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에 코파일럿 녹이는 MS…새 멀티모달 SLM도 발표

팽동현 2024. 5. 22. 08: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곳곳에 개발자들을 위한 코파일럿을 위한 인공지능(AI) 코파일럿도 곳곳에 적용하고 있다.

MS 애저 클라우드의 GPT-4o(포오) 지원과 함께 자사의 새로운 멀티모달 경량언어모델(SLM)도 발표했다.

이밖에 MS는 자사 첫 자체개발 칩인 암(Arm) 기반 CPU(중앙처리장치) '코발트 100'을 공개 프리뷰로 애저 클라우드에서 지원하기 시작했고, AMD MI300x AI가속기를 클라우드 업체 중 처음으로 VM(가상머신)에 통합해 제공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21일(현지시간) 개막한 'MS 빌드 2024'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온라인 중계 캡처

마이크로소프트(MS)가 곳곳에 개발자들을 위한 코파일럿을 위한 인공지능(AI) 코파일럿도 곳곳에 적용하고 있다. MS 애저 클라우드의 GPT-4o(포오) 지원과 함께 자사의 새로운 멀티모달 경량언어모델(SLM)도 발표했다.

MS가 21일(현지시간) 미국 시애틀에서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MS 빌드 2024'를 개최했다. 회사는 이 행사에 앞서 발표한 '코파일럿 플러스(+) PC'와 기존 MS 코파일럿 및 코파일럿 스택을 자사 3대 플랫폼으로 거론하며 다양한 신기능을 소개했다.

먼저 '코파일럿+ PC' 등을 통한 AI 개발을 가속화하는 윈도우용 코파일럿 스택을 발표, 그 핵심 구성요소로 '윈도우 코파일럿 런타임'을 선보였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용 가능한 API(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와 온디바이스 모델 구현을 돕는 프레임워크 및 툴체인이 포함됐다.

MS는 180만 구독자 수를 달성한 '깃허브 코파일럿'의 새 확장 기능도 공개했다. 도커(Docker)나 센트리(Sentry) 등 자사와 타사 서비스 기능으로 이 코드 생성도구를 직접 맞춤 설정할 수 있게 했다. 깃허브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제공되지만 자체 비공개 확장 기능을 만들어 내부 시스템 및 API와 통합할 수도 있다.

업무 생상성 향상을 돕는 새로운 코파일럿으로는 '팀 코파일럿'이 소개됐다. 협업솔루션 'MS 팀즈'와 통합돼 조직 단위의 회의 안건과 메모 작성, 공동 계획과 작업의 관리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I 모델 관련 발표도 이어졌다. 텍스트·비전·오디오를 아우르는 오픈AI의 최신 멀티모달 LLM(대규모언어모델)인 GPT-4o를 이제 '애저 AI 스튜디오'와 API를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MS가 지난달 발표한 SLM 제품군 '파이-3'에 멀티모달 모델이 추가된 것도 눈에 띈다. 새로운 '파이-3 비전' 모델은 파라미터(매개변수) 42억개 규모로, 프리뷰 버전으로 제공된다.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온디바이스AI로 작동 가능한 소형모델이지만 텍스트와 이미지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파이-3'는 이로써 4종으로 늘었으며, 가장 작은 모델인 미니(38억개)에 이어 이날 스몰(70억개)과 미디엄(140억개)도 정식 출시됐다.

이밖에 MS는 자사 첫 자체개발 칩인 암(Arm) 기반 CPU(중앙처리장치) '코발트 100'을 공개 프리뷰로 애저 클라우드에서 지원하기 시작했고, AMD MI300x AI가속기를 클라우드 업체 중 처음으로 VM(가상머신)에 통합해 제공한다.

사티아 나델라 MS CEO는 기조연설에서 "70여년 전 현대 컴퓨팅이 시작될 때 우리에겐 두 가지 꿈이 있었다. 우리가 컴퓨터를 이해하는 대신 컴퓨터가 우리를 이해할 수 있을까, 정보가 점점 늘어나는 세상에서 더 효과적으로 추론·계획·행동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 였다"며 AI가 그 실현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바라봤다.

나델라 CEO는 "지금이 시스템의 황금기 같은데, 그 원동력을 살펴보면 무어의 법칙과 같은 스케일링 법칙으로 귀결된다"며 "모델 아키텍처와 데이터 생성·활용 등을 포함해 DNN의 스케일링 법칙이 이 지능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우리는 이제 이것들이 반년마다 두배씩 증가하는 것을 목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팽동현기자 dhp@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