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11번째 금리 동결] 녹을기미 없네… 이창용 "불확실성 확대"
PCE 상승률 0.5% ↑… 美, 고물가 고착화
먼저 내릴 경우 한미금리차 최대 2%p
양호한 성장과 미국의 금리 인하 지연 등으로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점이 더욱 짙은 안개 속에 갇혔다. 이창용 한은 총재까지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인정할 정도다.
지난 1분기 '깜짝 성장'을 주도한 민간 소비 등이 살아나면 수요측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더해져 물가 불확실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물가가 잡히지 않으면 하반기 인하마저 어려울 수 있다. 게다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꺾이면서 한은의 금리 인하 시점은 더욱 불투명해졌다.
고금리 장기화에 한계기업들이 속속 속출하는 가운데 이런 상황이 더 길어질 경우 '대규모 부실화'가 터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그룹 최고경영자(CEO)는 보스턴칼리지가 주최한 행사에서 연준이 올해 금리를 내릴 가능성에 대해 "없다"고 말했다. 솔로몬 CEO는 "아직 금리 인하에 나서도록 하는 지표를 보지 못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지난달 연준이 올해 7월과 11월 두 차례 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했었는데, 한 달 만에 시장에서 기대감이 사라진 것이다.
이날 공개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봐도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이 지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사록은 "위원들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의 지속성에 관한 불확실성에 주목했다"며 "최근 지표는 인플레이션이 목표 수준인 2%로 지속적으로 향하고 있다는 확신을 주지 못했다는 데 동의 했다"고 말했다.
특히 위원들은 1분기 실망스러운 물가 지표와 미 경제의 강한 모멘텀을 가리키는 지표에 주목하며 "인플레이션이 2%로 지속적으로 향한다는 더 큰 확신을 얻기까지의 시간이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오래 걸릴 수 있다"고 평가했다.
연준이 통화정책의 준거로 삼는 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지수 기준으로 지난해 10∼12월 전월 대비 상승률이 0.1∼0.2%에 그쳤다. 이는 앞서 연준이 연내 3회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하게 된 결정적인 배경이 됐다.
하지만 올해 들어 PCE 상승률이 0.5%로 반등하고 2~3월에도 2개월 연속 0.3% 상승률을 보이며 '고물가 고착화' 우려가 커졌다. 연준의 물가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선 전월 대비 상승률이 평균적으로 0.2%를 넘지 않아야 한다.
이처럼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은이 고물가 등에 대응해 미국보다 금리를 먼저 내릴 경우 현재 최대 2.00%포인트까지 커진 한미금리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점도 한은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한다.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와 자본 유출 등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한은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2.5%로 올려잡은 만큼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 명분도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23일 금리를 현 수준인 3.50%로 동결한 이후 열린 간담회에서 "올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있지만 금리 인하 시점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더욱 커졌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물가 상방 압박을 받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물가 경로에는 국제유가와 환율 움직임, 농산물 가격 추이, 국내 성장세 개선의 파급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대다수의 금통위원들도 현재 긴축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의견을 냈다. 이 총재는 본인을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5명은 3개월 후에도 금리를 3.5%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나머지 1명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했다.
이 총재는 "5명의 금통위원은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지만, 물가가 목표 수준(2%)으로 수렴할 때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금통위원 1명은 물가 상승 압력이 올라간 것은 맞지만, 내수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완만할 것으로 보이고 물가상승률도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통화 정책의 파급 시차를 고려하면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릴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이미선기자 already@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수류탄 사고 훈련병 어머니 "곧 보니 조그만 참으라했던 아들인데"
- 심은우 "학폭한 적 없다, 억울해…폭로 동창 재수사 요청할 것"
- 부산 터널 입구에 적힌 `꾀끼깡꼴끈` 황당 문구, 대체 무슨 뜻
- ‘형이 왜 거기서 나와?’ 가수 이문세, 尹대통령과 미소 머금은 채 깜짝 ‘투샷’
- "예쁜데…" 붙잡힌 이스라엘 여군 `피범벅 영상` 공개됐다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
- 거세지는 ‘얼죽신’ 돌풍… 서울 신축 품귀현상 심화
- 흘러내리는 은행 예·적금 금리… `리딩뱅크`도 가세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