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전세시장 더 간다…빌라·다세대 기피부터 해소해야"
[편집자주] 전세대란이 현실화할까. 전세보증금이 서울은 너무 비싸서, 지방은 너무 싸서 난리다. 서울과 일부 수도권에선 전세 품귀 현상으로 전세가율이 치솟는 반면, 지방에선 세입자를 구하지 못한 신축 아파트 전세가 남아돈다. 수급 불균형은 시장을 왜곡시킨다. 전세대란의 천태만상을 들여다보고 원인과 영향을 분석했다.
25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아파트 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은 서울 53.2%, 전국 66.9%다. 서울은 전세가율 바닥권이었던 지난해 4월(50.8%)보다 2.4%포인트(p) 상승했다. 다만 과거 고점이었던 2016년 6월(75.1%)에 비하면 20%p 이상 차이가 났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전셋값 고점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상승할 폭이 많이 남아 있다"며 "2026년까지 공급물량도 부족해 올해를 포함해서 적어도 2~3년 정도는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내년 경기도 입주 물량이 5만가구 정도로 올해 10만가구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다는 점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전셋값을 자극하는 불안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박 전문위원은 "당장 전셋값 상승이 매매가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며 "전셋값이 올라 매매가격을 압박하려면 전세가율이 60% 수준은 돼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지금처럼 전셋값이 계속 오르면 갭투자가 유입되며 매매가격을 자극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전세시장 불안을 해결할 대책으로는 전세 수요 분산과 공급물량 확대를 공통적으로 꼽았다. 채 대표는 "전세 역할을 상실한 빌라 등 비아파트에 대한 세입자들의 불안감을 낮춰줄 방안이 요구된다"며 "수요가 아파트에 집중된 상황이 바뀌지 않으면 해결이 어려워 보인다"고 조언했다. 함 리서치랩장은 "공급과 수요 모두 병행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며 "공공 매입임대주택을 중심으로 공급을 확대하고, 연립·다세대 등 전세금 반환보증의 신용보강 등을 통해 여러 주택 유형으로 전세 수요가 분산돼야 한다"고 했다.
이민하 기자 minhari@mt.co.kr 김평화 기자 peace@mt.co.kr 김효정 기자 hyojhyo@mt.co.kr 이용안 기자 ki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강형욱, 훈련사들 존대"…해명 영상 본 반려인이 남긴 경험담 - 머니투데이
- 김호중 구속에 성명문 낸 팬들…"정치 이슈 은폐 용도 아니길" - 머니투데이
- 임영규, '사위' 이승기 팔아 사기쳤나…"그새X한테 돈 좀 받아야" - 머니투데이
- '오뚜기 3세' 함연지 깜짝 근황…미국법인 정식 직원 됐다 - 머니투데이
- 유재석, 80억 대박…24년 보유한 강남 아파트, 얼마 올랐나 보니 - 머니투데이
- "음주운전 곽도원, 원망스러워"…개봉 2년 미룬 곽경택, 솔직 심경 - 머니투데이
- 서동주, 경매로 산 집 알고보니…"7~8년 후 재개발" 겹경사 - 머니투데이
- "외벌이 띠동갑 남편, 딴여자 생겨"…6년간 '월말 부부', 아내의 고민 - 머니투데이
- 옥주현 목 관통한 '장침'…무슨일 있나 - 머니투데이
- 티아라 왕따설 전말은…김광수 "화영 계약서, 내가 찢었다" 눈물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