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는 아이 엄마가, 이모라 부르는 것 불쾌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한승곤 2024. 5. 24. 05: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모르는 아이의 엄마로부터 '이모'라는 호칭을 듣는 것이 불편하다는 한 여성의 사연이 알려졌다.

A씨는 "특히 낯선 아이 엄마로부터 '이모'라고 불릴 때 왜 이렇게 불쾌한지 생각해 봤더니 우리 사회 속 '이모'에 대한 취급이 좋지 않다 보니 예민하게 느껴지는 거였다"고 밝혔다.

이어 "낯선 아이 엄마로부터 자신이 '이모' 소리를 듣게 되면 '아이에게 친근하고, 가정일에 가까운 여성'의 이미지가 되는 것 같아서 불쾌한 감정이 든다"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파이낸셜뉴스] 모르는 아이의 엄마로부터 '이모'라는 호칭을 듣는 것이 불편하다는 한 여성의 사연이 알려졌다.

지난 21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아기 엄마들 외간 여자한테 이모라고 좀 안 했으면"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 작성자 A씨는 "일반 여성들을 부르는 호칭이 참 많은데 언제부터인가 애매한 연령대의 여성들을 통칭해 '이모'라고 부르곤 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집안일 해주시는 이모님, 아이 봐주시는 이모님 등등 가정일에 가깝고 아이에게 친근하고 수월해 보이는 젊은 여성도 이모라는 호칭으로 부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A씨는 "특히 낯선 아이 엄마로부터 '이모'라고 불릴 때 왜 이렇게 불쾌한지 생각해 봤더니 우리 사회 속 '이모'에 대한 취급이 좋지 않다 보니 예민하게 느껴지는 거였다"고 밝혔다. 이어 "낯선 아이 엄마로부터 자신이 '이모' 소리를 듣게 되면 '아이에게 친근하고, 가정일에 가까운 여성'의 이미지가 되는 것 같아서 불쾌한 감정이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가씨'라는 호칭도 같은 의미에서 논란이 됐고, 불쾌감을 느끼는 여성들이 많았다. 물론 부르는 사람도 '술집 아가씨'를 생각하고 부르는 것은 아니겠지만, 불쾌감을 느끼는 여성들이 많다 보니 이해되는 분위기였다. '이모' 호칭 역시 듣는 이가 불쾌감을 느낀다면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사연을 본 누리꾼의 반응은 엇갈렸다. 누리꾼들은 "아줌마가 아닌 것에 감사해야 한다", "20~30대를 이모, 삼촌이라고 부르는 게 뭐가 문제냐" 등 반응을 보였다.

반면 "이모든 아줌마 든 상대가 싫어하는 행동은 안 하는 게 맞다", "모르는 아이랑 '이모'라는 호칭으로 엮이는 거 싫다" 등 A씨의 편을 드는 견해도 있었다.
#엄마 #호칭 #이모 #아가씨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