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체제 인사 숙청·히잡시위 탄압…라이시 대통령, 권력 2위 ‘강경 보수파’

조문희 기자 2024. 5. 20. 20: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란 대통령 첫 미 제재 대상
차기 ‘최고지도자’로 손꼽혀
재임 중 이스라엘 본토 공습

19일(현지시간) 헬기 추락 사고로 사망한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63)은 권력 서열 2위이자 강경보수 성향의 정치인이었다. 검사 시절 반체제 인사 숙청으로 ‘테헤란의 도살자’라고 불렸으며, 미국 제재 목록에 오른 이란인 중 처음 대통령이 된 인물이다.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85)를 이을 차기 최고지도자 후보로 유력하기도 했다.

라이시 대통령은 1960년 12월 이슬람 시아파의 최대 성지 중 하나인 마슈하드 인근에서 성직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10대 청소년 시절 하메네이에게 신학을 배운 인연이 있다. 1979년 이슬람혁명 전 팔레비 왕정 반대 시위에 참여했고, 1981년 테헤란 인근 카라즈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다. 검사 시절 정치범 및 반대파 숙청 작업을 이끌어 이스라엘 및 서방으로부터 ‘테헤란의 도살자’라 불렸다. 이란·이라크 전쟁 직후인 1988년 이라크 부역 혐의를 받는 반체제 인사를 대거 처형한 일명 ‘사망위원회’에서 활동했다. 이 사건으로 약 5000명이 사형된 것으로 국제앰네스티는 추산하고 있다. 이 같은 정치범 처형 혐의로 그는 2019년 미국 정부의 제재 대상에 올랐다.

2017년 대선에서 하산 로하니 당시 대통령에게 패배했으나, 2021년 재도전해 당선됐다. 대선 전 대선후보 자격을 심사하는 이란헌법수호위원회가 온건파 후보들의 대선 출마 자격을 대거 박탈한 사실이 알려져 취임 전부터 정당성 논란에 휩싸였다. 젊은 유권자들의 대선 보이콧으로 대선 투표율은 1979년 이슬람혁명 이래 가장 낮은 48.8%를 기록했다.

정치적으로는 미국 등 서방,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강경보수로 평가받았다. 2015년 미국 주도의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를 “억압적이고 부당하고 불공정한 합의”라고 비난했고, 미국의 일방 탈퇴 이후에도 대이란 제재 철회를 요구하는 등 강경 노선을 유지했다.

가자지구 전쟁 도중인 지난 4월13일엔 시리아 주재 자국 영사관이 이스라엘에 공격당하자 이스라엘 건국 이후 처음으로 이스라엘 본토를 공습했다.

성차별, 사형제, 인터넷 검열을 지지하는 극우이기도 했다. 라이시 대통령 취임 이듬해인 2022년 경찰에 끌려가 의문사한 마흐사 아미니 사건으로 ‘히잡 시위’가 확산하자 발포해 강경 진압했고, 유엔 인권이사회 조사단은 시위대 551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조문희 기자 moony@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