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야후’ 사태 막후엔 손정의?…“결국 日비즈니스맨 손마사요시였나” [일상톡톡 플러스]

김현주 2024. 5. 25. 11: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12~18일 구글 트렌드, 손정의 관심도 1년새 최고…‘라인야후’ 사태 모종의 역할?
한국어, 국적 등 연관검색어로 주목…韓기업 투자, ‘재일교포’ 우호적 이미지 옅어지나
‘라인야후’ 사태가 한·일 양국 정부와 네이버, 소프트뱅크 등 여러 이해 관계자들이 뒤섞여 장기화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소프트뱅크 그룹의 오너이자 재일교포로 알려진 손정의(孫正義, 일본명은 손마사요시) 회장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도 들끓고 있다.

재일교포 3세라는 점을 앞세워 국내에서 그동안 우호적인 이미지를 쌓아왔으나, 이번 라인야후 이슈로 인해 그에 대한 여론이 ‘비즈니스에 눈이 먼 일본인’이라는 부정적인 측면으로 강하게 돌아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구글트렌드 갈무리
구글 트렌드 분석에 따르면 지난 12~18일 최근 1주일간 국내에서 손 회장과 소프트뱅크에 대한 검색 관심도가 최근 1년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트렌드는 온라인 검색 데이터와 뉴스 기사 등 특정 키워드와 주제에 관련된 정보의 관심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0부터 100까지 수치로 보여주며 100에 가까울수록 관심도가 높다는 의미다.

구글 트렌드에서는 ‘손정의’에 대한 관심도 수치가 77로 최근 1년새에 가장 높게 나왔다. 소프트뱅크에 대한 관심도 수치는 100으로 나타났다. 실제 이 시기는 지난 14일 라인야후가 일본 정부에 제출해야 하는 조치 보고서에 네이버의 지분 매각 등 경영권 처분에 대한 내용을 담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이 공개된 시점이라 국내에서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관심이 가장 뜨겁던 시점이기도 하다.

손정의 회장에 대해 ‘연관 급등 검색어’로는 ▲손정의 한국어 ▲손정의 국적 ▲손정의 지분 등이 상위권에 올랐는데, 이는 손 회장이 한국과 연관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의문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손 회장은 일본에서 소프트뱅크를 창업한 뒤 벤처캐피탈과 정보통신기술(ICT) 등의 여러 산업 분야에 걸쳐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그동안에는 손 회장이 재일교포 3세인 데다 ‘야놀자’ ‘쿠팡’ 등 국내 기업들에 다수 투자하고 교류했다는 점을 이유로 국내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대다수였다. 하지만 이번 라인야후 사태의 핵심에 소프트뱅크 그룹이 있으며, 이를 이끄는 게 손 회장이기에 개인적 비판과 부정적인 여론이 국내에서 급격히 확산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손 회장을 언급하는 게시물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이들의 대부분은 “손정의가 아니라 사실은 일본인 손마사요시였다” “한국말도 제대로 못하면서 무슨 재일교포냐” “철저하게 자본의 논리로 움직이는 비즈니스맨”이라는 부정 여론이 적지 않았다.

라인야후가 오는 7월 일본 정부에 제출할 보고서에 지분 매각 내용을 담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당분간 이를 둘러싼 논란은 지속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한국 정치권과 더불어 네이버 노동조합까지 가세하며 상황이 복잡해지고 있다.

네이버 노조는 사측의 라인야후 지분 매각 시 ▲국가 IT 기술 경쟁력 유출 ▲고용 안정성 우려 ▲장기적 글로벌 진출 사기 저하 등을 주요 문제점으로 제시했다. 노조에 따르면 라인의 한 구성원은 "라인이란 회사를 정말 사랑하고 이만큼 애사심이 들게 한 회사는 없었다. 일본 경영진 영향력이 커짐으로써 한국 법인과 국내 임직원들의 입지가 흔들릴 것으로 보여 개탄스럽다"고 우려했다.

대만, 태국 등 일본 외 국가에서 라인 비즈니스를 펼치고 있는 한국 자회사 라인플러스에 대해서도 일본의 라인야후 측이 "네이버와 라인플러스가 직접적 자본관계가 없으니 라인플러스도 라인야후 산하로 총괄할 것"이란 입장을 밝힌 상태다.

이는 업계 일각에서 제기된 네이버가 일본 외 국가의 사업을 담당하는 라인플러스를 별도로 분할해 확보할 수 있다는 전망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라 운신의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다만 시장과 업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민간의 비즈니스 협력 관계에서 정치 논리가 대입되면 협상이 깨질 수 있어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세계일보에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 주권이란 측면에서 라인야후 사태에서 우리 정부와 기업의 대응방식이 정해질 필요가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해외 비즈니스를 확장하거나 투자 유치를 하는 과정에서도 다양한 측면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