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中 무역장성' 쌓는 美·EU … 원자재·알테쉬 공습 맞선다
유럽, 리튬·마그네슘 의존도
2030년 65%까지 축소 목표
옐런 "중국 저가품 세계 위협
G7도 함께 해야 막을 수 있어"
미국과 유럽의 협공으로 중국이 '사면초가'에 처했다.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원자재 수입을 줄이는 핵심원자재법(CRMA)을 발효한 가운데 미국은 주요 7개국(G7)이 중국산 저가 상품에 맞서 '반대의 장벽'을 세워야 한다고 제안하고 나섰다.
23일(현지시간) 유럽의 원자재 공급망 자립성을 강화한다는 목표가 담긴 EU의 CRMA가 발효됐다. 앞서 EU 이사회는 지난 3월 CRMA를 공식 채택했는데, EU 관보 게재 시점부터 20일이 지난 이날부터 효력을 갖게 됐다.
CRMA는 유럽의 해외 원자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만들어졌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전 세계 공급망 충격,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이 논의가 가속화한 배경이다. 인공지능(AI)과 항공우주 기술 개발 경쟁 등으로 인해 안정적인 원자재 확보가 더 중요해진다는 전망도 더해졌다.
EU는 법 적용 대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핵심 원자재와 전략 원자재를 구체적으로 지정했다. 탄소중립 관련 사업에 필요한 원자재 34종이 핵심 원자재, 이 중 항공이나 국방 등 전략 산업에 필수적인 원자재 17종이 전략 원자재로 분류됐다.
전략 원자재에는 전기차 배터리 등에 반드시 필요한 흑연·리튬·니켈, 전기 모터에 필요한 희토류, 항공우주 산업에서 수요가 큰 티타늄, 반도체 필수 원자재인 갈륨 등이 포함된다.
이 원자재들의 공급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EU는 4개의 주요 방법론을 마련했다. 먼저 2030년까지 EU의 역내 전략 원자재 관련 목표치를 설정했다. 역내 원자재 채굴 비중을 10%로 늘리고 가공·처리는 40%, 재활용은 15% 수준까지 높인다. 제3국산 핵심 원자재 소비량은 65% 미만을 유지할 계획이다.
공급망 위기가 닥쳤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 일정 주기마다 위험 평가(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하며, 원자재 관련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한다. 학계와 연계한 인재 육성도 투자의 일환이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원자재 경제 생태계를 구성한다. 원자재 재활용을 촉진하고, 추출 폐기물에서의 핵심 원자재 재추출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허가에 수년이 걸렸던 EU 중심 역내·외 채굴 관련 신규 사업과 가공·재활용 관련 사업에 대해 각각 27개월 이내, 15개월 이내에 허가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EU 집행위원회는 이날 오후 "유럽은 국내 (제조) 역량을 늘리고 핵심 원자재 공급망의 지속가능성과 순환성을 강화하기 위한 틀을 갖추게 됐다"고 밝혔다.
EU는 CRMA 발효에 맞춰 이날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수석 부집행위원장 주재로 '유럽 핵심 원자재 이사회' 회의를 처음 개최했다. 이사회는 CRMA에 따라 EU 집행위와 EU 회원국 사이 전략 프로젝트 선정과 법 이행 관련 사안을 논의하는 역할을 한다.
법안에 명시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CRMA가 중국을 겨냥하고 있다고 본다. 전략 원자재로 지정한 흑연과 리튬, 희토류를 중국이 EU에 대거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흑연의 경우 중국이 전 세계 공급에서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도 연일 중국 압박의 고삐를 죄고 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23일 이탈리아 북부 스트레사에서 열린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하루 전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의 값싼 수출품이 제조업체의 생존 가능성을 위협할 수 있다. 미국의 관세정책을 따르라거나 무역정책 대응을 긴밀하게 조율하자는 건 아니지만, 우리는 단결해 중국에 통일된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그래야 중국도 한 국가만 이러한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중국)이 추구하는 전략에 대한 '반대의 장벽(wall of opposition)'에 직면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중국의 대표적 건축 유적인 만리장성(The great wall of China)을 빗댄 표현으로 보인다. 중국의 보조금 정책과 과잉 생산이 세계 경제에 위협이 되는 만큼 G7에 함께 무역 장벽을 세우자고 주장한 것이다.
앞서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22일 공개한 중국산 전기차와 반도체, 배터리, 의료품 등에 대한 관세 인상 조치 중 일부가 오는 8월 1일부터 발효된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지난 14일 180억달러(약 24조6000억원) 규모의 이들 물품에 대해 관세를 상향하겠다고 밝혔다.
기업들에 당장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지만 구체적인 이행 계획이 나오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CRMA 자체에는 역외산 제품에 대한 별도 차별 조항이 담겨 있지 않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최근 'EU CRMA의 주요 내용 및 대응 방향' 보고서를 내고 "(CRMA가) 전기차용 배터리와 부품 제조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공급망 다변화와 영구 자석 및 제품에 사용된 원자재에 대한 정보 수집·관리 등을 위한 장기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워싱턴 강계만 특파원 / 서울 김상준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버스서 술냄새 난다” 출근길 승객들 발칵…알고보니 기사가 음주운전 - 매일경제
- “한국에만 짝 있냐” 고학력男의 변심…월400 직장인도 “베트남댁 좋아요” - 매일경제
- “삼성전자 HBM칩 아직 엔비디아 테스트 통과 못해” <로이터> - 매일경제
- 김호중 소주 10잔 정도 마셨다더니…업소 직원 ‘충격진술’ 혼자서만 - 매일경제
- 하버드대 졸업생 수백명 졸업식장서 집단퇴장, 무슨 일이 - 매일경제
- “시간당 1만원 이모님이 날 살렸네”…정부 인증도 받아 부모들 ‘엄지척’ - 매일경제
- “한국 태권도가 일본팀 작품이라니”…세계적 오디션 방송 황당 오류 - 매일경제
- 삼성전자, 외신보도 즉각 반박…“엔비디아 HBM 공급 테스트 순조롭게 진행 중” - 매일경제
- “강제로 만지고 괴롭히고 촬영까지”…인천 남고생 3명, 같은 학교 장애학생 성추행 의혹 - 매
- 3골->12골 환골탈태 황희찬, 2023-24 EPL에서 가장 발전한 선수 4위 선정 쾌거!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