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원가 줄어도 가격 그대로’ 식품사들… 이러다간 역풍 맞을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원재료비 상승을 이유로 가격을 올렸던 식품 기업들이 원재료비가 하락해도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가 주요 식품 기업 20곳의 올해 1분기 매출원가율을 조사한 결과, 16곳의 매출원가율이 하락했다.
식품 기업의 행태가 고물가를 틈타 과도하게 가격을 올려 다시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그리드플레이션'(탐욕+물가 상승)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는 지난해부터 메뉴 가격을 약 10∼20%씩 인상했거나, 조만간 인상할 예정이다. 유지류 가격 상승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지난해 4월 일찌감치 가격을 올린 한 치킨 업체는 올해 1분기 매출원가율이 8.6%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2배 넘게 늘었다. 식품 납품가 인상으로 대형마트에서 파는 초콜릿, 음료수, 김, 간장 등 가공식품 가격도 다음 달부터 일제히 오른다. 그런데 그 상승 폭이 최대 25%에 달하는 등 원재료비 상승 폭을 훌쩍 뛰어넘는다.
국제 곡물 가격이 2년 새 25% 내리는 등 원재료비는 안정을 찾아가는 추세다. 그런데 한 번 오른 식품 가격은 도통 내리지 않는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원가 상승만큼 원가 하락도 빠르게 반영해야 한다”며 가격 인하를 촉구했다. 기업들은 재료비 외에 인건비 물류비 등도 올라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올해 1분기 주요 식품 기업은 사상 최대 실적을 내는 등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가격 인상으로 비용 상승분을 상쇄하고 이익까지 남겼다는 뜻이다. 식품 기업의 행태가 고물가를 틈타 과도하게 가격을 올려 다시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그리드플레이션’(탐욕+물가 상승)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식품 기업의 실적이 개선된 것은 해외 수출이 급증한 덕이 크다지만, 외식 물가가 치솟으며 간편식 등 외식을 대체한 수요가 늘어난 것도 그 원인이다. 이처럼 서민들은 씀씀이를 줄여가며 고물가의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 이런 어려운 시기에 사지 않을 수 없는 식품을 파는 기업들이 호황을 누리면서 원가 절감분조차 제때 반영하지 않는다면 결국 소비자의 신뢰를 잃고 역풍을 맞게 될 것이다.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명 “연금 44%안 수용… 이번 국회 처리” 대통령실 “청년의견 반영해 다음 국회 결정”
- [정용관 칼럼]대통령 뒤에 숨은 前 국방장관
- 한중 FTA, 문화-법률로 확대 추진
- 尹 “라인사태, 한일관계와 별개”… 기시다 “보안유출 사건일뿐”
- 北, 일본에 “6월 4일 이전 위성 발사” 통보
- 육군 훈련병, ‘군기훈련’ 중 쓰러져 이틀만에 숨져
- 갑자기 손에 힘이 빠지면서 물건을 떨어뜨리곤 한다
- 음주 뺑소니 입증 난항… 경찰 ‘위드마크’ 13건중 8건 법원 불인정
- “올트먼-머스크에만 AI 운명 맡길순 없어”
- 주운 신용카드로 300원 결제한 여고생들…“배려 빛나” 칭찬 쏟아진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