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한밤 정찰위성 기습 발사… 1단계 비행 중 폭발했다

양지호 기자 2024. 5. 27. 22: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중일 회담 끝난 날
北, 도발했지만 실패
새벽 “폭발” 공식 발표
합참은 28일 이례적으로 북한 군사위성 공중 폭발 장면을 공개했다. 우리 군 카메라에 포착된 지 30초 만에 화염에 휩싸였다.

북한이 27일 오후 10시 44분쯤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으로 군사 정찰위성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일본 해상보안청도 북한에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가 발사됐다고 발표했다. 다만 합참은 “북 발사체는 10시46분쯤 북한 측 해상에서 다수의 파편으로 탐지돼 공중폭발 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28일 새벽 북한은 군사정찰위성 발사 과정에 신형 로켓 1단이 비행 중 공중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발사 실패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8일 “군사정찰위성발사시 사고발생”이라며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케트에 탑재해 발사를 단행했지만 1계단 비행 중 공중폭발해 발사가 실패했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북한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부총국장을 인용해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석유발동기의 동작믿음성에 사고의 원인이 있는것으로 초보적인 결론을 내렸다”고 했다.

북한이 다음 달 4일까지 인공위성을 실은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일본에 통보한 가운데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린 이날 기습 도발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한·중·일 정상이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안정·번영이 공동 이익이자 공동 책임이라는 것을 재확인했다”고 밝힌 지 8시간 만이었다.

북한은 앞서 27일부터 내달 4일 사이 인공위성을 실은 로켓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일본 해상보안청에 통보하면서 추락 가능 위험 지점으로 남서쪽의 서해 해상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을 지정했다. 모두 지난해 3차례 군사 정찰위성을 발사(실패 2회, 성공 1회)했을 때와 같은 지점이다.

오후 10시 45분경 중국 측에서 북한 상공을 촬영한 카메라가 포착한 영상에는 붉은 색의 가느다란 빛이 상공으로 올라가고 수십 초가 지나자 빛이 커지는 모습이 담겼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밤 북한의 발사 소식을 접한 오키나와현을 대상으로 전국 순시경보시스템(J얼러트)을 발령했다고 보도했다. NHK는 오후 10시 45분쯤 중국 측에서 북한 상공을 촬영한 카메라가 찍은 영상에 붉은색을 띤 얇은 빛이 상공으로 올라가고 수십 초가 지나면서 빛이 커진 모습이 포착됐다며 영상을 공개했다.

북한은 올 초 군사 정찰위성 2호기를 발사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기술적 문제를 보완하는 과정에 시간이 지체된 것으로 군 당국은 분석했다. 러시아 기술진이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을 제공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으로 바닥난 러시아의 포탄과 탄도미사일 등을 채워주는 대가로 위성 발사체 관련 기술을 받는다는 정황이 지난해부터 포착됐다. 북한이 정찰위성을 갖게 되면 탄도미사일·순항미사일 등 대남 타격용 미사일의 정밀성이 높아져 우리 안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군 소식통은 전했다.

북한이 지난해 11월 쏘아 올린 첫 군사 정찰위성 만리경 1호가 사실상 고장 난 상태라고 가정했을 때, 북 정찰위성 2호기는 북한군의 ‘눈’이 될 수 있다. 북한은 미 본토가 사거리인 ICBM뿐 아니라 군산 기지, 부산 작전 기지 등 대남 타격이 가능한 전술핵 탄두 탑재용 단거리·중거리 탄도미사일을 다양하게 개발해 보유한 상태다. 군 정보 소식통은 “그동안 북한은 자체 위성 정찰 능력이 사실상 전무해 이런 무기를 효과적으로 쓰기 어려웠지만 정찰위성 2호기가 정상 작동할 경우 비핵보유국인 우리로서는 치명적인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했다.

한국군은 이날 북한의 미사일 도발 등에 대비해 이날 오후 1시쯤부터 군사분계선 이남에서 공군 F-35A, F-15K, KF-16 등 전투기 약 20대가 참가한 공격 편대군 비행 훈련 및 타격 훈련을 벌였다. 북한 핵미사일 공격 능력을 선제 타격하는 ‘킬 체인’(kill chain) 핵심 전력 운용 훈련으로 북한에 경고한 것이다. F-35A는 스텔스 전투기로 북한 레이더 및 방공망을 피해 은밀 침투·정밀 타격이 가능한 전력이다. F-15K는 대전 상공에서 평양 주석궁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공대지 폭격 능력을 갖추고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