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엑스포장, 시민의 휴식처이자 글로벌 해양관광 거점으로”

이형주 기자 2024. 5. 22. 03: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6일 전남 여수시 수정동 여수엑스포 주제관 인근에 설치된 해상 산책로에는 시민들을 비롯한 관광객들이 오갔다.

시민 김모 씨(63)는 "여수엑스포장에 자주 운동을 나오는데 바닷바람을 맞으며 걸을 수 있는 해상산책로를 즐겨 찾는다"고 말했다.

바다를 접한 여수엑스포장은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관광명소 중 한 곳으로 자리매김했다.

지난달 18일 여수엑스포(박람회)장 그랜드홀에서 열린 여수엑스포장 사후 활용 마스터플랜 시민토론회에서 김재호 인하공전 관광경영학과 교수는 해양도시 개념을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섬섬여수] 성공적인 사후 활용 원년 선포
노후 시설 정비-지역 행사 개최로
탐방객 늘리고 활용 협력 체계 구축
초현대적 해양 복합 공간으로 조성
전남 여수시 덕충·수정동에 자리한 여수엑스포장은 푸른 바다를 접하고 있어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명소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16일 전남 여수시 수정동 여수엑스포 주제관 인근에 설치된 해상 산책로에는 시민들을 비롯한 관광객들이 오갔다. 시민 김모 씨(63)는 “여수엑스포장에 자주 운동을 나오는데 바닷바람을 맞으며 걸을 수 있는 해상산책로를 즐겨 찾는다”고 말했다. 바다를 접한 여수엑스포장은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관광명소 중 한 곳으로 자리매김했다.

여수엑스포는 ‘살아 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이라는 주제로 2012년 5월 12일부터 8월 12일까지 93일 동안 열렸다. 여수엑스포는 세계 104개 국가·국제기구 10개가 참가하고 관람객 820만 명이 방문했다. 여수엑스포는 여수가 국제 해양 휴양 도시로 도약하는 계기가 됐다.

여수엑스포장은 2012년 당시 여수시 덕충동, 수정동 일대 79만 ㎡에 조성됐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현재 여수엑스포장 65만 ㎡를 관리하고 있다. 여수엑스포장 시설은 국제관, 엑스포컨벤션센터, 주제관, 기념관을 비롯해 해상 구조물로 멀티미디어 쇼가 펼쳐지는 빅오(Big-O), 폐사일로를 67m 높이 전망대로 만든 스카이타워, 국내 두 번째 크기 수족관인 아쿠아리움 등이 있다.

여수엑스포장은 2026여수세계섬박람회 기간 동안 각종 국제 학술대회, K-팝 공연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여수엑스포장 관리는 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 여수세계박람회재단을 거쳐 지난해부터 여수광양항만공사가 맡고 있다. 여수광양항만공사가 관리를 맡은 건 여수엑스포장 개발 방식이 민간 매각이 아닌 공공발 방식으로 변경됐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여수 지역 시민사회단체를 비롯해 여수광양항만공사는 여수엑스포장 사후 활용과 활성화를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여수엑스포장 일대를 초현대적 해양 복합 공간으로 조성해 글로벌 해양 관광 거점으로 육성하려고 한다. 단기적으로는 사후 활용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노후 시설 정비, 지역 친화 행사 개최 등을 통해 탐방객을 늘리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
게티이미지코리아
는 종합계획을 수립해 공공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여수시민들은 여수엑스포장이 공공개발을 통해 기후환경 변화 해법을 논의하는 마이스(MICE) 산업과 각종 교육을 할 수 있는 컨벤션센터, 지속가능한 운영이 되는 대형 쇼핑 공간이 조성되기를 바라고 있다.

지난달 18일 여수엑스포(박람회)장 그랜드홀에서 열린 여수엑스포장 사후 활용 마스터플랜 시민토론회에서 김재호 인하공전 관광경영학과 교수는 해양도시 개념을 밝혔다. 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여수엑스포장이 주민과 관광객이 공존하는 해양도시 개념으로 사후 활용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여수엑스포장을 선진국에 걸맞은 해양문화 향유 공간을 제공하고 후손들에게 아름다운 유산을 물려주기 위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제대로 개발할 계획이다. 여수시민들은 여수엑스포장 성공적 개발을 위해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앞으로 여수엑스포장을 미래 첨단 인공지능(AI) 자동화 기술이 도입된 특색 있는 공간, 지구와 기후변화 시대를 대비하는 친환경 공간, K-팝 공연장 등 세계인이 찾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고 이를 토대로 여수가 국제크루즈선이 자주 정박하는 해양관광도시로 발돋움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박성현 여수광양항만공사 사장은 “올해를 여수엑스포장의 성공적인 사후 활용을 위한 원년으로 삼고 있다”며 “정부가 조성한 여수엑스포장이 성공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각계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