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소리' LNG선 임차료…K조선 수주 호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용선료(선박 임차 비용)가 상승세에 접어들며 한국 조선업계의 추가 수주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카타르 정부의 LNG 운반선 대량 발주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면서 신조 발주 시장이 잠잠해진 가운데 용선료가 지속적으로 오르면 선사들이 추가 발주에 나설 가능성이 커져서다.
이런 가운데 치솟는 용선료가 LNG 운반선 신규 수주로 이어지면 국내 조선사들의 호황 사이클이 연장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빌려쓰느니 신규 발주 검토
K조선 수주호황 더 길어질듯
수에즈 운하 통행 차질에
항로 길어져 추가 선박 필요
최근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용선료(선박 임차 비용)가 상승세에 접어들며 한국 조선업계의 추가 수주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카타르 정부의 LNG 운반선 대량 발주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면서 신조 발주 시장이 잠잠해진 가운데 용선료가 지속적으로 오르면 선사들이 추가 발주에 나설 가능성이 커져서다.
24일 영국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라크슨리서치에 따르면 용선 기한이 3~6개월인 17만4000㎥급 LNG 운반선의 용선료는 지난 17일 기준 하루당 8만달러(약 1억1000만원)를 기록해 연저점인 지난 1월 26일(하루당 5만달러) 대비 60% 올랐다. 지난해 8월 하루당 19만달러까지 치솟은 뒤 지난 1월 말까지 하락세를 이어오다 2월을 기점으로 반등해 상승세가 계속됐다. 하루당 7만달러까지 하락했던 용선 기한 1년의 LNG 운반선 용선료도 최근 반등해 8만1000달러까지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용선료 상승세는 전 세계 양대 운하 중 하나인 수에즈 운하에서 선박 통행이 차질을 빚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올해 초 예멘 후티 반군이 홍해 항로를 지나는 선박을 공격하기 시작하면서 주요 선사들은 수에즈 운하 통행을 피하고 아프리카 희망봉을 우회하는 항로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올해 1월 기준 수에즈 운하를 지나는 전 세계 LNG 운반선은 지난해 11월 대비 73%나 감소했다. 이에 유럽으로 향하는 LNG 운반선의 항로가 길어진 만큼 선박을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톤마일 효과'가 발생했다. 홍해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선박 투입 수요가 꾸준히 발생한 것이 용선료 상승의 배경으로 풀이된다.
조선업계는 용선료 상승세를 주목하고 있다. 용선료가 계속 오르면 LNG 운반선의 신조 발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을 품고 있어서다. 업계에 따르면 LNG 운반선의 하루당 용선료가 10만달러를 넘어서면 선사들의 LNG 운반선 선박 발주를 자극할 수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추이를 봐야겠지만 용선료가 오르고 있다는 건 긍정적인 소식"이라고 말했다.
2022년부터 폭발했던 LNG 운반선 신규 발주 수요는 최근 주춤해진 상태다. 이날까지 전 세계 LNG 운반선 신규 발주량은 55척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했으나 이는 2020년부터 진행돼온 카타르 LNG 2차 프로젝트 물량 수주가 올해 현실화되면서 나타난 착시에 가깝다. 실제로 올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LNG 운반선 55척 가운데 카타르 프로젝트 물량을 제외한 신규 수주량은 10척에 불과하다. 한국 조선 3사가 수주한 올해 LNG 운반선 35척 중 카타르 프로젝트 물량을 제외한 신규 수주량도 8척에 그친다. 삼성중공업(15척)과 한화오션(12척)은 카타르 프로젝트 물량을 제외하면 LNG 운반선 수주 실적이 전무하다.
이런 가운데 치솟는 용선료가 LNG 운반선 신규 수주로 이어지면 국내 조선사들의 호황 사이클이 연장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클라크슨리서치에 따르면 17만4000㎥급 LNG 운반선의 선가는 1척당 2억6400만달러로 초대형 원유운반선, 컨테이너선 등 주요 선종 가운데 가장 높은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현재 3년 치 일감을 쌓아둔 국내 조선 3사가 LNG 운반선을 추가로 수주하면 2027년 이후까지 호황을 기대해볼 수 있다는 해석이다.
한편 이날 글로벌 해상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703.43을 기록해 전주 대비 7.6% 뛰었다. 2022년 9월 2일(2847.62) 이후 약 1년8개월 만의 최고치다.
[최현재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전세계 딱 100개뿐”…지드래곤, 손흥민에게 선물, 뭔가 봤더니 - 매일경제
- 입학 1주일만에 학폭, 실명될 만큼 때렸는데…가해자엔 고작 ‘반 교체’ - 매일경제
- “한계란 없다” 대세 임영웅, 상암서 10만 관객 앞 큰절 [리뷰] - 매일경제
- [단독] “이 자격증은 뭐예요?”...기껏 딴 코딩 자격증, IT회사 면접관은 알지도 못하네 - 매일경
- '군기훈련' 육군 훈련병 쓰러진지 이틀만에 사망 - 매일경제
- 내달 우크라 평화협상 앞두고…푸틴 '종전카드' 꺼내 - 매일경제
- “전날부터 줄 섰다”…미분양됐던 아파트도 분위기 반전 - 매일경제
- “수하물 추가요금 내기 싫다”…공항서 박수갈채 받은 승객, 대체 무슨 일? - 매일경제
- “임영웅 콘서트, 안전요원까지 감동적이었다”…거동 불편 어르신 등에 업어서 자리 안내 - 매
- ‘제2의 김민재’ 김지수가 바라본 진짜 김민재…“그냥 차원이 다른 선수, 따라하면서 배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