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의 월세화' 속 뛰는 월셋값…강남 중위 월세 3억에 390만원

한지명 기자 2024. 5. 21. 05: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임대차시장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00가구가 넘는 서울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아파트에서는 올해(1~5월) 들어 전용면적 84㎡ 타입의 임대차 계약 중 26건이 모두 '월세'를 끼고 이뤄지면서 전세 계약건수를 앞질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래미안대치팰리스, 월세 거래가 전세 거래 수 앞질러
수요자도 월세 선호…"이자 부담 늘고 깡통 전세 증가 탓"
20일 오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에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 올해 주택 거래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독·다세대·연립 등 비(非) 아파트 거래 비중은 전세사기 여파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거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거래 중 아파트 비중은 75.8%으로 지난해보다 1.6%p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24.5.20/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임대차시장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전세의 월세화'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 속에 아파트 고가 월세 시장이 확대되는 양상으로 서민·중산층 주거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00가구가 넘는 서울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아파트에서는 올해(1~5월) 들어 전용면적 84㎡ 타입의 임대차 계약 중 26건이 모두 '월세'를 끼고 이뤄지면서 전세 계약건수를 앞질렀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5건 중 2건이 전세 계약이 더 많았지만, 올해는 대부분의 집주인이 월세 낀 매물을 내놓고 있다.

월세 수요가 많아지면서 전셋값은 하락하고 월세는 올랐다. 서울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이 올해 2월 전용면적 84㎡ 6층 기준으로 보증금 3억 원에 월세 390만 원에 계약이 이뤄지고 있다. 약 2년 새 월세가 최대 90만 원 오른 것이다. 반면 전세는 전용 84㎡(2층)가 올해 1월 14억 5000만 원에 거래되며 직전(2021년 4월) 거래가격인 16억 5000만 원보다 2억 원 하락했다.

이 밖에도 서울 강남구 역삼동 역삼래미안 역시 전용 59㎡ 월세 가격이 보증금 3억 원에 200만 원 선이다. 2년 새 150만 원에서 50만 원가량 뛰었다. 그러나 전세의 경우 전용 59㎡의 가격이 9억원으로 직전(2022년 1월) 거래 가격인 9억 원보다 2억 원 낮아졌다.

수요자가 월세를 제안하는 경우도 잦다. 대치동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대표는 "세입자들은 여전히 월세보다 전세를 선호하는 편이지만, 20억 원 안팎의 보증금을 조달하기는 부담스럽다"며 "기존 세입자들도 재계약 때 전세금 인상분을 월세로 돌리려는 추세"라고 전했다.

강동구에 있는 C 공인 중개 관계자는 "집주인들도 전세를 안 놓으려고 하고, 세입자들도 전셋값이 비싸 못 들어온다면 앞으론 월세가 더 많아지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대법원 등기정보과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임대차 계약 269만 8610건 중 월세는 139만 9201건으로 51.8%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월세 거래 비중은 재작년까지만 해도 40%대 초반에 머물렀지만, 작년 들어 급격히 올라 2010년 집계 이래 처음으로 50%를 넘겼다.

전문가들도 월세화가 뚜렷해진 것만은 분명하다고 분석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현재 세입자 주도로 월세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우려 요인"이라며 "전세대출이자 부담과 월세를 비교했을 때 월세가 더 저렴하다는 경제적 목적과 깡통전세를 피하기 위한 생존본능이 작용하면서 월세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데 금리가 안정되기 전까지는 심화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hj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