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신화' 재등판…전영현, '강한 리더십' 중책 맡았다

김정남 2024. 5. 21. 17: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신임 DS부문장에 전영현 부회장
상반기 도중 원포인트 교체…"초강수 인사"
내부 위기감 커…전영현式 강한 리더십 중책

[이데일리 김정남 김응열 기자] “전례를 찾기 어려운 초강수 인사다.”

삼성전자가 연말 정기 인사철이 아닌 상반기 도중 대표이사급 반도체 수장을 교체하는 ‘원포인트’ 인사를 전격 공개하자 반도체업계에서는 이같은 반응이 나왔다. 삼성전자가 내부적으로 느낀 위기 의식이 생각보다 더 강했다는 방증이라는 평가도 많았다.

반도체(DS)부문장에 새로 임명된 전영현(64) 부회장은 삼성전자 DS부문 메모리사업부장, 삼성SDI 대표이사 등을 거친 전문가 중의 전문가다. 2010년대 삼성 메모리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신화 같은 존재다. 그럼에도 DS부문을 떠나 계열사 대표이사를 한 뒤 다시 DS부문장으로 돌아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 때문에 삼성 안팎에서는 무게감이 있는 전 부회장이 위기에 빠진 반도체를 다시 일으켜 세울 ‘강한 리더십’ 중책을 맡게 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 수장 교체 이후 후속 인사들이 있을지도 관심사다.

(그래픽=문승용 기자)

삼성 DS부문장 ‘원포인트’ 교체

삼성전자는 21일 경계현(61) 사장이 맡고 있던 DS부문장 자리에 전영현 부회장을 임명하는 원포인트 인사를 냈다. 그는 조직 내에서 부회장 직위에 걸맞은 무게감을 가진 이로 평가 받는다. 삼성전자는 내년 정기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통해 전 부회장의 대표이사 선임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구원투수 중책을 맡은 전 부회장은 LG 반도체 출신으로 2000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로 입사했다. 이후 D램, 낸드플래시 개발과 전략 마케팅 업무를 거쳐 2014~2017년에 메모리사업부장을 지냈다. 그 과정에서 2010년대 권오현 전 회장과 함께 삼성 반도체 신화를 일궈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어 5년간 삼성SDI 대표이사를 맡았고, 지난해 말부터 미래사업기획단당으로 삼성의 미래 먹거리를 발굴해 왔다.

재계 한 관계자는 “LG 출신이 삼성 반도체에서 엘리트 코스를 밟아 왔던 자체로 이례적”이라며 “전 부회장은 내부적으로 두루 신뢰가 두터워 줄곧 ‘권오현의 후계자’로 인정 받아 왔던 만큼 반도체 재건의 적임자로 볼 만하다”고 했다. 삼성전자가 가전·TV사업을 하는 DX부문처럼 DS부문을 사장에서 부회장 조직으로 격상하면서, 반도체 사업과 투자에 더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가 이같은 파격 인사를 단행한 것은 그만큼 위기감이 상당했기 때문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주요 빅테크들이 모두 반도체 사업에 뛰어드는 와중에 업계를 주도할 삼성만의 ‘무기’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 관측이 적지 않았다. 게다가 메모리 의존도를 낮추고자 야심차게 시작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은 세계 1위 대만 TSMC와 격차를 좀처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 집계를 보면, 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파운드리 점유율은 11.3%로 TSMC(61.2%)와 50%포인트 가까이 차이가 났다.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장(서울대 명예교수)은 “삼성전자 내부적으로 당면 과제들을 해결하지 못하면 이류로 떨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 같다”며 “전 부회장은 부회장급 DS부문장으로서 카리스마 있고 강한 리더십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전영현式 ‘카리스마 리더십’ 중책

아울러 최근까지 미래사업기획단장을 맡으면서 최신 미래 기술 트렌드에 밝다는 점도 이번 인사에 영향을 미쳤다. AI 시대 들어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기술 경쟁이 전례가 없을 정도로 격화하고 있는데, 이같은 중책을 담당할 적임자라는 것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전 부회장은 최근까지 삼성전자와 전자 관계사들이 미래 먹거리 발굴 역할을 수행해 왔다”고 했다.

삼성전자가 이날 김용관 삼성메디슨 대표이사 부사장을 삼성전자 사업지원TF 반도체담당으로 이동 시킨 것도 주목할 만하다. 사업지원 TF는 미래전략실 해체 이후 삼성전자에서 ‘미니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다. 현재 정현호 부회장이 총괄하고 있다. 김 부사장은 과거 미래전략실에서 반도체 투자 등을 담당했던 적이 있는 인물이다. 업계 한 고위관계자는 “그룹 조직에서 삼성메디슨으로 갔다가 다시 돌아온 것은 반도체를 더 강화하겠다는 포석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김 부사장의 이동으로 공석이 된 삼성메디슨 대표이사에는 유규태 삼성메디슨 전략마케팅 팀장 부사장을 위촉했다.

DS부문장에서 물러난 경 사장은 전 부회장이 맡던 미래사업기획단을 총괄한다. 사업 일선에서 한발 물러나 DS부문장 때 쌓은 경험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미래 먹거리 발굴에 주력하는 역할을 맡는 것이다. 종전에 맡고 있던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 원장은 경 사장이 그대로 맡는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번 원포인트 인사에 이은 후속 인사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추후 반도체 미래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후속 조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정남 (jungki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