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국민에 전쟁 선포" 여 "최소한의 방어권"

방현덕 2024. 5. 21. 14: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해병대원 특검법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임박하면서 정국이 얼어붙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봅니다.

방현덕 기자, 민주당이 특검법을 수용하라고 마지막 경고를 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일단 민주당은 잠시 후 2시부터 이곳 국회에서 다른 야당, 또 시민단체들과 함께 특검법 재의요구 규탄대회를 엽니다.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가 함께 참석해 거부권 행사 방침을 강력히 비판할 예정인데, 주말 장외집회도 예고돼 있습니다.

아침 회의에서도 민주당은 윤대통령이 국민과 전면전을 선포하려 한다며 좌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박찬대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기어코 열 번째 거부권을 강행하게 된다면 역대 최악의 대통령이라는 오명을 길이길이 역사에 남길 것입니다. 거부권 행사로 야당과 국민을 향해 전쟁을 선포하면 민주당은 모든 방안을 강구해 국민과 함께 윤석열 정권에 총력 대응할 것입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도 윤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위헌'이라며 국민적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해병대원 특검과 김건희 여사,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에 대한 특검 등 3특검, 3국정조사를 추진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앵커]

특검법을 비판해온 국민의힘 움직임은 어떤가요?

[기자]

국민의힘은 거대 야당의 입법 폭주라며 민주당 비판에 나섰습니다.

공수처 수사가 끝난 뒤 특검 여부를 논의해야지, 지금 같은 강행 추진은 정쟁을 위한 거라며, 거부권 행사를 옹호하는 모습입니다.

<추경호 / 국민의힘 원내대표> "야당이 일방적 독주를 하고 입법 권한을 남용하고 행정부의 권한을 침해할 경우 최소한의 방어권이 재의요구권, 즉 거부권인 것입니다. 수사 결과를 지켜보는 것이 우선입니다. 왜 수사 중인 사건을 갖고 정쟁에 몰두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오는 28일로 예상되는 국회 본회의에서 재표결을 추진할 방침인데요.

국민의힘에서 최소 17명이 이탈해야 법안이 재통과 됩니다.

현실적인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중론인데, 찬성 입장을 밝힌 의원들은 지도부가 개별 설득 중입니다.

다만, 22대 국회에선 17명이 아닌 8명만 이탈해도 거부권이 무력화되는 만큼 근본적인 고심은 남았습니다.

여야 원내대표는 오늘 저녁 원구성 협상을 위해 만나는데, 급격히 얼어붙은 정국을 고려하면 쉽게 결론이 나긴 어려워 보입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에선 벌써부터 차기 주자들의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오늘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오세훈 서울시장을 겨냥한 글을 SNS에 올렸습니다.

자신이 정부의 직구 금지 논란을 지적한 걸 오시장이 '아쉬운 처신'이라고 지적하자, "건설적 의견 제시를 '처신' 차원에서 다루느냐"며 반박에 나선 겁니다.

어제는 유승민 전 의원과 오 시장이 SNS 설전을 벌였고, 오늘 안철수 의원도 "탁상공론의 전형"이라고 참전하는 등 직구 논란을 계기로 잠룡들의 경쟁에 불이 붙은 모양샙니다.

한편, 오늘 국회에선 초선 당선인 연찬회가 열리고 있는데요.

이 자리에서 김진표 국회의장은 팬덤 정치 폐해를 지적하며 대의민주주의의 큰 위기라고 말했습니다.

새 국회의장 선거 이후 민주당 강성당원들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색출 논란, 탈당 논란 등을 겨냥한 걸로 풀이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