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만 커지는 금감원 금융민원 처리…"회사 열거순 민원 배분"

유은실 2024. 5. 20. 18: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금융감독원 사내 게시판엔 '금융민원 배분'을 놓고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한 금감원 직원은 "라임펀드·홍콩ELS와 같이 한 금융사에 대한 민원은 업무 배분이 분명한데 최근엔 여러 업권에 걸치거나 관할 부서를 따져봐야 하는 복합성 민원도 많다"며 "실무 부서끼리 민원 업무를 조율하다가 감정적으로 치닫는 사례도 있었다"고 말했다.

민원 배분 업무에 마찰음이 커질수록 금융민원의 고질병인 '민원 처리 지연 문제'도 심화할 수밖에 없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원업무 배분, 업무 관련도 아닌 회사 열거순"
직원들 '와글와글'···"민원프로세스 개선 TF 만들자"
'내부 기준'있지만 '신규·복합성민원' 다루기 어려워

[이데일리 유은실 기자] 최근 금융감독원 사내 게시판엔 ‘금융민원 배분’을 놓고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금융민원 배분이 업무 관련도가 아닌 ‘묻지마식’으로 가고 있다는 항의 글이 올라오면서다. 한해 처리하는 금융민원 규모가 약 10만건에 육박한 데다 처리 기간도 늘어지고 있는 터라 내부에선 “민원 업무 비효율 제거를 위해선 관련 테스크포스(TF)라도 만들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글까지 올라오고 있다.

많은 금융민원을 도맡아 처리해온 금감원이지만 ‘복합성 민원’ 배분 기준에선 구체성이 떨어지고 있다. 민원 내용과 부서 특성을 깊게 고려하지 않은 채 업무 배분이 이뤄진다는 주장이 부서 곳곳에서 나온다. 예컨대 민원에 ‘XX손해보험사, OO생명보험사, △△은행이 문제’라고 적혀 있다면 내용에 ‘처음 언급된’ XX손해보험사가 속해 있는 검사국에 민원업무를 할당한다는 것이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여기에 금융민원국이 ‘조율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다른 게시글엔 민원을 받은 부서가 “해당 민원은 우리 관할이 아니다”고 했지만 민원 담당 부서에서 “관련 부서와 자체적으로 협의하라”고 할 뿐 민원 재배분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금감원 직원은 “라임펀드·홍콩ELS와 같이 한 금융사에 대한 민원은 업무 배분이 분명한데 최근엔 여러 업권에 걸치거나 관할 부서를 따져봐야 하는 복합성 민원도 많다”며 “실무 부서끼리 민원 업무를 조율하다가 감정적으로 치닫는 사례도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민원업무 실무를 담당하는 저 연차 직원 사이에선 ‘민원 조율’과 ‘업무 배분’에 있어 어려움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더 크다. 다른 금감원 직원은 “민원업무를 배분하는 부서에 고 연차 직원이 다수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민원 업무는 대부분 저 연차인 ‘조사역’이 담당하는데 직접적으로 항의하기 어려운 구조다”고 주장했다.

일선에선 금감원의 민원 서비스 질이 떨어지는 이유를 악성민원 증가 등 외부에서만 찾을 게 아니라 소통·전문성 강화와 함께 내부 업무 효율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민원 배분 업무에 마찰음이 커질수록 금융민원의 고질병인 ‘민원 처리 지연 문제’도 심화할 수밖에 없다. 금감원의 지난해 금융민원 평균 처리기간은 48.2일이었다. 2018년 18.2일이던 금융민원 처리 속도와 비교하면 민원 처리가 약 3배나 더 걸리는 셈이다. 금융민원 평균 처리시간은 2019년 24.8일, 2020년 41.2일, 2022년 49.3일 등 매해 증가 추세다.

담당 부서도 억울하다고 하소연한다. 내부적인 기준과 관행에 따라 민원을 배분하고 있지만 신규 유형엔 ‘그레이존(불분명한 부분)’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금융민원 처리 기간을 지키기 위해 시행하는 ‘업무 분장’이 일부 조직원에겐 기준이 없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는 것이다. 매해 늘어나고 있는 금융민원을 처리하기 위해 최근 관련 인력도 정비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존 민원은 내부 프로세스가 탄탄히 잡혀 있지만 신규 민원 유형은 협의가 필요한 부분이라 내부에서 여러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다”고 했다.

유은실 (yes24@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