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준호 대구대 교수, 인공 암모니아 관련 정부 연구과제 선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대학교는 최근 심준호 화학교육과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중견연구 유형1'에 선정돼 5년간 12억원 규모의 연구과제를 수행하게 됐다고 23일 밝혔다.
심 교수는 지속가능한 인공 암모니아 합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질소→암모니아 변환, 전기화학적 에너지원 생산 연구
"인공 암모니아 합성 연구를 통해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것"
대구대학교는 최근 심준호 화학교육과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중견연구 유형1'에 선정돼 5년간 12억원 규모의 연구과제를 수행하게 됐다고 23일 밝혔다.
심 교수는 지속가능한 인공 암모니아 합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암모니아(NH3)는 비료와 폭발물, 플라스틱, 의약품 제조에 필수적인 요소다. 반도체와 LED산업의 급속한 성장, 수소 운반체로서의 잠재력 덕분에 더욱 주목받고 있다.
대기 중 78%를 차지하는 질소(N2)는 강한 삼중결합 에너지 때문에 활용이 어려웠지만 암모니아의 생산 전구체로 떠오르면서 그 가치가 재조명됐다. 하지만 현재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암모니아 합성 방법인 하버-보쉬(Haber-Bosch) 공정은 암모니아 1톤당 약 2.9톤의 이산화탄소(CO2)를 발생시켜 환경에 큰 부담을 준다.
이에 심 교수는 질소를 암모니아로 변환하는 전기화학적 에너지원 생산기술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의 목적은 질화탄소(C3Nx)를 통해 질소 흡착에 필요한 공극을 원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이는 암모니아의 생성 효율 극대화는 물론 선택의 폭도 넓힐 수 있다.
심 교수는 "이 연구의 방향은 전기화학적 질소 고정을 위한 고효율 촉매를 개발하고, 촉매 활성점을 제어해 지속가능한 암모니아 합성법을 찾는 것"이라며 "인공 암모니아 합성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양을 줄이고, 화석연료 과소비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 되리라 생각한다"고 전했다.
권태혁 기자 taehkd@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쇼트트랙 김동성, 포크레인에서 식사라니…건설현장 '포착' - 머니투데이
- "김호중, 자숙 말고 구속"…오늘 공연 강행하자 쏟아진 반응 - 머니투데이
- '사생활 논란' 류준열 "배신감 느끼는 것 이해…침묵하는 게 최선" - 머니투데이
- 강형욱, 입장발표 없이 폐업?…"해명방송 안하네" 누리꾼 분통 - 머니투데이
- '징맨' 황철순, 주먹으로 여성 얼굴 20차례 '퍽퍽'…또 재판행 - 머니투데이
- "음주운전 곽도원, 원망스러워"…개봉 2년 미룬 곽경택, 솔직 심경 - 머니투데이
- '1억 빚투' 이영숙, 재산 없다?…"토지 압류당하자 딸에 증여" 꼼수 - 머니투데이
- "거울 안보여" 엘리베이터 게시물 뜯은 중학생 송치?…국민 질타에 결국 - 머니투데이
- 껴안고 죽은 폼페이 일가족 화석?…2000년만에 밝혀진 진실 - 머니투데이
- 서동주, 경매로 산 집 알고보니…"7~8년 후 재개발" 겹경사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