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모의 기업탐방] '검은 반도체' 김, 알고 보니 해외서 불티…주가 연일 급등세

윤진섭 기자 2024. 5. 21. 10:5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이재모의 기업탐방' - 이재모 그로쓰리서치 대표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간밤 뉴욕증시 마감상황부터 살펴보고 본격적인 이야기 시작해볼까요?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둔 뉴욕증시…국내증시 영향은?
- 다우 0.49%↓…S&P500 0.09%·나스닥 0.65%↑
- 엔비디아 주가 1년새 200% 이상 상승…"더 오른다"?
- 엔비디아 2.49% '급등'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2.15%↑
- 나스닥 사상 최고…엔비디아 낙관론에 반도체주 긍정적
- 최고 목표가, 삼성전자 12만원·SK하이닉스 26만원 
- 다우 홀로 약세…JP모건·시스코·월마트 등 하락 영향
- JP모건 다이먼 회장, 투자 회의서 '조기 은퇴' 시사
- JP모건 다이먼 회장, 과거 "5년 후 은퇴" 여러 번 언급
- 실적 발표 앞두고 엔비디아 목표주가 줄줄이 상향
- 바클레이스, 엔비디아 목표주가 1100달러로 상향
- 델·MS 등 AI PC 공개 '봇물'…PC 시장 열풍 기대
- MS, '빌드 2024' 행사 하루 전 '코파일럿+PC' 공개
- “게임스톱 잊어라” 새로운 밈주식 패러데이퓨처스 75%↑
- 노르웨이 크루즈라인, 연간 수익 가이던스 상향에 급등
- 타겟, 기저귀·우유 등 5천여 개 기본 소비재 가격 인하
- 마이크론, 모건스탠리의 투자의견 상향 조정에 강세
- 연준 인사들 "인플레 2% 확신 들 때까지 금리인하 없다"
- 제퍼슨 부의장 "금리 제약적…데이터 신중하게 평가"
- 마이클 바 "인플레 실망…금리인하에 좀 더 시간 필요"
- 메스터 총재 "통화정책 제한적 수준…인플레 리스크 우려"
- 기존 "올해 3차례 금리인하, 6월 시작" 전망에서 후퇴
- CME 페드워치, 9월 금리인하 시작·2차례 인하 유력
- 이더리움 현물 ETF 첫 결정 앞두고 낙관론 고조
- 블룸버그 "5월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확률 75%"

◇ 어제 국내증시는 양시장이 엇갈린 모습을 보였죠. 대표님 눈에 띈 이슈와 종목들이 있었다면 짚어주시죠?

- 코스피 오르고 코스닥 뒷걸음…어제 장 특징주는?
- HLB 악재·삼양식품 호재 엇갈린 코스피, 전망은?
- HLB 쇼크 이틀째…바이오 업종 투자심리 악화될까
- '불닭'이 불붙인 삼양식품, 상한가 찍고 또 최고가
- 내수 시장 회복·수출 성장세·원가 하락 등 긍정적
- 삼양식품, 호실적 기대감…타사 대비 높은 영업이익률
- 식품주 동반 강세…해태제과·농심·오리온 등 상승
- 코스피 17.52p(0.64%) 오른 2742.14 마감
- 코스닥 7.98p(0.93%) 내린 847.08 마감
- 코스피, 2740선 회복…코스닥 HLB 이틀째 하한가
- [달러·원] 환율 1.0원 오른 1355.9원 마감
- "연준 금리 내리면 코스피 3,100까지 상승" 
- LS에코에너지·KBI메탈·가온전선 전선주 강세
- 음식료주 '어닝서프라이즈'에 주가도 '질주'

◇ 코스닥이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이유, 지난 주 막판 HLB의 '간암 1차 치료제'가 미국 FDA 승인을 받지 못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HLB는 물론 관련주들 주식이 전부 하한가로 치닫는 ‘쇼크’ 때문이었는데요. 단순 개별 종목 이슈로 넘기기엔 신약 개발이라는 것 자체가 제약바이오주 전반의 이슈기도 해서요. 파급효과는 어떻게 보세요? 

- HLB, 간암 신약 FDA 퇴짜…향후 바이오주 전망은?
- HLB 쇼크 진정될까…궁금증부터 팩트체크까지
- HLB, 리보세라닙 승인 불발…주가 방향성은?
- 코스닥 덮친 'HLB 쇼크'…파급효과 어디까지 가나
- 미 FDA 승인 불발…HLB 시총 12조 5335억→8조 7787억 원
- "HLB, FDA 승인 기대감으로 올라…주가 부진 이어갈 것"  
- 美 시장 첫 관문 FDA 문턱 여전히 높아…20년간 8개만 통과 
- HLB 이탈한 수급, 다른 바이오주로 이동?
- HLB에서 이탈한 수급, 알테오젠으로 대이동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6월 중 공매도를 일부 재개하겠단 뜻을 밝히면서 논란이 일었어요. 6월이 아니더라도 예고했던 대로 오는 7월부터 공매도가 재개된다면 시장은 물론이고, 정부가 공매도를 전면 금지한 작년 11월부터 급등한 종목들이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 같거든요?

- 또 다시 공매도 눈치보기 장세···주식 팔까?
- 이복현 원장, 공매도 6월중 일부 재개 시사…어떤 종목부터?
- "공매도 일부 재개하면 좋겠다"…급등株 찬물 끼얹나
- “3가지 약속 이행 덜 됐는데”…공매도 재개 운 띄운 금감원
- 개인·기관 공매도 조건 통일 규정 개선 아직
- 불법 공매도 차단 시스템은 일러야 연내 가능
- 글로벌 IB 조사도 진행 중…2곳 제재만 마쳐

◇ 연내 금리인하 기대감이 다시 커지는 가운데, 이번 주 FOMC 의사록을 비롯해 엔비디아 실적, 금통위까지 이번 주 목요일이 그야말로 빅이벤트 데이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투자자분들이 눈 여겨 봐야 할 이벤트와 일정도 짚어주시죠?

- 이번주 주목해야 할 시장 변수는?
- 5월 FOMC 의사록 공개…연내 금리인하 기대 키울까
- 4월 말 마감한 엔비디아 1분기 '매출 폭증' 추산
- 엔비디아 매출 260억 달러 안팎·2분기 285달러 기대
- 엔비디아 1분기 매출 전년 대비 3.4배·조정EPS 5.1배 예상
- FOMC 의사록 매파적으로 확인될 경우 투자심리 위축
- 올해 CPI 상승률 첫 둔화 이후 위원들 연설 주목
- 산업부 "올해를 청정수소 원년으로"
- 청정수소 발전 입찰시장, 국내 수소 기업 대거 입찰
- 이번 입찰에서 가장 주목받는 곳은 SK E&S
- 청정수소 시장 개설…두산퓨얼셀, 올해 매출 2배 뛴다

◇ 이번 주 시장에서 가장 눈 여겨 보고 있는 이슈, 아무래도 엔비디아 실적 발표가 아닐까싶은데요. 우리시간으로 목요일에 발표된 예정인데, 우리 반도체주들에도 영향이 예상되다보니, 10만전자와 20만닉스가 가능할지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거든요. 실적 발표전까지 대응전략은 어떻게 가져가면 좋을까요?

-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 쏠리는 눈…지금이 매수 기회?
- "반도제추 어차피 올라…떨어지면 매수" 
- 엔비디아 실적 발표 후, 10만전자·20만닉스 가능?
- 엔비디아발 훈풍에 SK하이닉스 '신고가'…실적 발표까지 쭉?
- "양사 2분기부터 시장 컨센서스 실적 상회 전망"

◇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IT 전시회인 '델테크놀로지스월드 2024'가 이번주에 열리죠. 주목되는 것은 삼성SDS 황성우 사장이 기조연설자로 나선다는 것인데요. HBM, CXL등 다양한 이야기가 오고 갈것으로 보이는데, 주목해볼 관련주들이 있을까요?

- "삼성SDS, AI 기술력 알린다"…눈 여겨 볼 관련주는?
- 황성우 삼성SDS 사장, 美 델 행사서 기조연설
- 삼성전자, 미국 델 행사서 HBM·CXL 선보인다
- SK하이닉스, 美 '델' 연례행사 참가…'AI 기술력 알리기'

◇ 반도체 이슈가 많다보니 소부장주들에도 수혜가 예상되면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특히 한미반도체와 제2의 한미반도체로 불리는 이수페타시스 주가 향방이 관전포인트죠. 이미 많이 올랐다는 평도 많은데, 더 오를 수 있을까요?

- 진격의 한미반도체, 전고점 뚫고 20만원 갈까?
- 진격의 이수페타시스, 10만원도 간다?

◇ AI 테마 열풍이 구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관련주들이 때아닌 호황을 겪고 있습니다. 수요증가가 추세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인데요. 눈 여겨볼 종목들이 있다면 짚어주시죠?

- 전선주 조정 속 상승세 보이는 구리주…수동 이동 시작?
- AI 수요에 구리값 파죽지세…전선주 고공행진
- 구리 관련주 강세…구리 선물·현물 가격 오름세

◇ 이름만큼 뜨거운 종목이죠. ‘불닭볶음면’을 내세워 미국 등 해외에서 승승장구하는 삼양식품이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수준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거뒀습니다. 라면업계 부동의 1위였던 농심도 처음으로 넘어섰는데요. 라면주들 요즘 흐름 굉장히 좋은데 음식료주 접근 전략은 어떻게 가져가면 좋을까요?

- 식품업계 1분기 '호실적'…접근 전략은?
- “반도체 아니네” 라면주 4월 상승률 1위
- “34만원짜리가 ‘쩜상’갔다”…삼양, 실적도 화끈하네
- 실적 증명한 라면주…지금은 음식료주 적극 매수할 때?
- 음식료주 실적 반등…집밥트렌드·K- 푸드 인기 덕분
- K불닭의 힘…삼양식품 시총, 농심 첫 추월
- ‘K- 라면 신드롬’ 속 라면주 희비…삼양식품 기대↑

◇ 음식료 섹터 내에서도 수산주 강세가 눈에 띄는데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6차 해양 방류 개시 소식과 더불어 요즘 김값이 금값이라고요. 수출도 잘돼서 ‘검은 반도체’라고 불리다는데, 접근 전략과 눈 여겨볼 종목도 소개해주신다면요?

- '검은 반도체' 김 값 폭등에…주가 연일 급등세
- "김값 많이 올랐네" 알고보니 해외서 불티…관련주 주가 '껑충'
- 김값 오르고, 日 오염수 방류하자 수산주 상승
- 오징어·김 등 수산물 가격↑…CJ씨푸드·사조씨푸드
- 김 물가 지수 119.45…전년동기 대비 10% 상승

◇ 연초 부진한 흐름을 나타내던 국내 화장품·미용기기 관련 종목들 주가가 최근 호실적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죠. 올해 들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주가도 많이 오른 모습인데, 지금 접근하는 것도 괜찮다고 보시나요?

- 실적 증명한 화장품주…지금 사도 늦지 않았다?
- 실적 개선된 화장품주, 주가도 상승세
- 잇츠한불, 한국화장품… 화장품 관련주 매서운 상승세
- 中의존 낮추고 美·유럽 개척…화장품주 잘나가네

◇ 최근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이 애플을 팔고 대신 선택한 주식이 스위스 손해보험사 ‘처브(Chubb)’로 밝혀지면서 화제가 됐죠. 그쪽 상황과는 좀 다르지만 우리나라 보험주들도 실적 호재와 밸류업 기대감에 힘입어 신고가가 속속 등장하는 모습이거든요. 이쪽은 어떻게 보세요?

- “‘투자의 신’ 9조 베팅했대”…보험주 주목해볼까?
- 밸류업 탑승 삼성화재, 주주환원 발표에 목표가 줄상향

◇ 최신 반도체 기술과 관련해서 유리기판이 관심을 받았었고, 액침냉각도 화제가 됐었는데요. 반짝 반등했다가 또 떨어졌다가 등락이 좀 심해보이거든요. 아직 사업 초기단계기도 해서 좀 생소하기도 하고요. 투자 전략은 어떻게 가져가면 좋을까요?

- 테마주 투자전략 "느슨해진 내 계좌에 긴장감을 줘“
- 삼성전기, 유리기판 파일럿 라인 3분기 구축
- AI 데이터 대량 처리에 따른 수요 증가 예상
- 세밀한 회로 형성 가능 + 전력 손실 감소
- 관련주, 켐트로닉스·HB테크놀러지·와이씨켐
- GST, 액침냉각 시스템 1상형에 이어 2상형 개발

◇ 최근 삼성과 관련해서 또 다른 외신보도가 나왔는데요. 삼성디스플레이가 애플에 폴더블 기기용 디스플레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입니다. 이르면 2026년에 접는 아이폰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데요. 눈 여겨볼 수혜주들과 접근 타이밍도 짚어주시죠?

- 폴더블 아이폰 나오나…관련주와 접근 타이밍은? 
- 삼성, 애플 폴더블 디스플레이 공급 계약 체결
- ‘접고 접는’ 폴더블 시대…스마트폰 업계 치열한 대전
- 폴더블폰 관련주, 파인엠텍·세경하이테크·KH바텍·유티아이
- 4월~7월, 폴더블폰 관련 섹터 강세 시기

[기업탐방 종목]

◇ 이번 주도 기업탐방 다녀오셨다고요. 어떤 곳인지 궁금한데, 기업소개와 더불어 투자포인트도 짚어주시죠?

- 이번 주 기업탐방 종목과 투자포인트는?
- 이녹스, 향후 영업이익 등 실적 훈풍 기대감

◇ 5월 투자전략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수급에 집중해보라는 조언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주요 수급주체이기도 하고 외국인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시장이다보니 더욱 그런데요. 혹시 외국인 매수 종목중에 눈에 띄는 섹터나 종목이 있다면 짚어 주시죠?

- 외국인 ‘픽’, 눈 여겨 볼 시장 유망섹터는?
- 주도주 잃은 국내 증시…외인 수급 따라 투자해볼까
- 박스피에 빠진 국내 증시에…투자처 찾는 개미들
- 역대급 순매수 중인 외인은 수익률 결정력 높아
- 외인 순매수세 지속되는 업종 찾아야
- 반도체‧자동차‧기계‧금융 업종 주목

◇ 벌써 5월도 끝나갑니다. 앞으로가 더 중요하겠죠. 남은 5월 증시 향방과 더불어 투자자 대응전략까지 세워주시죠.

- 남은 5월 증시 어디로…흐름 전망은?
- “5월 박스권 장세 예상, 코스피 밴드 2550~2750” 
- 단기고점 근접 시 주식비중 축소, 저점에선 비중 확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