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오늘 서울서 AI 정상회의… 정작 ‘AI기본법’조차 없는 韓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늘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인공지능(AI) 정상회의'가 열린다.
작년 초 여야 의원들이 발의한 AI 기본법안은 국회 상임위원회의 문턱을 넘지 못해 이달 말 21대 국회 임기가 끝나면 폐기될 예정이다.
기업의 AI 투자 가이드라인이 될 기본법조차 못 만드는 현실은 한국의 미래 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I 강국’을 지향하는 한국에서 AI 규범을 논의하는 회의가 열리는 건 의미 있는 일이다. 하지만 정작 이 행사를 주도하는 한국은 AI 산업 발전의 제도적 기초인 ‘AI 기본법’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작년 초 여야 의원들이 발의한 AI 기본법안은 국회 상임위원회의 문턱을 넘지 못해 이달 말 21대 국회 임기가 끝나면 폐기될 예정이다. 규제를 더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과 산업 육성이 먼저라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반면 주요국들의 제도 정비에는 속도가 붙었다. 유럽의회는 올해 3월 AI 개발 기업이 지켜야 할 의무를 규정한 법안을 최초로 통과시켰다. 미국은 2020년 ‘국가 AI이니셔티브법’을 제정해 2조 원 넘는 돈을 기업에 지원하고 있고, 지난주엔 AI 도입 기업이 근로자 보호를 위해 지켜야 할 내용을 행정명령으로 발표했다. 중국도 작년에 ‘AI 윤리 거버넌스’ 지침을 마련했다.
삼성, LG, 네이버, 카카오 등 주요 기업들이 투자에 나서고 있지만 한국의 AI 산업은 아직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세계 9위인 AI 민간투자 규모는 미국의 50분의 1, 중국의 5분의 1 수준이다. 게다가 대학에선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AI 장비가 부족해 우수한 국내 인재들마저 더 좋은 환경을 찾아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
기업의 AI 투자 가이드라인이 될 기본법조차 못 만드는 현실은 한국의 미래 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법이 표류하는 사이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유관 부처들이 규제 주도권을 잡겠다며 경쟁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정부와 정치권은 AI 산업의 진흥과 규제 양면에서 적절하게 균형이 잡힌 기본법을 제정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직구 금지, 당정협의도 여론수렴도 없었다
- [이철희 칼럼]반갑다, 윤석열의 외교 ‘동문서답’
- [단독]“대법관 후보 1명당 5분씩 졸속 검증… 비공개 추천위 개선을”
- [단독]민주 지도부 “국회의장 선거에 당원 참여” “안된다” 설전
- 한동훈의 완벽한 ‘여의도 사투리’[김지현의 정치언락]
-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에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딥다이브]
- 기간이 부정확해지고 아랫배에서 둥근 덩어리가 만져진다
- 외교부 “印은 장관 초청, 우리가 김정숙 동행 알려”… 文측 “집권세력이 말도 안되는 일 벌여
- [횡설수설/송평인]영국 상식부 장관이 촉발한 ‘상식이란 무엇인가’
- 檢 ‘김호중 방지법’ 추진… “음주운전 감추려는 ‘사고후 음주’ 처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