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서방’까지 돌아왔지만... “집값 추가 상승은 글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수도권 일대 집값이 반등 기미를 보이는 가운데 외국인 부동산 매수세도 살아나고 있다.
24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부동산 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의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8.0으로 전월 대비 5.3포인트 올랐다.
외국인의 매수세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일대로 집중됐다.
지난달 외국인 매수인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경기도(615명)였고, 인천(172명), 서울(147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고지 중심으로 매수하는 외국인, 집값 영향은 미미”
서울·수도권 일대 집값이 반등 기미를 보이는 가운데 외국인 부동산 매수세도 살아나고 있다.
24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부동산 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의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8.0으로 전월 대비 5.3포인트 올랐다. 서울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지난해 말 99.6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1월부터 넉 달 연속 오름세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 매수세도 살아나고 있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다세대 등) 소유권이전등기(매매)를 신청한 외국인 매수인은 1295명이다. 한 달 전(1023명) 대비 26.6% 증가한 것이다. 1년 전(994명)과 비교하면 30.3% 늘었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인 매수세가 강했다. 지난달 중국인 매수인은 950명으로 집계됐다. 미국이 115명으로 뒤를 이었고, 베트남(45명), 캐나다(29명), 러시아(27명), 우즈베키스탄(22명) 등 순으로 조사됐다.
외국인의 매수세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일대로 집중됐다. 지난달 외국인 매수인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경기도(615명)였고, 인천(172명), 서울(147명) 등이 뒤를 이었다. 업계에서는 외국인이 밀집한 경기 안산과 서울 구로구 대림동 등 지역을 중심으로 외국인 메수세가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외국인 매수세가 아직 전체 거래량에 큰 영향을 미칠 수준은 아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3월 전국 집합건 거래량은 약 8만건을 기록했다. 한 달간 외국인 매수인이 약 1300명인 것에 비하면 미약한 수준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최근 원·달러 환율이 15% 정도 오르다 보니 외국인 입장에서는 그만큼 할인된 가격으로 부동산을 사는 셈이어서 가격적인 메리트는 있다”면서도 “우리나라는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아직은 외국인이 투자용보다는 연고지 중심으로 거주 용도로 매입을 하는 경우가 많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했다.
집값 향방에 대해서는 “집값 바닥은 이미 지난해 1월에 다졌고 현재는 2차 상승 후 조정기 정도로 볼 수 있다”면서 “다만 전셋값이 올라가니 집을 사겠다는 ‘갭투자적 마인드’는 현재 상황에서 오히려 상투를 잡는 꼴이 될 수 있기에 위험이 따를 수 있다”고 조언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텅 빈 채 그저 달리네… 당신이 겪는 그 증상의 이름은 ‘시들함’
- 中, 석화단지 또 증설 완료… 갈수록 심화하는 중국발 공급과잉
- [2024 연말정산]⑥ 10일 남은 2024년… 막판 절세 포인트는?
- [정책 인사이트] 스크린 파크 골프장·PC방·건강관리실로 변신하는 경로당
- [시승기] 비·눈길서도 돋보이는 ‘포르셰 911 카레라’
- 무너진 30년 동맹…퀄컴, ARM과 소송서 승소
- “탄핵 시위 참가자에 음식·커피 주려고 내 돈도 보탰는데 별점 테러” 자영업자들 하소연
- 中에 신규 수주 밀린 韓 조선… “효율·경쟁력은 더 높아져”
- 치솟는 프랜차이즈 커피값에… ‘한 잔에 500원’ 홈카페 경쟁
- 늦은 밤 소주잔 기울이며 직원 애로사항 듣는 김보현 대우건설 사장, ‘사람’과 ‘소통’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