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TB 넘보는 HDD 고용량화 경쟁 '후끈'

권봉석 기자 2024. 5. 20. 17: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요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제조사가 30TB(테라바이트) 이상 고용량 제품 경쟁에 뛰어들었다.

씨게이트는 지난 해 말 HAMR(열보완 자기기록) 방식 HDD '엑소스 X 모자이크 3+' 30TB 시제품을 공개한 데 이어 올 1분기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등 대형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중이다.

3위 업체 도시바는 HAMR/MAMR(극초단파 보완 자기 기록) 방식 30TB 이상 HDD 시제품을 내년 공급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씨게이트, WD 이어 도시바까지 가세..."2025년 HAMR 방식 32TB HDD 시제품 생산"

(지디넷코리아=권봉석 기자)주요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제조사가 30TB(테라바이트) 이상 고용량 제품 경쟁에 뛰어들었다. PC와 콘솔 등 전통적인 시장이 축소되자 고부가가치·고용량 제품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나선 것이다.

씨게이트는 지난 해 말 HAMR(열보완 자기기록) 방식 HDD '엑소스 X 모자이크 3+' 30TB 시제품을 공개한 데 이어 올 1분기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등 대형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중이다.

주요 HDD 제조사가 데이터센터용 30TB HDD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웨스턴디지털은 지난 해 말 24/28TB HDD를 공개했지만 데이터 자기층을 겹쳐쓰는 SMR 방식을 적용해 고장 등 재해 복구가 쉽지 않다. 3위 업체 도시바는 HAMR/MAMR(극초단파 보완 자기 기록) 방식 30TB 이상 HDD 시제품을 내년 공급 예정이다.

■ 씨게이트, 전용 플랫폼 '모자이크3+'로 최대 50TB 확장 예정

씨게이트는 현재 30TB 이상 고용량 HDD 경쟁에서 가장 앞선 회사로 꼽힌다. 씨게이트는 고용량 HDD 전용 플랫폼 '모자이크3+'를 적용한 시제품에 이어 올해부터 실제 제품을 공급하는 유일한 회사다.

HAMR 기술은 HDD 내 플래터를 레이저로 가열해 기록 밀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모자이크3+ 플랫폼은 데이터를 읽고 쓰는 HDD 내 부품인 헤드에 기록면 가열을 위한 레이저를 부착해 기록 밀도를 높였다. 기록면을 구성하는 플래터는 철과 백금 소재 합금으로 외부 전자기파 영향 없이 자기 정보를 안전하게 기록할 수 있다.

씨게이트 엑소스 X 모자이크 3+(Exos X Mozaic 3+) 30TB. (사진=지디넷코리아)

이를 적용한 첫 제품인 엑소스 X 모자이크 3+ 30TB HDD는 장당 3TB 기록 가능한 플래터 10장으로 30TB를 구현했다. 향후 기록 용량을 장당 5TB, 최대 50TB까지 확장하겠다는 것이 씨게이트 구상이다.

■ 웨스턴디지털, MAMR 기술 활용 28TB 제품 공개

웨스턴디지털은 과거 MAMR 방식을 적용해 고용량 HDD를 출시하겠다는 구상을 밝혔지만 2021년을 기점으로 공개석상에서 MAMR 방식을 언급하지 않는다. 지난 해 11월 출시한 울트라스타 DC HC680 28TB HDD도 기록 방식을 SMR로 바꿔 고용량을 구현했다.

울트라스타 DC HC680 28TB HDD. (사진=웨스턴디지털)

SMR은 저장장치인 플래터 위에 여백 없이 데이터를 여러 번 겹쳐 써 기록 밀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이미 6TB 이하 제품에서 플래터 장수를 줄이고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흔히 쓰인다.

WD가 2018년 백서에서 공개한 SMR 기술 작동 방식. (자료=WD)

웨스턴디지털은 원가 절감 대신 용량 확장에 무게를 두고 SMR 기술을 채용했다. 기록시 떨어지는 속도는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임시 저장했다 한꺼번에 옮기는 옵티낸드 기술로 보완했다.

웨스턴디지털은 SMR 방식의 기록 밀도를 높여 30TB 이상 HDD를 구현할 예정이다. (자료=웨스턴디지털)

그러나 레이드(RAID)로 묶인 어레이에 문제가 생길 때 이를 복구하는 과정에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HDD가 장착되는 스토리지에 별도 알고리듬을 탑재한 SoC(시스템반도체)나 소프트웨어 탑재가 필요하다.

■ 도시바, 내년 MAMR 30TB HDD 시제품 출시 예고

도시바가 현재 상용화한 HDD 제품 중 최고 용량 제품은 지난 해 하반기 출시한 데이터센터용 MG10F 시리즈로 최고 용량은 22TB다. 씨게이트와 웨스턴디지털 대비 한 세대 가량 뒤처졌다. 도시바는 HAMR과 MAMR 기술을 모두 활용해 이 격차를 극복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클라우드/데이터센터용 MG10F 22TB HDD. (사진=도시바일렉트로닉디바이스&스토리지)

도시바는 지난 주 일본 도쿄에서 진행된 IDEMA(국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소재 협회) 주최 컨퍼런스에서 "HAMR/MAMR(극초단파 보완 자기 기록) 방식을 적용한 30TB 이상 시제품 2종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도시바는 HAMR 기술을 이용해 3.2TB 플래터 10장으로 구성된 32TB HDD, MAMR 기술을 적용해 2.81TB 플래터 11장으로 만든 31TB HDD 등 두 제품을 개발했다. 두 제품 모두 SMR 방식을 적용했다.

도시바는 30TB 이상 HDD 시제품을 내년 출시 예정이다. (사진=도시바)

제품 개발에는 플래터 생산 업체인 레조낙(Resonac, 구 쇼와덴코), 헤드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TDK가 함께 참여했다. 단 HAMR 기반 32TB 시제품 출시 시점은 2025년 이후다. 실제 제품은 일러도 내년 하반기 초, 늦으면 내년 말에나 나올 예정이다.

권봉석 기자(bskwon@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