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안무 저작권 보호해야”…‘음반 사재기’ 조사 중

이정은 2024. 5. 23. 15: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명 K팝 안무가들이 '안무 저작권' 필요성을 주장하며 지난달 관련 협회를 출범시킨 가운데,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안무 저작권은 분명히 보호해주는 쪽으로 가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유 장관은 오늘(23일) 오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 발표 현장에서 "세계 여러 나라 사례도 보고 우리의 환경에 맞춰서 새로운 저작권 보호에 관련된 안을 만들어내도록 이른 시일 안에 그렇게 하도록 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 "안무로 전 세계에서 수익 창출…저작권 보호 필요"

유 장관은 먼저 "(안무 저작권은) 그동안 없던 개념이었지만, 안무가들이 '자신이 안무를 만들었다는 걸 표기만이라도 해달라'는 요구를 하면서 시작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K팝 곡 하나에 들어간 춤이 유튜브에 올라가며 몇십만 뷰가 되고, 결국 안무가 자기(창작자)도 모르는 사이 전 세계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며 "저작권 문제를 정확하게 할 필요가 있겠다고 본다"고 했습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표준 계약서와 저작물을 관리할 신탁 단체가 필요하다"며 "올해는 아마 그런 준비를 하는 과정을 보낼 거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문체부 정향미 저작권국장도 "안무 분야에서 저작권 인식이나 권리에 대한 의식이 상당히 떨어지는 부분들이 있다"며 "전문가들, 정책 수요자들을 계속해서 만나며 (저작권과 관련한) 요구 사항을 들어왔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주요 쟁점에 대해 연구 용역을 진행한 뒤 표준 계약서를 만들어가는 것을 연내 목표로 하고 있다"며 "안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교육 개발 등도 동시에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안무 저작권'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는 그동안 꾸준히 나왔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하이브 산하 어도어의 민희진 대표가 빌리프랩의 그룹 '아일릿'을 향해 "뉴진스를 베꼈다"고 비판하고, 이어 뉴진스의 안무를 담당했던 안무가들도 "아일릿이 뉴진스의 안무를 베꼈다"고 주장하며 파문이 일기도 했습니다.

지난달에는 안무가 에이전시이자 댄스 레이블인 원밀리언 댄스 스튜디오를 주축으로 허니제이, 배윤정, 최영준, 아이키 등 유명 K팝 안무가들이 의기투합해 ‘한국안무저작권협회’가 출범했습니다.

지난달 출범한 한국안무저작권협회 (출처: 원밀리언)


■ "하이브 사태 등 걱정·실망"…'음반 사재기 의혹'은 조사 중

경영권 탈취 논란이 불거진 '하이브-어도어' 사태 등에 대해서는 유인촌 장관이 "걱정이 많이 되고, 실망도 엄청 했다"고 말했습니다.

유 장관은 "지금 K팝의 경우도 잘 나가고 있지만 결국 마음속에는 욕심이 있다"면서 "서로 내가 잘했다, 너가 잘했다 얘기하는 것은 결국 (K팝 산업에) 계속 찬물을 끼얹고 있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음주운전 논란으로 구속영장 심사를 앞둔 가수 김호중에 대해서도 "왜 그랬을까 싶어 안타깝다"며 "잘못했다고 얘기했으면 될 일인데 너무 엄청난 일로 계속 번져나갔다"고 말했습니다.

유 장관은 '민간 연예 기획사에서 벌어지는 이런 논란과 관련해 문체부가 정책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부분은 없냐'는 물음에는 "밑바닥에서 정말 열심히 하면서 바꿔 나가는 분들이 많으니까 그런 분들을 더 도와주고 더 힘 나게 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습니다.

문체부는 다만, 하이브의 음반 사재기 의혹에 대해서는 조사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윤양수 문체부 콘텐츠정책국장은 "2017년에 일어난 일로, 올해 5월 2일 민원이 제기되는 등 꾸준히 민원이 들어오고 있다"며 "콘텐츠진흥원 관련 센터에서 지금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논란은 정확한 사실확인이 필요하고, 사재기 논란은 하루 이틀 일이 아니라 여러 사안도 있었다"며 "조사가 어느 정도 완성되면 발표나 입장 표명 등을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정은 기자 (2790@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