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 허미미,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한국 여자 선수 29년만

김경윤 2024. 5. 21. 04: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자 유도 간판 허미미(세계랭킹 6위·경북체육회)가 한국 선수로는 6년 만에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차지했다.

허미미는 21일(한국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무바달라 아레나에서 열린 2024 국제유도연맹(IJF)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여자 57㎏급 결승에서 세계랭킹 1위 크리스타 데구치(캐나다)를 연장(골든스코어) 혈투 끝에 반칙승으로 꺾고 우승했다.

특히 한국 여자 선수가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건 1995년 여자 61㎏급 정성숙, 여자 66㎏급 조민선 이후 무려 29년 만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랭킹 1위 데구치와 총 12분 19초 연장 혈투 끝에 신승
한국선수 6년 만의 우승…여자로는 1995년 정성숙·조민선 이후 처음
기뻐하는 허미미 유도 대표팀 허미미가 21일(한국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무바달라 아레나에서 열린 2024 국제유도연맹(IJF)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여자 57㎏급 결승에서 세계랭킹 1위인 캐나다의 크리스타 데구치를 꺾은 뒤 기뻐하고 있다. [국제유도연맹 홈페이지 캡처. 재배포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여자 유도 간판 허미미(세계랭킹 6위·경북체육회)가 한국 선수로는 6년 만에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차지했다.

허미미는 21일(한국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무바달라 아레나에서 열린 2024 국제유도연맹(IJF)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여자 57㎏급 결승에서 세계랭킹 1위 크리스타 데구치(캐나다)를 연장(골든스코어) 혈투 끝에 반칙승으로 꺾고 우승했다.

한국 선수가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건 2018년 남자 73㎏급 안창림, 남자 100㎏급 조구함(이상 은퇴)에 이어 6년 만이다.

특히 한국 여자 선수가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건 1995년 여자 61㎏급 정성숙, 여자 66㎏급 조민선 이후 무려 29년 만이다.

결승전 치르는 허미미 유도 대표팀 허미미(위쪽)가 21일(한국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무바달라 아레나에서 열린 2024 국제유도연맹(IJF)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여자 57㎏급 결승에서 세계랭킹 1위인 캐나다의 크리스타 데구치와 힘 싸움을 펼치고 있다. [국제유도연맹 홈페이지 캡처. 재배포 및 DB 금지]

허미미는 이날 러시아 출신 개인중립선수(AIN) 다리아 쿠르본마마도바, 아제르바이잔의 아젤리아 토프라크, 우즈베키스탄의 수쿠리온 아미노바를 모두 한판승으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쾌조의 컨디션을 자랑한 허미미는 세계랭킹 2위인 캐나다의 제시카 클림카이트까지 업어떨어뜨리기 절반으로 꺾었다.

결승 상대인 데구치는 캐나다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자란 혼혈 선수로 2019년과 2023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이 체급 최강자다.

그러나 허미미는 위축되지 않고 경기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상대를 몰아세웠다. 그리고 경기 시작 59초 만에 지도 1개를 뺏었다.

경기는 접전으로 펼쳐졌다. 허미미는 1분 13초에 지도 1개를 받았고, 1분 36초엔 두 선수가 나란히 지도 한 개씩을 주고받았다.

이제 둘 중 한 명이 지도 1개를 받으면 그대로 경기가 끝나는 상황이 됐다.

허미미는 이를 악물고 싸웠다.

정규시간 4분 동안 승부를 가리지 못한 허미미는 연장에서도 물러섬 없이 끈질기게 버텼다.

시간은 계속 흘러갔고, 두 선수는 연장 8분이 넘어서까지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허미미는 상대가 지친 기색을 보이자 연장 8분 16초에 회심의 업어치기를 시도했다.

이때 히구치는 뒤로 물러섰고, 주심은 경기를 잠시 중단한 뒤 데구치에게 세 번째 지도를 선언했다.

상대 선수의 반칙 3개로 우승을 확정한 허미미는 매트 위에서 껑충껑충 뛰며 기쁨을 표현했다.

2002년 일본에서 태어난 허미미는 한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를 둔 재일교포 출신이다.

허미미는 2021년 세상을 떠난 할머니가 "한국 국가대표로 선수 생활을 하길 바란다"는 유언에 따라 일본 국적을 포기한 뒤 한국 선수의 길을 택했다.

그는 일제강점기 당시 항일 격문을 붙이다 옥고를 치른 독립운동가 허석(1857~1920) 선생의 5대손이기도 하다.

허미미는 태극마크를 단 뒤 곧바로 빛을 보기 시작했다.

2022년 6월 국제대회 데뷔전인 트빌리시 그랜드슬램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혜성처럼 등장했고, 그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준결승 진출에 성공하는 등 값진 성과를 내며 단숨에 한국 여자 유도의 에이스로 떠올랐다.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에선 5위에 올랐고, 올해엔 포르투갈 그랑프리와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하는 등 꾸준히 좋은 성적을 이어갔다.

이제 남은 목표는 단 하나, 2024 파리 올림픽이다.

일찌감치 올림픽 출전 티켓을 확보한 허미미는 두 달 뒤 파리에서 금빛 메치기에 도전한다.

한편 허미미의 동생이자 일본 고교랭킹 1위에 올랐던 허미오(경북체육회)도 지난해 1월부터 국내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허미오는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따지 못했지만, 지난해 8월 IJF 자그레브 그랑프리에서 동메달을 목에 거는 등 두각을 보인다.

cycl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