼알데하이드 수치가 기준치를 1.8배 초과했고, 나머지 1개 제품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역시 428배 초과 검출됐다. 물리적 안전 요건 시험 기준에서도 크기가 작은 신발 부속품이 떨어져 나오며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어린이용 가죽 벨트에선 납이 안전 기준치의 1.78배를 초과했다.
시는 지난달 8일 첫 안전성 검사 결과발표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7차례 유해물질 검출 결과를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어린이들이 직접 만지고 사용하는 93개 제품에 대해 우선적으로 검사를 진행했고, 그중 43%에 달하는 40개 제품에 대해 부적합 판정을 내렸다. 단일 제품에서 여러 유해성분이 검출된 경우도 있어 발생 건수로 따지면 총 57건에 이른다.
가장 많이 검출된 유해 성분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다. 완구와 학용품, 장신구 등 총 25개 제품에서 나왔다. 다음으로 납·니켈 등 중금속이 15개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했다. 중금속의 경우 몸 밖으로 쉽게 배출되지 않고 인체에 축적돼 장기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가습기 살균제 성분으로 알려진 CMIT(클로로메틸이소치아졸리논), MIT(메틸이소치아졸리논) 같은 사용금지 방부제(3건)와 폼알데하이드(2건), 붕소(2건), 바륨(1건) 등도 기준치를 초과한 제품이 있었다. CMIT와 MIT는 피부·호흡기에 강한 자극을 일으키고, 흡입·섭취·피부 접촉 시 부상은 물론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다. 붕소는 생식계통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바륨은 위장관장애·심전도 이상·근육마비 등 부작용을 유발한다. 이밖에 기계적·물리적 시험에 탈락한 제품은 총 9개로 날카로운 부분이 베임·긁힘 등을 유발하고 작은 부품으로 인한 삼킴·질식 등의 위험도 있었다.
시는 앞으로 안전성 검사 대상을 어린이 제품에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식품용기, 위생용품, DIY 사수, 킥보드 등 어린이용 놀이기구, 화장품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간단 계획이다. 오는 7월엔 물놀이용품도 집중적으로 들여다본다.
현재 유해성이 확인된 제품에 대해선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사에 판매 중지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해외직구 상품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 알리·테무 등은 시가 판매 중지를 요청한 유해 성분 검출제품을 더 이상 판매하고 있지 않다. 이밖에 해외 플랫폼 소비자피해 신고센터를 운영해 소비자 피해상담 및 적합한 구제 방안도 안내하고 있다.
송호재 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지난 4월 첫 검사 이후 해외 온라인 플랫폼의 유해 제품으로부터 시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안전검사 대상을 확대하고 다양한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해 시민들의 안전을 보호하겠다"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flow@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저지당한 윤아 '당황', 칸 영화제서 '인종차별'…애써 웃는 모습[영상] - 머니투데이
- "강형욱, 급여 9670원 입금…잘못 알고도" 전 직원이 밝힌 전말 - 머니투데이
- "김호중은 권상우 때문"…누리꾼이 소환한 14년 전 사고 내용은 - 머니투데이
- "밟아줄 수 있죠?" 방시혁 도발에 웃참?… 윈터 '묘한' 표정 포착 - 머니투데이
- "남자가 술 먹고 운전할 수 있지"…김창열 흑역사 소환한 김호중 사건 - 머니투데이
- "삼전과 합병할수도" 깜짝 리포트…삼성SDS 주가 10% 급등 - 머니투데이
- "성관계 안 한지 몇년 됐어요"…전현무가 켠 '숏폼 영상'에 화들짝 - 머니투데이
- "월 400만원 줘도 싫어" 청년들 거절…멈춰버린 폐기물 집게차 - 머니투데이
- 중학생 8.3%가 "경험있다"…마약 사용 실태조사 '충격' 결과 - 머니투데이
- 영업이익 1169억, 성과급 2400억?…현대트랜시스 노조, 또 주택가 시위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