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껍질 깨지고 얇아지고…가파른 해양 산성화
[앵커]
이같은 한반도 주변 바다 생태계의 변화를 체감 할 수 있는 장소는 바로 인간과 바다가 만나는 접점인 갯벌입니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양 산성화로 바지락 같은 패류의 생산량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이슬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드넓은 개펄에서 바지락을 캐는 어민들.
온종일 호미질을 해도 10킬로그램을 채우기가 힘듭니다.
[바지락 채취 어민 : "옛날에는 엄청 많이 있었는데 자꾸자꾸 줄더라고요. (예전에) 많이 잡는 사람은 한 50킬로그램도 잡고 그랬었죠."]
1980년대 8만 톤 넘던 전국의 바지락 생산량은 절반 이하로 줄었습니다.
새조개와 참꼬막은 생산량을 집계하기 어려울 만큼 씨가 말랐습니다.
바지락과 꼬막 등 조개류 생산이 매년 줄어들자 각 자치단체들은 이런 어린 조개를 바다에 방류하는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조개류 생산이 급감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양 산성화입니다.
바닷물에 녹아드는 공기 중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서 물속 수소이온이 늘어나고 산성화가 진행됩니다.
조개껍질이 깨지거나 얇아져 생장이 어렵게 됩니다.
[김영혜/부경대 자원생물학과 초빙교수 : "너무나 많은 이산화탄소가 (바다에) 들어오기 때문에 중탄산염이 되면서 탄산칼슘 형성이 저하돼서 패류의 생장에 굉장히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반도 인근 바다의 산성화는 2015년 측정을 시작한 이후 점점 심해지는 추세입니다.
해양 산성화는 지구 온난화를 더 부추기는 악순환으로도 이어집니다.
바다가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데 한계가 오기 때문입니다.
[정수종/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해양 산성화로 인해서 완충력이 떨어지고 있다. 즉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머금고 있어야 될 시간이 필요한 건데 그걸 끌어안지 못하고 바로 내보내는 거죠."]
바다는 지구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4분의 1가량을 흡수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슬기 기자 (wakeup@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몽키스패너’로 무차별 폭행…살인미수 아닌 특수상해? [제보K]
- 담배 아니다? 법 개정은 ‘하세월’…금연정책까지 ‘흔들’
- 쿠로시오 해류의 진격…적도 열기 품고 6km씩 북상
- ‘헬기 추락’ 이란 대통령 등 9명 사망…중동 정세는?
- 음주운전 인정은 변호 전략?…남은 수사 쟁점들
- ‘버닝썬’ 승리, 여성 잡아끌며 겁박…구하라는 ‘제보자’였다
- ‘신분증 의무화’ 첫날 곳곳 혼선…“도용 가능성도 여전”
- 노부부 탄 트럭 바다로 추락…“위판하러 왔다가”
- ‘기부왕’ 이중근 회장 “합계출산율 1.5명 될 때 까지 1억 지원”
- “갑자기 4배? 원칙대로?”…성심당 대전역점 월세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