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더 일해주세요” 정년 넘어도 붙잡는다…대우 잘해주겠다는 日

윤예림 2024. 5. 21. 13: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전 산업에서 인력난이 심각한 가운데 자동차 업체인 스즈키가 시니어 인력을 재고용하면서 급여 수준을 대폭 인상해 주목받고 있다.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스즈키는 60세 이상 재고용 직원의 기본급을 현역 수준으로 유지하는 새로운 인사 제도를 만들었다.

이 제도는 정년 전에 한 것과 같은 내용의 업무를 이어가는 조건으로 65세까지 재고용하고, 기본급 또한 유지한다.

베어링 업체 일본정공과 납축전지 기업 GS유아사도 시니어 직원 임금 인상을 단행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뉴스1

일본 전 산업에서 인력난이 심각한 가운데 자동차 업체인 스즈키가 시니어 인력을 재고용하면서 급여 수준을 대폭 인상해 주목받고 있다.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스즈키는 60세 이상 재고용 직원의 기본급을 현역 수준으로 유지하는 새로운 인사 제도를 만들었다. 지금까지는 일률적으로 급여를 최대 절반까지 줄여왔다.

이 제도는 정년 전에 한 것과 같은 내용의 업무를 이어가는 조건으로 65세까지 재고용하고, 기본급 또한 유지한다. 기술이 뛰어난 시니어 직원이 의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상은 60세 이상~65세 미만의 약 1200명이다.

2021년 시행된 개정 고령자고용안정법에 따라 일본 기업은 70세까지 취업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대부분 정년 연장보단 재고용 형태로 이를 실천하고 있다.

통상 60세에 정년퇴직을 한 근로자가 65세까지 시니어 계약직 형태로 임금을 절반 정도 받고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 65세를 지나 70세까지의 고용은 아직 많지 않다. 정년 연장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직책, 퇴직금 등과 관련한 비용 부담이 커지는 것을 우려해 정년 후 계약직 채용을 유지하고 있다.

일본 자동차 업체 스즈키 자료 사진. 연합뉴스

하지만 인력난 심화가 계속되면서 65세까지 계약직 고용을 이어 나가되 임금을 현실화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베어링 업체 일본정공과 납축전지 기업 GS유아사도 시니어 직원 임금 인상을 단행했다. 처우를 개선해 인력난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GS유아사는 2년 만에 재고용 직원에 대한 기본급을 올렸다. 일률적으로 월 1만 4000엔(약 12만 2000원), 현역 직원과 같은 금액으로 인상했다. 일본정공도 시니어 직원의 기본급을 월 8000엔(약 7만원) 올렸다.

현재 일본의 인력 부족은 심각하다. 올해 3월 일본의 유효구인배율(구직자 대비 구인 수)은 1.28배로 코로나19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유효구인배율이 높다는 것은 일자리는 많고 일할 사람은 적다는 뜻이다.

총무성에 따르면 2023년 60세 이상 취업자는 전년 대비 14만명 증가한 1468만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21.8%를 차지했다. 65~69세 취업률은 전년 대비 1.2% 포인트 증가한 52%로 절반을 넘어섰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시니어 인재의 활용은 기업에 필수가 됐다. 하지만 재고용 과정에서 대우가 낮아지는 것은 과제”라며 “물가 상승도 있는 만큼,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1998년 60세로 정년을 의무화한 뒤 2006년부터 단계적으로 정년을 연장해 2013년 65세로 높였다. 이때 ▲정년 폐지 ▲정년 연장 ▲계속고용 제도 등을 기업이 상황에 맞게 선택하도록 했다.

윤예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