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계, 좌파가 실세"라던 평론가, 영등위원장 됐다

윤수현 기자 2024. 5. 25. 09: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계를 좌파로 규정하는 등 정치적 발언을 해온 인사들이 영화 등 영상물 등급을 분류하는 기구의 위원장과 부위원장으로 선임됐다.

문체부(장관 유인촌)는 지난달 26일 영등위원을 위촉했고 영등위는 지난 22일 정기회의에서 김병재 영화평론가를 위원장으로, 허엽 전 상무를 부위원장으로 선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병재 위원장, 2013년 세미나에서 "문화예술계 좌편향, 영화계 심각"
허엽 부위원장 유인촌에 "이념에 뒤틀린 문화 정책 바로세워야"
김병재 위원장 "영화 정책 연구자로서 개인적인 소견 밝힌 것"

[미디어오늘 윤수현 기자]

▲2013년 문화미래포럼 등 보수 성향 단체가 주최한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는 김병재 영등위원장. 사진=유튜브 참깨방송 갈무리

영화계를 좌파로 규정하는 등 정치적 발언을 해온 인사들이 영화 등 영상물 등급을 분류하는 기구의 위원장과 부위원장으로 선임됐다.

문체부(장관 유인촌)는 지난달 26일 영등위원을 위촉했고 영등위는 지난 22일 정기회의에서 김병재 영화평론가를 위원장으로, 허엽 전 상무를 부위원장으로 선출했다. 김 위원장은 문화일보 문화부 차장, 이데일리 문화부 부장 등을 역임했다. 허 부위원장은 동아일보 문화부장, 채널A 마케팅본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최근까지 출판사 예림당 사외이사를 지냈다.

김 위원장은 과거 한 토론회에서 영화계와 관련해 “좌파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실세인 곳”이라며 보수적 정치성향을 드러냈다. 김 위원장은 2013년 3월 문화미래포럼 등 보수 성향 단체들이 주최한 토론회에서 “이명박 정부 당시 영화진흥위원회 사무국장을 지냈는데, 문화계 좌파로 상징되는 민주노총 산하 영진위 노조와 소송까지 가고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그만뒀다”며 “영화계가 가장 좌쪽으로 경도돼 있다”고 했다.

또 김 위원장은 2015년 서울신문에 게재한 칼럼 <부산국제영화제가 먼저 실천할 것들>에서 영화진흥위원회가 부산국제영화제 지원금을 절반 가까이 삭감한 것에 대해 “공개적으로 정치적 보복 의혹을 제기하고, 정당한 심사 절차와 내용까지 불신하는 것은 억지”라고 했다. 2014년 부산국제영화제는 세월호 참사 관련 다큐멘터리 다이빙벨을 상영했다. 당시 영화계에선 영화진흥위원회가 다이빙벨 상영에 대한 보복을 한 것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허엽 부위원장이 동아일보 재직 시절 작성한 칼럼.

허 부위원장은 동아일보 재직 시절 칼럼을 통해 유인촌 문체부 장관이 좌편향된 문화계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허 부위원장은 2008년 3월 칼럼 <유인촌 문화장관이 해야 할 일>에서 “좌파정권은 함량이 모자라는 코드인사와 편향된 이념과 막말로 5년 내내 상처를 안겼다. 문화 부문도 좌파진영이 자리와 자금을 나눠먹으면서 산업적 예술적 창의적 동력을 잃어버렸다는 지적을 받는다”고 했다.

허 부위원장은 “노무현 정부의 첫 문화장관인 이창동 씨가 그 터를 닦았다. 이 장관 취임 이후 민예총과 노문모(노무현을 지지하는 문화예술인 모임) 출신들이 문화계 요직에 포진했다”며 “(유인촌 장관이 해야 할 것은) 이념에 뒤틀린 문화 정책과 대한민국의 철학을 바로 세우는 일”이라고 밝혔다.

허 부위원장은 이듬해 8월 칼럼 <유인촌 문화장관이 해야 할 일(2)>에서 “이명박 정부의 첫 문화장관으로서 좌파 이념에 뒤틀린 문화 정책과 대한민국의 철학을 바로 세워야 한다는 문화예술계의 요청을 전했다”며 “문화예술계 좌우파 간 갈등 때문에 가려진 측면이 있지만 유 장관은 그동안 문화 지원 사업 구조 개편, 포괄적 콘텐츠 진흥 정책 수립 등 다양한 정책을 현장에 옮겼다”고 평가했다.

과거 발언에 관해 김 위원장은 영등위 사무국을 통해 “10년 전 상황이고, 영화 정책 연구자로서 개인적인 소견을 밝힌 것일 뿐”이라고 했다. 허 부위원장은 “당시 현장에서 기자로 입장을 쓴 것”이라고 했다. 영등위는 문체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영화·비디오물 심의 기관이다. 위원회는 영상물 등급 분류, 사후관리 등 업무를 맡고 있다.

Copyright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