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인 4명 중 3명 "대마 합법화 취소 찬성…의료용만 허용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태국 정부가 대마 합법화 취소를 추진 중인 가운데 태국 국민 대다수가 이에 찬성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21일 네이션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태국 국립개발행정연구원(NIDA)이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대마를 마약으로 재지정하려는 정부 계획에 응답자 60.4%가 '전적으로 찬성한다'고 답했다.
정부의 대마 관련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자 74.6%가 '의료용으로만 대마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 정부가 대마 합법화 취소를 추진 중인 가운데 태국 국민 대다수가 이에 찬성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21일 네이션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태국 국립개발행정연구원(NIDA)이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대마를 마약으로 재지정하려는 정부 계획에 응답자 60.4%가 '전적으로 찬성한다'고 답했다.
15.3%는 '다소 찬성한다'고 답해 찬성 의견이 75.7%였다. 4명 중 3명은 대마를 다시 마약으로 지정하는 데 동의한 셈이다.
반면에 '전적으로 반대한다'는 14.5%, '다소 반대한다'는 8.9%에 불과했다.
지난 14∼15일 실시된 이 조사에는 전국 만 15세 이상 1천310명이 참여했다. 응답자 31.1%가 대마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대마에 대한 인식으로는 '마약이지만 유용하기도 하다'(53.7%)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쓸모없는 마약이다'(33.6%), '마약이 아니다'(11.6%)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의 대마 관련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자 74.6%가 '의료용으로만 대마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대마 재배나 관련 상품을 지원해서는 안 된다'(19.4%), '합법적인 대마 상품을 지원해야 한다'(10.5%), '일반인이 대마로 소득을 올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7.4%), '향락 목적 대마 사용을 지원해야 한다'(3.21%) 순으로 나타났다.
아시아권 최초로 2018년 의료용 대마를 합법화한 태국은 2022년 6월부터는 대마를 마약류에서 제외하고 가정 재배도 허용했다.
그러나 합법화 이후 향락용 사용자가 급증하고 오남용 사고와 청소년 중독 등 부작용 우려도 커졌다.
세타 타위신 총리는 지난 8일 보건부에 대마를 마약에 다시 포함하도록 올해 안에 규정을 개정할 것을 지시하며 의료용만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대마 재배 농가와 판매 상인들은 정부 정책 번복으로 피해를 보게 됐다며 반발하고 있다.
doubl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백종원, 주주에게 첫 사과 "뼈저리게 반성…회사 원점 재점검" | 연합뉴스
- 도로 중앙 걷던 30대 여성, 트럭에 치여 숨져 | 연합뉴스
- "평생 후회" 불타는 마을서 주민들 돕다 노모 잃은 아들 | 연합뉴스
- 치매 앓는 노모 혼자 돌보다 폭행…갈비뼈 부러뜨린 아들 | 연합뉴스
- 명일동 싱크홀 지역 "침하량 크다"…서울시 용역보고서 있었다 | 연합뉴스
- 찰스 3세, 암치료 부작용으로 한때 입원…일정도 취소 | 연합뉴스
- [샷!] "억장이 무너진다"…숭례문 트라우마 고개 | 연합뉴스
- 故김새론 유족 측, 김수현과 메시지 공개…"미성년 교제 증거" | 연합뉴스
- '구미시 콘서트 서약서 강요' 이승환 헌법소원, 헌재서 각하(종합) | 연합뉴스
- 신고 내용 알 수 없는 112 문자…출동했더니 물에 빠진 30대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