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전력 '선택' 아닌 '필수'…한국은 어디쯤?

김민준 기자 2024. 5. 22. 20: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거기에 필요한 전력량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연 바람을 냉방 공조에 활용하고, 소규모 지열과 태양광 발전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지만, 전력 대부분은 천연가스 발전소에서 송전받습니다.

반면 한전 등 에너지 공기업이 보내주는 전력에 의존도가 높은 국내 IT 기업들은 친환경 에너지를 변환하는 것도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거기에 필요한 전력량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풍력이나 태양광 같은 친환경 에너지를 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데,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김민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입니다.

최대 60만 유닛의 컴퓨터 서버를 갖추고, 자체 AI '하이퍼클로버X'를 운영합니다.

[노상민/네이버 통합데이터센터장 : 하나의 (AI) 상품이 과실이라고 하면, 그 나무가 이제 자라고 생성되는 데가 데이터센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국내 200개 안팎의 데이터센터 가운데, 전기를 가장 많이 쓰는 곳입니다.

자연 바람을 냉방 공조에 활용하고, 소규모 지열과 태양광 발전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지만, 전력 대부분은 천연가스 발전소에서 송전받습니다.

[노상민/네이버 통합데이터센터장 : 태양광이나 풍력이나 지열이나 이런 것들을 쓰고 있지만, 미국처럼 큰 대규모 땅을 보유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아직은 보조적인 수단으로 쓰고 있고요.]

국내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는 지난 2020년 1.8GW 수준이었지만, 오는 2032년엔 77.8GW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은 점점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유럽의 데이터센터들은 오는 2030년까지 소비 전력 100% 모두를 탈탄소 에너지로 바꾸자는 '기후 중립 데이터센터 협약'도 진행하고 있는데, 특히 원전보다는 전통적인 친환경 에너지를 우선 고려하고 있습니다.

[유럽 기후중립 데이터센터 협약 영상 : 저희들의 목표는 (2030년까지) 100% 탈탄소 에너지를 구입하고, 수자원 보호를 최우선시 하겠습니다.]

미국의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도 이런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지난해 지열 발전소 건설을 선언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원전 10개 규모의 전력을 풍력과 태양광 등으로 확보할 예정입니다.

[사티아 나델라/MS CEO (지난해 11월) : 오는 2025년까지 우리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탈탄소 에너지로 바꿀 예정입니다.]

반면 한전 등 에너지 공기업이 보내주는 전력에 의존도가 높은 국내 IT 기업들은 친환경 에너지를 변환하는 것도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서둘러 국가 차원의 에너지 정책 전환에 먼저 나서주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신세은, 화면제공 : 네이버)

김민준 기자 mzmz@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