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정치권 그동안 게을렀다"…전북 재도약 토론서 '낙후 책임론' 질타

박기홍 기자(=전북) 2024. 5. 20. 22: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북 재도약을 위한 현안과 대안을 토론하는 원탁회의에서 지역 정치권의 무기력이 지역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한 만큼 이제는 정치권이 행동으로 보여줘야 할 때라는 '정치권 역할론'이 급부상했다.

이형구 전북지방법무사회 회장은 이날 자유토론에서 "십수년 전부터 도민들이 염원해온 전주·완주 통합은 시·군 단체장이 할 수 없다"며 "정치권이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정치권의 현안해결 능력을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북애향본부 주관 '전북 재도약 원탁회의'서 주장

전북 재도약을 위한 현안과 대안을 토론하는 원탁회의에서 지역 정치권의 무기력이 지역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한 만큼 이제는 정치권이 행동으로 보여줘야 할 때라는 '정치권 역할론'이 급부상했다.

20일 오후 전주 그랜드힐스턴호텔에서 열린 전북애향본부 주관의 '전북 재도약 원탁회의'에서는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와 서거석 전북자치도교육감, 우범기 전주시장과 유희태 완주군수 등 14개 시·군 단체장, 이남호 전북연구원장 등 각급 기관장 등 300여명이 참석하는 등 대 성황을 이뤘다.

송기도 전북대 명예교수는 이날 '새로운 전북시대와 정치권의 역할' 발제에서 "야당이 국민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제1당이 된 사례는 역대 총선에서 22대 총선이 처음"이라며 "전북은 3선 이상의 중진이 10명의 절반을 차지하는 등 호남에서 정치적 주도권을 쥘 수 있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송기도 교수는 "새만금개발과 전주·완주 통합 등 30년 이상 된 지역 현안의 진척이 없어 유권자들은 실망하고 '정치권은 그동안 무엇을 했느냐'고 묻고 있다"고 질타했다. ⓒ프레시안
송기도 교수는 "그동안 전북정치권은 국가이익과 전북이익이 충돌할 경우 전북이익에 너무 소극적으로 대처해 온 게 사실"이라며 "이러다 보니 새만금개발과 전주·완주 통합 등 30년 이상 된 지역현안의 진척이 없어 유권자들은 실망하고 '정치권은 그동안 무엇을 했느냐'고 묻고 있다"고 직설했다.

송기도 교수는 "새만금개발만 해도 비슷한 시기에 착공했던 중국의 푸동지구는 1999년에 완공된 반면 새만금의 완공시기는 2050년으로 축 늘어져 있다"며 "정부에 새만금개발 속도전을 강하게 요구할 수 있었지만 정치권이 안 한 것이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송 교수는 "정치권이 싸워야 할 때 싸워야 하는데 미루고 안 했다. 게을리하는 바람에 현안이 흔들렸다"며 "행동하지 않으면 어떤 일도 이룰 수 없다는 '불위호성(弗爲胡成)'을 잊지 말고 정치권이 이제 행동을 해야 할 때"라고 거듭 '정치권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이형구 전북지방법무사회 회장은 이날 자유토론에서 "십수년 전부터 도민들이 염원해온 전주·완주 통합은 시·군 단체장이 할 수 없다"며 "정치권이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정치권의 현안해결 능력을 주장했다.

이형구 회장은 또 "전주가정법원 설치와 관련한 법안이 지난 2021년 때 발의된 바 있지만 아직 국회의 벽을 넘지 못했다"며 "22대 국회에서는 반드시 통과될 수 있도록 정치권이 나서달라"고 말했다.

백성일 전북일보 부사장도 "한때 전북은 인구 300만명을 외치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180만명도 무너져 내렸다"며 "그동안 정권 탓만 할 것이 아니라 정치지도자를 잘못 뽑아서 이렇게 된 것"이라고 전북 정치권을 정면 공격했다.

백성일 부사장은 "여야가 진정으로 공존하고 경쟁하는 정치의 틀을 만들어야 중앙무대에서 큰 소리를 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은 전북의 낙후 현주소가 심각한 만큼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안을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정동영 22대 총선 당선인이 전북발전과 관련해 발언을 하고 있다. ⓒ프레시안
정동영 22대 총선 당선인(전주병)은 "강원도와 충북이 1인당 지역총생산(GRDP) 등에서 전북보다 앞서가고 있다. 한반도 육지에서 전북 뒤에는 아무도 없다"며 "간절함 속에 답이 있는 만큼 우리 모두가 하나가 되고 근시의 안경을 벗고 통 크게 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세환 전 의원은 "전북이 이대로 간다면 몰락할 수밖에 없다. 망하게 된다"며 "변하지 않으면 전북은 죽음과 직면하게 되는데 정치권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고 피력했다.

장세환 전 의원은 "정치인과 단체장들이 서로 뭉치고 협력하고 소통해야 한다"며 "정례적으로 현안회의를 갖고 심도 있는 토론을 하면 답이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또 전주·완주 통합을 둘러싸고 격론이 벌어졌으며 인위적인 몰아가기 통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와 관심을 끌었다.

[박기홍 기자(=전북)(arty1357@naver.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