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기 못지않은 기후위기 도전적인 목표 설정해야” [H.eco Forum 2024]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교수
“탈탄소 무역규범 완전히 정착”
최연우 산업부 에너지정책관
“ 무탄소 에너지 가속화 추진”
“지난 여름은 무척 더웠지만 남은 생에 있어 가장 시원한 여름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앞으로 여름은 더 더워질 것이기 때문이죠.”
22일 서울 반포 세빛섬 가빛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4회 ‘H.eco포럼’(헤럴드환경포럼)에서 진행된 세션1 ‘넷제로를 위한 에너지 전환’에 발표자로 나선 유연철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은 이같이 말했다.
유 사무총장은 지난해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48도 높아져 14.98도를 기록한 사실을 특히 강조하면서 “전 세계 73억 명 이상이 열흘 이상 고온에 노출된 셈”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는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됐다.
그는 “기후위기는 핵무기와 함께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위협적인 과제”라면서 “화석연료라는 기후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는 당초 논의됐던 ‘화석연료로부터 전환’에서 ‘화석연료 배출(emission)로부터의 전환’으로 합의문 문구가 수정된 바 있다.
에너지 체계를 바꾸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탄소를 만들어내는 에너지 자체에는 죄가 없다고도 강조했다. 결국 온실가스 배출을 막기 위해 탄소를 포집·이용·저장(CCUS)하는 기술이 중요한데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지난해 CCUS 프로젝트에 5억3000만달러를 투자하는 등 민간 기업들에서도 나서 각별한 노력을 들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그는 “무엇보다 탄소 감축에 있어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에 기대하는 바가 크다”며 “정부 및 기업이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사무총장이 발표를 마친 뒤에는 패널토론이 이어졌다. 특히 재생에너지 전환 속도와 구체적인 과제를 두고 온도차를 보이면서, 정부와 학계를 대표하는 패널간 치열한 논쟁이 오갔다.
홍종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는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전 세계 최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큰 문제”라며 강도 높게 지적했다. 2000년 당시 우리와 비슷한 수준이던 영국의 재생에너지 공급량이 현재는 총발전량의 50% 수준인 것과 대조되게 아직 우리는 약 10%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다.
홍 교수는 “2020년대가 끝나기 전에 탈탄소 무역규범은 완전히 정착이 될 것”이라면서 “한국에서 정치인, 언론, 정부가 논쟁하고 정쟁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은 갈 곳을 찾지 못하고 힘들어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RE100 참여기업 재생에너지 사용률은 독일 89%, 미국 77%, 중국 50% 수준일 때 겨우 9% 수준에 머물러 있는 반면 국토면적당 원전설비 용량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같은 수준에 놓고 어떻게 양쪽의 조화로운 병행 발전을 고민할지 의문이다. 에너지 정책의 근간에 대해 생각을 해볼 때”라고 지적했다. 이어 “시민단체가 필요로 하는 게 아닌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책들을 속도감 있게 진행 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정부를 대표해서 나온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 에너지정책관은 국가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크게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그는 “탄소배출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에너지 전환부문의 탄소배출 제로를 위해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 무탄소 에너지(CFE)를 만들고, 무탄소 에너지가 굴러갈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무탄소 에너지 가속화를 위해 한국은 오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방청객들이 발표를 들은 뒤 패널들을 향한 날선 지적도 이어졌다. 특히 최근 탄소 제로를 추구하는 와중에 삼척 블루파워 화력발전소가 운전을 가동했다는 참석자들의 비판이 이어졌다. 이에 최 정책관은 “우리나라는 신규 석탄 화력발전소에 대한 폐지를 이미 국제적으로 선언을 했다”면서 “당시 삼척 발전소는 건설 중이었던 자산인 만큼 이를 좌초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었다”고 반박했다. 서영상 기자
san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얼굴 20회 폭행·걷어차기까지… ‘징맨’ 황철순, 여성 폭행으로 또 재판행
- “아! 이럴 줄 몰랐다” 개통령 보고 ‘20억’ 투자했는데…CJ ENM ‘화들짝’
- 유명 女배우, 갑자기 드레스 ‘확’ 걷어올렸다…“용기있는 행동” 행사장 시끌
- "정준영은 이민 준비, 승리는 사업 확장"…버닝썬 멤버들 출소 후 근황
- 女화장실서 두개골 깨질 때까지 ‘묻지마 폭행’한 50대 징역 12년
- "강형욱, 개 안락사 언급 후 노래 불러"…이경규 발언 재조명
- 공포에 떠는 여군에 "예쁘다" 희롱…공개된 하마스 납치 영상 ‘끔찍’
- 유재석, ‘87억 펜트하우스’ 현금으로 매입…논현동 부동산만 285억 보유!
- “이건 진짜 충격이다” 믿기 힘든 ‘광경’…아이폰이 뭐라고
- ‘김호중 지우기’ 본격화?…티켓 취소·팬 이탈·광고 손절·소리길 철거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