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낙동강 먹는 물 조사 결과 우려 없는 수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낙동강 상수원 먹는 물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안전한 먹는 물 생산에 우려가 없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왜관수질측정센터에서 수행한 2023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6총 검출…기준치 이내 또는 국외 농도보다 낮아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낙동강 상수원 먹는 물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안전한 먹는 물 생산에 우려가 없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왜관수질측정센터에서 수행한 2023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에서 관리하지 않고 있는 미량오염물질 중에서 2022년 이전 조사에서 주로 검출된 물질과 국외에서 관리하고 있거나 관리를 위한 후보물질 114종을 대상으로 낙동강 왜관지점에서 주 2회, 상하류 기타지점에서 2023년도 한 해 동안 월 1회씩 측정했다.
조사 결과 낙동강 전체 조사지점에서 조사 대상 114종 중 산업용 29종, 농약류 32종, 의약물질 15종 등 총 76종의 물질이 검출됐다.
지점별로는 왜관(경북 칠곡군, 제2왜관교) 지점에서 74종이 검출됐으며, 강정(경북 구미시, 숭선대교), 남지(경남 함안군, 남지교), 물금(경남 양산시) 등 기타 조사지점에서는 각각 64종, 67종, 68종의 물질이 검출됐다.
검출된 76종의 물질 중 국내외 관리 기준이 있는 17종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나타났으며, 국내외 기준이 없는 나머지 59종은 국외 검출농도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올해부터는 낙동강 하류지역의 매리수질측정센터와 왜관수질측정센터를 연계·운영해 낙동강 전 구간에서 미량오염물질의 촘촘한 감시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nowest@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수미 며느리 서효림 폭우 피해 "산사태로 고립됐다"
- 헤이지니, 출산 5일만에 안타까운 소식…"마음 찢어져"
- 금속 목걸이 한 채 MRI실 들어간 60대男…기계에 끌려 숨져
- 결혼 약속한 여친 하반신 마비…사고 낸 남친 잠적
- '대만서 눈물' 치어리더 이주은, 몸 곳곳에 안쓰러운 '상처'
- 폭우에 이동건 제주 카페도 물바다
- "팔 부러질 만큼 맞았는데… '배우 출신' 남편이 무고죄 맞고소"
- '이혼 후 임신' 이시영, 볼록 나온 배…아들과 韓 떠났다
- 정우성 근황 포착…혼외자 파문 8개월만
- 43살 임신 박은영 "둘째는 딸 그런데 첫째가 동생 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